
- 커뮤니티
- 학술원 소식
-
-
《존경각》 소장 자료 ‘명공묘선육방옹시집’, 서울시 유형문화재 지정
-
서울시는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존경각의 소장 자료 ‘명공묘선육방옹시집(名公妙選陸放翁詩集)’을 시 유형문화재 제462호로 지정하였음을 8월 13일 시보를 통해 밝혔다. 명공묘선육방옹시집은 원·명 양대에 걸쳐 가장 광범위하게 통용되던 육유(陸游, 1125~1210)의 시선집 중에 하나로, 남송의 나의(羅椅, 1214~?)가 가려뽑은 전집(前集)과 송말 원초의 문인 유진옹(劉辰翁, 1233~1297)이 가려뽑은 후집(後集)을 합친 것이다. 서울시는 이 책이 서정적인 내용이 많은 전집과 호방하고 비분강개의 내용이 많은 후집으로 구성되어 육유 시의 특징을 이해하거나 그의 시풍을 규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현존본 중에는 유일한 을해자 간본으로 전존 수량이 거의 없고, 동아시아 지식 유통의 측면에서 학술적 연구 가치가 크다고 하였다. 덧붙여 동일한 시점에 간행된 판본이 매우 드물게 남아있으므로 시유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할만한 가치가 있음을 밝혔다.
-
-
작성일
2020-09-17
-
조회수
709
-
첨부파일
(0)
-
-
동아시아학술원 동아시아학과 김도형, 장신 박사, 세종대학교 및 한국학중앙연구원 조교수로 각각 임용
-
본교 동아시아학술원 동아시아학과 졸업생 김도형 박사(일본사상사 전공), 장신 박사(한국근대사 전공)가 각각 세종대학교 조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올해 3월 세종대학교 국제학부 일어일문학전공 조교수로 임용된 김도형 박사는 2014년 「가토 히로유키의 초기 정치사상 연구」(지도교수: 미야지마 히로시)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그동안 동경대학교 리서치펠로우, 영남대학교 BK21+연구교수, 본교 동아시아학술원 HK연구교수, 한국일본사상사학회 총무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메이지시기 일본의 계몽주의와 동아시아 비교사상사로서, 최근 연구 성과로 「MORAL EDUCATION DEBATE OF MEIJI JAPAN」(SCI급), 「근대 일본의 블룬칠리 수용과 한계에 관한 고찰 -가토 히로유키의 경우를 중심으로」, 「입헌정체략·진정대의」(역서) 등이 있다. 올해 9월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한국사전공 조교수로 부임하게 된 장신 박사는 「1930·40년대 조선총독부의 사상전향정책 연구」(지도교수: 한기형)로 올해 2월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그동안 연세대학교 시간강사,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전문위원, 역사문제연구소 상임연구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조선총독부 지배정책사, 한국근대언론사 등으로서, 최근 연구 성과로 「식민지 조선의 금지된 이동 : 이동경찰 연구」, 「유교청년 이유립과 환단고기」, 「제국 일본의 역사학과 '조선'」(공저) 등이 있다.
-
-
작성일
2020-08-26
-
조회수
840
-
첨부파일
(0)
-
-
한국학, 한국의 골든타임
-
SBS에서 제작한 <한국학, 한국의 골든타임> 다큐멘터리 방송을 소개해 드립니다. IUC 패컬티 다수가 출연해 한국학 연구의 성과와 그 한계 속에서 더 많은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힘주어 말씀하셨습니다. [ IUC 홈페이지 바로가기 ]
-
-
작성일
2019-03-29
-
조회수
2403
-
첨부파일
(0)
-
-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HK+)연구소‧국제한국학센터(IUC) 공동 동아시아포럼 전문가초청특강(4월~5월)
-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HK+)연구소 국제한국학센터(Inter-University Center at SKKU)공동으로 동아시아포럼 전문가초청특강을 개최합니다. ㅁ 일시: 2019년 4월 ~ 5월 , 15시~18시 ㅁ 장소: 600주년기념관 10504호 < 자세한 내용 보기 >
-
-
작성일
2019-03-27
-
조회수
2199
-
첨부파일
(0)
-
-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HK+)연구소 동아시아포럼 전문가초청특강(3월~6월)
-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HK+)연구소에서 동아시아포럼 전문가초청특강을 개최합니다. ㅁ 일시: 2019년 9월 ~ 12월 (매월 1회, 금요일) ㅁ 장소: 600주년기념관 10504호
-
-
작성일
2019-03-27
-
조회수
1675
-
첨부파일
(0)
-
-
서베이리서치센터(SRC)-日 수리통계연구소 MOU 체결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서베이리서치센터(SRC)는 2019년 2월 19일 일본의 통계수리연구소와 협약식을 체결했다. 통계수리연구소는 1944년에 설립되어 데이터사이언스, 다양한 통계 기법 연구 및 교육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국책기관이다. 또한, 1953년부터 5년 주기로 일본국민성 조사를 수행해 오고 있다. 2018년 2월 13일 통계수리연구소의 초대로 사회조사연구에 대하여 1차 공동 워크샵을 가졌고, 지속적으로 공동워크샵을 개최하려고 한다. 또한, 통계수리연구소의 경비 지원으로 2018년 서베이리서치 센터에서 수행한 한국종합사회조사를 통해 일본 국민성 조사의 일부 문항을 조사했다. 이번 조사는 일본과 한국의 국민성에 대한 국제비교연구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향후 일본 국민성조사와 한국 국민성조사를 공동 수행하여 양국의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려는 시도이다.
-
-
작성일
2019-02-27
-
조회수
1715
-
첨부파일
(0)
-
-
이혜령교수,한국여성문학학회 회장 피선
-
동아시아학술원 이혜령 교수가 지난 11월 10일 한국여성문학학회의 제11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해당 임기는 2019년 1월 1일부터 2년 동안이다. 1998년 12월에 창립된 한국여성문학학회는 한국문학과 문화를 여성주의적 관점으로 연구하는 한국학계의 대표적 학술단체로서, 지난 20여 년간 연 2회의 학술대회 개최, 소규모 연구모임 운영,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여성문학연구'의 발간 등의 활동을 꾸준히 진행해 왔으며 <불온과 섹슈얼리티: 음란과 외설의 정치학>, <우리 안의 ‘내전’ : ‘혐오’ / ‘공감’의 문화정치와 여성> 등 본 학회를 통해 제기된 다양한 학문적 화두는 한국의 페미니즘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
-
작성일
2018-12-20
-
조회수
999
-
첨부파일
(0)
-
-
김경호교수,중국고중세사학회 회장 선출
-
동아시아학술원 김경호 교수가 지난 12월 15일 우리학교에서 개최된 중국고중세사학회 정기총회에서 차기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해당 임기는 2019년 1월 1일부터 1년동안이다. 중국고중세사학회는 1984년 창립된 위진수당사학회(魏晉隋唐史學會)가 2004년 선진진한사학회(先秦秦漢史學會)와 통합하여 탄생한 학회로서, 선진(先秦), 진한(秦漢), 위진(魏晉), 남북조(南北朝), 수당(隋唐), 오대사(五代史) 등 중국 고중세 분야의 중심적 학회로서 한국의 중국사 연구에 큰 영향력을 가진 학회이다. 중국고중세사학회는 학술지 『중국고중세사연구』 발행 외에도, 학회 산하에 갑골(甲骨), 금문(金文), 간독(簡牘), 공문서(公文書), 석각자료(石刻資料) 등의 연구회를 두고 중국의 고중세사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
-
작성일
2018-12-20
-
조회수
969
-
첨부파일
(0)
-
-
중국연구소 도서 발간
-
중국연구소에서는 최근 <중국은 문명형 국가다>와 <중국 솔루션>을 발간하였다.
-
-
작성일
2018-12-18
-
조회수
891
-
첨부파일
(0)
-
-
진재교 교수, 한국한문학회 회장 피선
-
본교 진재교 교수(한문교육학과)가 2018년 12월 15일 성균관대학에서 개최된 총회에서 한국한문학회 제 22대 회장으로 선출되었으며 임기는 2019년 1월 1일부터 2년간이다. 한국한문학회는 1975년에 설립되어 그 동안 한국학과 한국 한문학 분야의 명실상부한 중심학회로서 학문적 업적을 쌓은 한국 고전학의 중심 학회다. 한국한문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 『한국한문학연구』는 지난 40년간 수록 논문들이 한국학과 한국학 연구를 선도해왔으며 인접 학문 분야에까지도 큰 영향력을 끼쳤다. 특히 학술지는 한국연구재단(KCI)의 <영향력지수(IF)>에서도 한국학 분야에서 최상위를 차지할 정도로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학회에는 한국학 관련 연구자 총 1,000 여명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
-
작성일
2018-12-18
-
조회수
1119
-
첨부파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