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 및 소외계층 대상 인문교육
‘종로다산학교’는 종로구청과 협력하여 진행하고 있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이다.
제5기 종로다산학교 2020
회차 | 일자 | 강의자 | 강의 주제 |
---|---|---|---|
1 | 2020.09.10 |
진재교 (성균관대) |
|
2 | 2020.09.17 |
김문식 (단국대) |
정약용의 학문과 한강
|
3 | 2020.09.24 |
최재목 (영남대) |
1930년대 조선학운동과 정다산의 재발견 |
4 | 2020.10.08 |
신병주 (건국대) |
다산의 유배 생활과 유배지에서 쓴 편지
|
5 | 2020.10.15 |
손성준 (성균관대) |
명탐정 정약용 - 21세기 문화콘텐츠 속의 다산 |
6 | 2020.10.22 |
심재우 (한국학중앙연구원) |
법학자 정약용과 『흠흠신서』 - 조선사회 재판과 형벌 |
7 | 2020.10.29 |
김용흠 (연세대) |
『경세유표』를 통해서 본 복지국가의 전통 |
8 | 2020.11.05 |
백민정 (가톨릭대) |
성기호설(性嗜好說), 다산 정약용의 인간관과 윤리학 |
9 | 2020.11.12 |
안대회 (성균관대) |
다산 정약용의 소품문 감상 |
10 | 2020.11.19 |
한기형 (성균관대) |
20세기가 다산에 주목한 이유 |
제4기 종로다산학교 2019
제4기 종로다산학교는 <다산의 시대, 선비의 일상과 취미>라는 주제로, 다산 시대의 생활 및 문화를 중심으로 한국 전통 생활세계를 구성해 온 사회적 관계와 의미를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제3기 종로다산학교 2018
회차 | 일자 | 강의자 | 강의 주제 | 비고 |
---|---|---|---|---|
1 | ||||
2 | ||||
3 | ||||
4 | 2018.04.12. | |||
5 | 2018.04.19. | |||
6 | 2018.04.26. | |||
7 | 2018.05.03. | |||
8 | 2018.05.10. | |||
9 | 2018.05.17. | |||
10 | 2018.05.24. | |||
11 | 2018.05.31. | |||
12 | 2018.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