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영문학과 션노르만딘 교수 새 저서 출간『 Jane Austen and Literary Theory』
- 영어영문학과
- 조회수1478
- 2021-10-14
영어영문학과 션노르만딘 교수 새 저서 출간『 Jane Austen and Literary Theory』
영어영문학과 션노르만딘 교수님께서 새 저서를 출간하셨습니다.
Author(s) | Title | Publisher | Year |
Shawn Normandin | Jane Austen and Literary Theory | Routledge | 2021 |
아래는 교육연구단 박사후연구원 이지은 선생님께서 작성해주신 리뷰입니다.
What if we read Jane Austen and her use of language along with deconstructionist theory? Shawn Normadin’s Jane Austen and Literary Theory offers an astute analysis of the linguistic and literary devices used by Jane Austen in her novels and juvenilia through the lens of deconstructionism. In this meticulous and compelling book, Normaindin reconsiders the deconstructionist concepts and methodologies propounded by Jacques Derrida and Paul de Man by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word play, phonocentrism, allegory, symbol, “stable and unstable ironies,” “unromantic Romantic irony,” which are placed in tension with one another in Austen’s acclaimed novels including Pride and Prejudice, Mansfield Park, and Emma as well as her early writings such as “Evelyn” and “The History of England.” Normandin starts by eloquently discussing how Austen’s “Evelyn” creatively confirms and disturbs the distinction between gift and exchange, the concepts of which are proposed by Derrida in the twentieth century. Then, the book delves into the intermingling interactions and tensions between speech and writing, allegory and irony, allegory and symbol by reading phonocentrism at play in Pride and Prejudice and placing the novel and country house Mansfield Park on the cusp between symbol and allegory. The second half of the book broadens this literary analysis to the meta-fictional level by examining Emma in the context of “parergonal realism” involving the inside/outside constituting the book’s story, title, dedication page, and characterization and by comparing “parabasis” with the unromantic Romantic ironies in “The History of England.” Normandin also articulates the main arguments in poetic and symbolic ways at the end of each chapter, which adds to the pleasure of reading this thought-provoking academic book. Jane Austen and Literary Theory is an ambitious reimagining that will appeal to scholars with interests in deconstructionism, linguistics, book history, and Romantic realism.
제인 오스틴을 해체주의 이론으로 읽어본다면 어떤 모습일까? 션 노르만딘은 책 『제인 오스틴과 문학이론』에서 제인 오스틴의 소설과 습작에 쓰인 언어적, 문학적 장치들을 해체주의의 시선을 통해 명쾌하고도 지적인 분석을 보여주고 있다. 저자는 자크 데리다와 폴 드만이 제창한 해체주의 개념과 방법론을 이용해 제인 오스틴이 소설 『오만과 편견』『맨스필드파크』『엠마』와 습작 “에블린”과 “영국의 역사”에서 보여주었던 말장난과 음성중심주의, 알레고리, 상징, “안정적 아이러니,” “불안정적 아이러니,” “비낭만적인 낭만적 아이러니”들이 어떤 상관관계 안에서 그려지는지를 꼼꼼하고도 설득력있게 재고하고 있다. 책 서두에서는 오스틴의 습작 “에블린”이 데리다가 20세기에 들어와서 만들어낸 선물과 교환의 구분을 어떻게 창의적으로 확인해주고 부정하는지를 보여준다. 이어진 챕터에서는 말하기와 쓰기, 알레고리와 아이러니, 알레고리와 상징 사이에 생겨나는 상호작용과 갈등이 『오만과 편견』의 음성중심주의를 통해 어떻게 구현되는지, 그리고 (소설 제목이자 저택 이름이기도 한) 맨스필드 파크를 상징과 알레고리의 경계에 위치시키며 논의를 이어 나간다. 책의 후반부에서는 소설의 이야기와 제목, 헌정사 및 인물구성을 안팎의 구분없이 읽어내는 “파레고날 리얼리즘”을 통해 『엠마』를 읽어내고, 습작 “영국의 역사”에서 나타난 “파라베시스”와 비낭만적인 낭만적 아이러니를 비교하며 앞선 챕터들에서 시도한 개별 문학작품 연구를 메타픽션의 차원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저자는 각 장이 끝날 때마다 시적이고도 상징적인 정리 어구로 논점을 다시 한번 확인해주는데 이는 지적인 학문 서적을 읽는데 쏠쏠한 즐거움을 선사한다. 션 노르만딘의 『제인 오스틴과 문학 비평』은 해체주의, 언어학, 책의 역사, 로맨틱 리얼리즘에 관심있는 학자들이라면 한번 읽어볼만한 야심작으로서 일독을 권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