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Future, Grand Challenge

통합검색
닫기
통합검색
 

대학원과정

  • home
  • 대학원과정
  • 일반대학원
  • 연기예술학과
  • 교육과정

연기예술학과

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자기
학습
시간
영역 학위 이수
학년
비고 언어 개설
여부
COV7001 논문작성법및연구윤리1 1 2 전공 석사/박사 일반대학원 성균융합원 Yes
1) 논문작성의 전반을 소개하고, 논문작성의 필수적인 교양을 습득한다. 2) 연구 결과를 영어로 표현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공부함으로써 향후 국내외학술지에 효율적으로 논문을 개제할 수 있도록 한다. 3) 연구 윤리를 습득한다.
DAT4003 현대공연예술미학 3 6 전공 학사/석사 1-2 Yes
현대 공연작품들을 미학적으로 분석하고 탐구하여 새로운 창작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목표를 둔 강좌임.
DAT5001 논문작성법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논문의 기획과 계획, 사전연구검색, 작성방법, 구성방법, 연구방법 등 논문작성에 필요한 모든 요소들을 습득한다.
DAT5003 텍스트분석과창작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저명한 공연, 영화의 대본과 시나리오를 작품별로 분석하고 해석하며 그것을 통해 창작으로 이어지는 과목으로 수준 높은 창작을 위해 철저한 분석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DAT5004 교육연극과커뮤니케이션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교육을 위한 연극과 치료를 위한 연극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노하우를 습득하여 학계나 의료계에 진출할 수 있는 활로를 개척한다.
DAT5008 피지컬드라마창작워크숍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움직임과 관련된 고급 연기술을 연마하는 수업으로 학생들은 자신의 신체에 대해 숙지하고 모든 신체의 부위들이 리듬에 반응할 수 있도록 훈련한 뒤 그것을 바탕으로 드라마를 구성하는 역량을 키운다.
DAT5009 보이스세미나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배우를 위한 고급레벨의 발성법과 발음, 그리고 언어에 감정을 싣는 방법들을 훈련하는 교과목임. 음성을 만들어내는 모든 신체기관들에 대한 심충적인 분석과 그에 따른 감정적 효과 등을 논의한다.
DAT5013 공연연출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공연을 올리면서 연출이 알아야 될 전반적인 지식들 , 텍스트 선정부터 분석, 극 구성능력, 행동 선을 만들어내는 등등의 사항들을 습득한다.
DAT5014 공연컨텐츠기획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연극, 뮤지컬, 퍼포먼스 등의 컨텐츠의 기획과 펀딩, 그리고 제작방법에 대해 습득하고 논의한다.
DAT5016 알렉산더테크닉 3 6 전공 석사 1-5 Yes
알렉산더테크닉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 연극배우 프레데릭 마티아스 알렉산더(Frederick Matthias Alexander)가 창안한 수련법으로 인체의 기본 동작에 큰 영향을 끼치는 목과 머리 등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목과 머리가 긴장을 풀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면 척추의 과도한 압박을 막아 최상의 컨디션으로 자유롭고 정확한 동작이 가능해지므로 자신의 신체를 이용하는 무대예술가에게 많은 도움을 준다.
DAT5017 전공심화공연제작 3 6 전공 석사 1-5 Yes
석사과정의 학위 수여를 위한 필수과목으로 작품을 연출/출연하고 그것으로부터 파생된 주제로 논문작성까지 이어지는 작품실습 과목임.
DAT5018 매체연기실습 3 6 전공 석사 1-4 Yes
영화나 드라마, 혹은 일인 미디어처럼 카메라가 동원되는 매체의 경우 카메라의 특성상 렌즈의 종류나 앵글, 그리고 움직임에 따라 배우가 습득해야 하는 연기의 기술적인 부분들이 존재한다. 배우의 진출 폭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과목은 무대 연기와는 다른 연기의 기술적, 예술적, 그리고 철학적 요소들을 다룬다.
DAT5020 연기연출연구 3 6 전공 석사 1-4 Yes
이미 오래전 국내에 메소드 연기법이 소개 되었으나 영화나 연극의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유효하게 적용되는 경우는 드물다. 연출자가 메소드 연기를 기반으로 연기자와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연기자의 언어를 알아야 하며 또한 그들의 심리도 꿰뚫고 있어야 한다. 이 수업을 통해 연출전공은 연기자로부터 더욱 섬세한 연기를 끌어내는 연출법을 연구하고 습득한다.
DAT5021 단편영화제작실습 3 6 전공 석사 1-4 - No
10~20분 분량의 단편영화 제작을 궁극적인 목표로 두며 영화제작의 가장 기초적인 요소들을 습득하고 그것을 토대로 창작한다. 내러티브를 비주얼로 표현하는데 필요한 기본단위인 쇼트와 씬의 효율적인 구성과 전통적이고 깊이 있는 영화언어에 집중하여 퀄리티 높은 작품을 양산하는 데 목적을 둔다.
DAT5022 연기및연출방법론연구 3 6 전공 석사 1-4 Yes
본 수업은 전 세계의 다양한 연출가, 배우 및 액팅 코치들이 발전시켜온 연기 및 연출 양식에 대해서 비교하고 분석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아가 그 양식들이 동시대의 연기방식과 공연창작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 이론적으로 탐색해나가고자 한다.
ECE4272 심화융합캡스톤디자인 3 6 전공 학사/석사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No
1. 다학제 (디자인, 인문, 공학) 팀을 구성하여 사용자 중심 디자인 씽킹 및 프로토타이핑 프로세스에 중점을 두고 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인문과학과 자연과학의 인터렉션(융합, 소통)에 중점을 두어 창의적 상품의 결과물의 설계까지를 진행함. 2. 관련 분야 전문가, 지역 사회 현장 실무자 및 고객으로 구성된 Co-creation 제품 및 service 융합형 프로젝트를 수행함. 프로젝트는 협업 과정이며 문제 해결에 직면한 사람들의 의견이 필수적이므로 이들과 정기적인 접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
SOA4002 인공지능과예술 3 6 전공 학사/석사 1-4 예술대학 일반대학원 Yes
이 강좌는 인공지능의 정의와 트렌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예술분야의 변화 가능성 등 단순히 새로운 기술로서의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를 넘어 문화기술(CT)로서의 인공지능과 딥러닝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직접 실습하고자 한다. 예술 분야에서 핵심 기술-예술 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계학습, 딥러닝에 대한 지식을 학습하고 실제로 이 수업에서 활용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