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05-02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BK21 교육연구단, 비교문화협동과정이 주최하는 현대문화사 강의 안내해드립니다. 지난 12월의 제2회 성균 국제 문화연구 연례 포럼 <SF와 지정학적 미학>에 이어 한국 SF의 시작점과 지금 이 시간의 움직임을 확인하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관심과 참여를 기다립니다. -일시 : 5월 3일 화요일 11:30-15:00 11:30-1:10 김미연(전남대 연구원) <1920년대 과학소설 번역 · 수용사 연구의 쟁점-‘유토피아니즘(Utopianism)’을 중심으로> 1:20-3:00 복도훈(서울과기대 교수/문학평론가) <SF와 인류세-김기창, 최이수, 조하형 소설의 경우> -주최 : 성균관대 BK21 FOUR 혁신ㆍ공유ㆍ정의를 위한 한국어문학 교육연구단, 성균관대학교 비교문화협동과정 -수강대상 : 테크놀로지와 현대문화, 테크노컬쳐에 관심을 가진 대학생, 대학원생, 한국 SF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 및 일반 시민 -수강방법 : 온라인 Webex 강의 -신청방법 : cculture1093@skku.edu 신청하면 접속 주소 송부.
<제1회 성균 영화 아카데미: 한국영화사 리와인드> 특강 안내
2022-01-24<제1회 성균 영화 아카데미: 한국영화사 리와인드> 특강 안내 안녕하세요.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성균관대학교 비교문화협동과정/연계전공, 성균관대학교 BK21 혁신·공유·정의 지향의 한국어문학 교육연구단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제1회 성균 영화 아카데미: 한국영화사 리와인드-식민지조선에서 포스트시네마까지> 특강 시리즈에 관해 안내를 드립니다. 한국영화가 제작된지 100년이 지난 지금 한국영화 혹은 한국의 미디어는 이른바 'K-wave'를 타고 세계로 향하고 있다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최근의 동향은 갑작스럽게 탄생한 결과물이 아닙니다. 세계와 접속하고 길항하며 제작된 수많은 한국영화의 노정과 함께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에 성균관대학교에서는 1월 14일부터 2월 9일까지 총 7차례에 걸친 한국영화사 관련 특강과 특별 강담을 개최하여 한국영화의 궤적과 계보 혹은 그 주변부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격동적인 한국 근현대사의 흐름과 함께 걸어온 한국영화사를 되짚어보고 한국영화의 과거-현재-미래를 사유해보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포스터와 아래의 공지를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 줌 링크: https://us06web.zoom.us/j/82625766426?pwd=R0lDMGF6QmtML3V1bW1ZL2xoeWVEUT09 * 회의 ID: 826 2576 6426 비밀번호: 220114 * 온라인 참여는 사전 신청 없이 자유롭게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강좌 사전 참여 신청 : https://forms.gle/ByNkWTRrbvhdbrV36 정부의 방역 지침으로 인해 사전 참여 신청자에 한하여 오프라인 특강의 장소를 공지 드릴 예정입니다. 1/16일 23시 59분까지 선착순(30인)으로 신청을 받으며, 신청 인원에 따라 조기 마감 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방청은 사전 신청 없이 자유롭게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 특강에 참여할 시 아래의 노션(Notion) 페이지 혹은 포스터 하단의 QR코드에 첨부된 참고자료를 사전에 읽고 참석해주시길 권장드립니다. 특강의 공지사항 역시 해당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활발한 토론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https://plain-roarer-114.notion.site/1-9252d891ff554da4b0de2d4881771081 ▶ 문의 : yein6120@naver.com *노션 페이지의 “댓글” 기능으로도 문의/건의 사항을 적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