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학석사연계생: 졸업논문 제출 면제* 졸업논문 제출기간: 5월 29(월)~6월 9일(금)* 2023-1학기 졸업예정자 또는 졸업논문 제출 예정자: 연구논문 제출 * 제출방법: 대면, 비대면 모두 가능대면제출: 화학과사무실 방문 제출비대면제출: 메일제출(담당자: ejbs10@skku.edu)/ PPT, JPG 파일 제출 불가 (WORD, PDF, 한글 파일 제출 가능)* 졸업논문 표지 양식 첨부합니다* 졸업논문 3부 준비후,1부: 지도교수님께, 1부: 심사위원교수님께,1부: 지도교수님, 심사위원 교수님 서명(도장) 받은 후 학과사무실 제출문의: 화학과행정실 (031-299-4899)
- POSTED DATE : 2023-05-26
- WRITER : 화학과
- HIT : 160
-
- POSTED DATE : 2023-05-24
- WRITER : 화학과
- HIT : 187
-
- POSTED DATE : 2023-05-24
- WRITER : 화학과
- HIT : 197
-
2023학년도 하계 우수학부생 연구학점제가 시행되오니, 학부생 여러분들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우수학부생 연구학점제 운영지침을 숙지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를 학교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운영지침 및 공지사항 내용으로 해결되지 않는 내용이 있으실 경우 대학원팀으로 문의 주십시오. 대학원팀 ( 02-740-1724 )1. 우수학부생 연구학점제란?학부생에게 연구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로, 지도교수 및 지도대학원생의 지도 하에 학기 또는 방학 중 개별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연구 수행 결과를 수업으로 간주하여 학점을 인정하는 제도2. 지원자격: 아래 자격을 모두 갖춰야 함- 2007학년도 이후 신입학자- 직전학기 평점평균 3.5 이상인 자(* F포함 기준)- 담당교수의 사전 승인을 얻은 자* 사전 승인 없이 지도교수를 선정 및 신청하면 계획서가 반려될 수 있습니다.- 우수학부생 연구학점제로 인정 가능한 학점이 운영지침 기준을 초과하지 않은 학생2-1. 제외 대상(하나만 해당되어도 불가)- 전공과목 누적 취득학점이 6학점 미만인 자- 직전학기 연구학점 과목 F 취득자※ 지도교수가 연구계획서를 반려한 경우, 참여 불가※ 미운영대학: 약학대학, 의과대학, 스포츠과학대학, 예술대학 (미운영대학은 학과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정보통신대학의 경우 교수님별 수강인원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3. 주요 일정1) 학생 신청: 2023. 5. 24.(수) ~ 2023. 5. 31.(수) (GLS에 계획서 제출)2) 교수 승인: 2023. 5. 24.(수) ~ 2023. 6. 2.(금) (지도교수가 계획서를 승인하여야만 참여가능)3) 학점인정신청서 제출: ~ 2023. 6. 2.(금) (필요한 경우만 제출, 지연제출 불가)*지도교수 소속대학 기준으로 수강신청 하므로, 학생 전공으로 인정 받아야 하는 학생은 기한내 제출(지도교수님 서명 필수)*양식: 운영지침 별지서식4, 제출처: iceice78@skku.edu4) 운영 기간: 2023. 6. 12.(월) ~ 2023. 7. 21.(금) 6주간5) 결과보고서 제출: 2023. 7. 19.(수) ~ 2023. 7. 21.(금)*보고서 제출 기한 내 GLS에 ➀결과보고서, ➁발표 보고서 제출필수(하나라도 미제출시 F)*발표는 운영 기간 내 진행해야 하며, 사전에 지도교수와 일정 협의하여 진행*팀 전원 각자 제출해야 함*보고서 작성 및 제출은 FAQ 참고4. 신청 방법GLS > 학업영역 > 학점인정 >우수학부생연구학점제 기한내 신청 (첨부 매뉴얼 참조)※ 연구계획서 첨부 및 지도교수 선정 필수※ 팀원 전원이 연구계획서를 각자 제출해야 함※ 연구계획서 제출 시 팀원 전원의 학번과 이름을 기입하여야 함5. 혜택지도교수 *소속 대학의 교과목으로 직권 수강신청됨, 학점 취득 가능*학생 전공 학점으로 인정 받으려면 기한내 학점인정신청서 제출 필수[기한엄수](~2023. 6. 2.(금)) (제출처: iceice78@skku.edu)※운영지침 [별지서식4] 이용, 지도교수 서명 필요※지도교수가 학생전공과 연구주제의 연관성을 인정하지 않는 경우, 지도교수 소속대학 연구학점으로 수강 신청<주의 사항>※ 계획서가 승인되면 추후 자동으로 수강신청되며, 수강취소는 원칙적으로 불가※ 수강신청이 가능하도록 수강신청기간에 해당 학점(2학점)을 비워놔야 함※ 운영기간 마지막주에 결과보고서와, 연구결과공개발표보고서를 GLS를 통해 제출(팀 전원이 제출해야함, 미제출시 F, 기한 별도안내)※ Co-op 등 학점을 인정해주는 교내 타 연구프로그램에서 기 진행한 연구주제는 중복하여 신청할 수 없음.FAQ1) 교수님께 사전승인을 어떻게/왜 받나요?승인의 형태는 구두로만 받아도 무관합니다. 사전에 협의하지 않고 신청할 경우 교수님이 신청 내역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고, 인지하였다고 해도 반려하실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전승인을 받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이미 학생의 우수학부생 연구학점제 참여계획을 알고 계신 교수님께는 계획서 제출 이후 승인요청만 드려도 무방합니다. (승인 기한과 방법은 행정실에서 안내합니다만, 계획서 승인이 지연되는 경우에는 학생이 교수님께 안내하여 누락을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2) 학점인정신청서를 내야 되는지 모르겠어요.※지도교수 소속대학과 학점인정 받고자 하는 대학이 같은 경우 제출할 필요 없음ex) 제출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공과대학-기계공학부 교수님께 계획서 신청공과대학-신소재공학부 1전공 학생 => 공과대학 학점인정 (같은 공과대학)ex) 제출해야 되는 경우공과대학-기계공학부 교수님께 계획서 신청공과대학 1전공, 정보통신대학 2전공 학생 =>2전공 정보통신대학 학점으로 인정 받고자 함3) 혼자 참여할 수 있나요?4인 이하의 팀 연구를 진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지도교수님이 계획서를 승인하면 가능합니다. (단, 개인 연구에는 지도 대학원생이 배정되지 않음)4) 지도교수 소속대학에서 우수학부생연구학점제를 운영하지 않으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지도교수 소속대학의 전공학점으로 이수할 수는 없고, 학생 전공으로 신청이 가능할 순 있습니다. 다만, 학과별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대학원팀(02-740-1724)로 문의 바랍니다.5) 이미 우수학부생연구학점제를 들었는데 또 들을 수 있나요?우수학부생 연구학점제로 재학 중 최대 10학점을 학사과정 전공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단, 학사과정 연구장학생제도 운영대학 소속 학생은 최대 14학점)6) 성적은 P/F 로 받을 수도 있나요?일반성적(A+~F)으로 평가합니다. (단, 경제대학, 생명공학대학 교과목, 사범대학(일부)은 P/F로 부여)7) 수업료는 누구나 다 내야되나요?계절학기 우수학부생 연구학점제 참여는 수업료를 내야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승인된 학생들에게 기한을 개별 안내할 예정입니다. 단, 자연계 특기자전형(과학인재전형 포함)으로 입학한 학생은 수업료를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8) 수강신청은 어떻게 하나요?우수학부생 연구학점제 교과목은 학생이 직접 수강 신청하는 것이 아니고, 직권으로 수강 신청 처리됩니다. 다만, 수강 신청 처리를 위해서는 반드시 본인의 수강 가능 학점에서 2학점을 비워 두셔야 합니다.9) 연구주제 변경 가능한가요?지도교수님과 협의 후 변경 가능하나 연구 계획서를 다시 제출하셔야 합니다. 본인의 학번, 성명, 지도교수님 성함을 명시하고 수정본 파일을 첨부하여 iceice78@skku.edu로 메일 주시기 바랍니다. (~2023. 6. 12.(월))10) 연구결과보고서, 공개발표보고서를 수정하여 다시 업로드할 수 있나요?보고서 제출기간 이후에는 수정 불가합니다.제출기간 내, 지도교수의 요청으로 불가피하게 내용을 수정해야 하거나, 파일 업로드가 잘못된 경우에만 변경 가능합니다.신청 방법: 본인의 학번, 성명, 지도교수님 성함을 명시하고 수정본 파일을 첨부하여 보고서 제출기한 내 iceice78@skku.edu로 메일접수 [기한엄수]11) 제출파일 양식 다운로드가 안됩니다.크롬, 웨일 등의 브라우저에서는 양식 파일 다운로드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재접속하여 시도해 주시기 바랍니다.12) 공개발표보고서에 꼭 사진이 들어가야 하나요?발표자의 모습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사진 미첨부, 발표자료만 첨부 등) 성적이 부여되지 않을 수 있으니, 반드시 발표 장면을 담은 사진을 넣어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13) 온라인 발표도 가능한가요?오프라인이 원칙이나, 온라인도 허용하고 있습니다. 발표자 발표모습과 발표자료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지도교수가 온라인 발표에 참여한 것도 확인이 가능해야 합니다.14) 지도대학원생은 언제 배정되나요?우수학부생 연구학점제 계획서 승인이 끝난 후, 필요한 경우에만 교수님께서 선정합니다.15) 新3품인증제 인턴십 영역 인정을 받을 수 있나요?학과별로 인정 기준을 달리할 수 있으므로 인턴십 영역 인증이 필요한 학생은 계획서 신청 전에 반드시 학과 사무실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POSTED DATE : 2023-05-24
- WRITER : 화학과
- HIT : 424
-
- POSTED DATE : 2023-05-22
- WRITER : 화학과
- HIT : 172
-
2023학년도 1학기 기말강의평가 및 강의평가 결과 공개를 아래와 같이 시행합니다. 우리 대학 강의 개선을 위한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강의평가에 학생 여러분의 솔직하고 성의 있는 응답 부탁드립니다.❑ 강의평가 기간: 5. 22.(월) 10:00 ~ 6. 2.(금) 23:00❑ 대상 과목: 학사과정,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 모든 개설 과목※ 개별연구, 현장실습, 군사학 과목 제외❑ 평가방법가. 인터넷: GLS – 학업영역 – 강의평가 - 금학기강의평가나. 모바일/태블릿 PC: KINGO M – GLS – 성적/학업영역 – 금학기강의평가❑ 유의사항가. 강의평가기간 중 강의평가를 모두 완료한 학생에 한하여 성적공시기간 내에 성적열람 및 이의신청 가능※ 군복무 중 학점인정 수강 중인 군휴학생은 강의평가 참여 불가(추후 성적공시 확인 및 이의신청은 가능)나. 강의평가(ABEEK 강좌 「학습성과기여도평가」 포함)를 완료하지 못한 학생은 성적공시 최종일에 강의평가 완료 후 하루 동안만 성적열람 및 이의신청 가능다. 강의평가는 제출 후 수정이 절대 불가하오니, 신중히 평가에 임해주시기 바랍니다.(* 수강과목명, 강의평가문항 및 선택지를 반드시 정확히 확인하고 응답해주시기 바랍니다.)라. 모든 강의평가는 비공개로 실시되며, 참여자에 대한 익명이 보장됩니다.마. 학생 스스로 본인의 학습태도를 평가하는 학습자 자기평가문항을 운영하오니 솔직하고 성실하게 문항에 응답해주시기 바랍니다.(추후 금학기성적공시 메뉴를 통해 자기평가점수 확인 가능)[강의평가 결과 공개]* 강의평가 결과 공개 제도: 학생들에게 충분한 교육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합리적인 수업 선택이 가능하도록 강의평가 결과를 공개하는 제도❑ 결과 공개 기간: 7. 10.(월) 10:00 ~ 2023학년도 2학기 수강변경 및 확인기간까지❑ 유의사항가. 최근 1년 간의 강의평가 결과를 ‘GLS-책가방’ 메뉴에서 확인 가능합니다.나. 학수번호-담당교강사 기준으로 30개 강좌까지 평가결과 조회 가능합니다.(학수번호가 같아도 분반, 담당교강사가 다르면 강의평가 조회가능 횟수가 차감되며, 결과를 조회해서 횟수가 차감된 과목은 결과 공개기간 내 동일하게 다시 조회하여도 횟수가 차감되지 않음)관련 문의사항은 학사콜센터(Tel. 1811-8585)로 문의 바랍니다.감사합니다.[Course Evaluation, Spring Semester of 2023]❑ Evaluation Period: 5. 22.(Mon) 10:00 ~ 6. 2.(Fri) 23:00❑ Subjects: All Courses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Except for Independent research, Field practice and Military science courses❑ How to participateA. Web: GLS – Study area – Course EvaluationB. Mobile/Tablet PC: KINGO M - GLS – Study area – Course Evaluation❑ NotesA. If students have NOT participated in all of course evaluations, the grade notification and objection shall be open to them only after they finish it on the last day of the grade notification period.B. You cannot revise your answers after submitting them.C. All of the course evaluations are anonymously conducted.D. Since the student self-evaluation question has been added in the course evaluation, please answer faithfully to the relevant questions, taking into account your learning attitude, etc.[Notification of Course evaluation results]❑ Period of the Results notification: 7. 10.(Mon) 10:00 ~ Before Course 'ADD & DROP' Period for Fall Semseter of 2023❑ NotesA. The results of the last one-year course evaluation can be checked in “GLS – Course bag” menu within the period above. You can view 30 results of previous course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course code – professor/instructor’B. Even if the course codes are the same, the available number of lecture evaluation checks shall be deducted in case the professors or divisions are different.* Once you checked the evaluation result of a course, however, the available number of result checks will not be double-deducted when you view the same result again only if the course code and professor/instructor(or division) are all the same.- Inquiries: One-stop Academic Service Call center(Tel. 1811-8585)
- POSTED DATE : 2023-05-22
- WRITER : 화학과
- HIT : 103
-
※ 논문 작성법 및 서식은 학교 홈페이지-교육-학사안내-학위논문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 학위논문 on-line 탑재 완료 기한: 6월 30일(금)※ 학위논문 인쇄본 (off-line) 제출 기한: 7월 7일(금)
- POSTED DATE : 2023-05-17
- WRITER : 화학과
- HIT : 317
-
* 문의: 대학원팀(02-740-1724)1. 학석사연계과정생 제도란?: 일반대학원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사과정 학생에게 학사과정 졸업평가 면제, 대학원 교과목 수강기회(대학원 수업연한 단축 가능) 부여, 학사과정 마지막 학기 전액장학금 지급 등의 특전을 주는 제도. 선발된 학생은 선발 후 진입하는 학기에 학사과정 마지막 학기 재학생이어야 하며(수료생 제외), 그 차학기에는 바로 대학원 진학이 가능해야 합니다.※ 학석사연계과정생 선발 제외학과: 퀀트응용경제학과,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과, 그 외 계약학과 (학과 사정에 따라 제외학과는 수정/추가될 수 있습니다.)2. 지원자격: 2024학년도 1학기(3월) 대학원 진학예정자로 트랙별 지원자격을 갖춘 자※ 진학예정 시기에 대학원 진학이 불가한 경우 학석사연계과정 이수가 취소되며, 장학금은 반환해야 합니다. 또한 학사과정 졸업평가 의무가 재부과 됩니다1) 조기졸업트랙2023년 2학기 등록 예정자(수료자 제외)로서 2024년 2월에 조기 졸업이 가능하며, 2023년 1학기까지 전 과목 평점평균이 3.5이상인 학생2) 정규졸업트랙2023년 2학기에 8학기 또는 초과학기 등록 예정자(수료자 제외)로서 2024년 2월에 졸업이 가능하며, 2023년 1학기까지 학업성적이 3.0이상인 학생※ 2023학년도 1학기 성적 반영 이후 평점평균이 기준 미달인 경우 선발이 취소될 수 있음3. 지원절차1) 신청 기간: 2023.5.22.(월) ~ 2023.6.2.(금)2) 신청 방법: GLS 신청※ 공지사항에 첨부된 ‘신청 매뉴얼’ 참고※ 반드시 저장 후 “제출” 버튼을 눌러야 학석사연계과정 신청이 완료됨※ 학과별로 어학성적평가, 면접 등의 별도 선발절차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4. 제출서류/Required Documents (Only foreign students)외국인 지원자의 경우, 아래의 서류를 추가로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①, ② 모두 제출)① 본인 여권 및 부/모 여권 (또는 본국 신분증) - 컬러 사본② 본인 및 부모의 가족관계 입증 서류 (공증본의 경우 6개월 이내 공증, 영사인증 불필요)※ 중국 이외 국적자: 가족관계증명서 또는 출생증명서 원본 (필요 시 번역공증)※ 중국 국적자 (1개 선택): 친족관계증명서 공증본 또는 호구부 공증본 제출- 호구부가 부모와 분리되어 있는 경우 또는 부/모가 호주로 등록되지 않은 경우 친족관계증명서 제출※ 부모 이혼/사망 등으로 서류 제출 불가한 경우, 해당 사실을 증명하는 정부기관 발급 서류 제출제출기한: 2023. 06. 16.(금)제출장소: 대학원팀, 인문사회과학캠퍼스 600주년기념관 2층 10215A호International student is required to submit the following documents in addition to the application documents (both ①, ② required):① Applicant’s passport and parents’ passport (or local ID cards) - Color copy② Original Family relationship certificate or birth certificate – in English or Korean (original or notarized within 6 months required)- The documents should be official documents issued by the government※ If one of the parent’s documents is not available due to divorce/death, a certificate issued by the government proving such reason should be submitted※ Chinese nationality (choose 1): ①Family Relation Certificate, or ②Family Registry Certificate (Hokoubu) - Submit ① if applicant’s Hokoubu is separate from the parents’Submission Due: June 16 (Fri), 2023Address for Submission: Office of Graduate School Affairs, #10215A, 2F, 600th Anniversary Hall, Humanities & Social Sciences Campus5. 선발결과 발표 시기: 2023. 7월 초 예정 (학생별 GLS에서 선정결과 개별 확인)※ 경영학과, 과학수사학과, 소프트웨어학과 진학 예정자는 신청 시 “진학예정 대학원 학과” 선택 후 “진학예정학과 세부전공”을 눌러 세부전공까지 선택하여야 합니다.※ 진학희망대학원학과를 선택하실 때, 일부 학과의 통합 전 명칭을 선택하신 경우 통합한 학과명으로 변경됩니다.※ 진학희망대학원학과를 선택하실 때, 학석사연계과정생을 미선발하는 학과를 선택하신 경우, 반려 처리됩니다.6. 혜택1) 대학원과목 수강 및 학사-대학원 학점 중복 인정(최대 6학점, 전문대학원은 최대 9학점)- 석박공통과목(학수번호 넷째자리가 5로 시작하는 과목) 수강 가능- 수강한 대학원 과목의 전공동일/비동일계열 여부에 따라 학사과정 전공일반 혹은 일반선택 학점으로 인정 가능- 대학원 단설/융복합학과 과목은 기한 내 학과장 승인을 받은(학점인정신청서 제출) 경우 학사과정 학점으로 인정 가능** 운영지침 상 동일계열학과 구분은 학과 운영계획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유의사항※* 단설/융복합학과 대학원과목(석박공통) 수강 후 학사과정 전공학점 인정은 양 학과장의 서명을 받아 학점인정신청서를 기한내 제출해야 함 (선발자 별도 안내예정)* 서류양식은 운영지침 [별지서식2] 활용* 제출처 및 제출기한은 선발자 대상으로 별도 안내 예정** 운영지침 상 동일계열학과 구분은 학과 운영계획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2) 학사과정 졸업평가 면제(※3품 인증은 완료하여야 함)- 학석사연계과정 이수를 포기할 경우 졸업평가 의무가 재부과됨- 전공별 졸업평가(논문 등) 심사에 걸리는 기간이 상이할 수 있으니 주의 바람3) 대학원 진학 모집시기에 별도 원서접수 절차를 거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학석사연계과정 신청/선발 정보를 기반으로 입학원서를 자동 생성합니다.4) 마지막 학기 학석사연계장학금 지급- 등록금 고지서 감면 처리- 선발 후 학사과정 9학기(초과학기)에 진입하는 학생에게는 등록 이후, 9~10월 중 계좌 지급- 선발 후 학사과정 10학기(두번째 초과학기)에 진입하는 학생에게는 장학금 지급 불가※ 장학금 최소지급기준은 장학금 지급규정에 따름* 학석사연계과정으로 선발된 학생이 운영지침과 교내 장학금 지급규정을 숙지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를 학교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 POSTED DATE : 2023-05-17
- WRITER : 화학과
- HIT : 487
-
<2023년도 수림재단 신규장학생 선발 안내>https://www.surim.or.kr/kr/news/notice.php?bgu=view&idx=270관심있는 학생은 수림재단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확인하고 수림재단으로 직접 지원하시기 바랍니다.-----------------------------------------------------------------------------------------------------------------------------------------------------수림 재단은 2023년도 신규 장학생을 선발합니다.자격요건을 갖춘 학생은 지원기간(2023.03.01~2023.05.12)내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신규장학생의 지원자격은 다음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입니다.1) 5개 자연과학 부문 전공자 – 물리·과학·천문·지리, 화학, 생물·생명과학, 수학·통계학, 의학(의예과) ※ 지원 가능한 전공학과는 국가교육통계센터 교육통계서비스의 분류기준에 준하며(재단 홈페이지 참조), 전공부문별로 선발한다.2) 대학 입학 당해 연도의 수능성적이 4개 영역(국어, 수학, 영어, 탐구 2과목) 모두 4등급 이내인 자. 단, 탐구영역의 경우 2과목의 등급 평균이 4등급 이내면 가능.3) 2023학년도 1학기 이수 학점을 총 12학점 이상 신청한 자4) 2023학년도 1학기 학자금 지원 구간 6구간(국가장학금 소득 6분위) 이내인 자* 국가장학금 수혜자도 지원이 가능하니 많은 지원 바랍니다.* 수림재단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내용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POSTED DATE : 2023-05-09
- WRITER : 화학과
- HIT : 590
-
다 음 - 모집기간: 2023. 5. 11.(목) ~ 2023. 5. 24.(수) 18:00까지- 모집대상: 자연계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후 박사과정 수학중인 학생(석박통합의 경우 4학기 이상 수료생), 기 졸업자의경우 불가- 공지사항 주소: 한국연구재단 공지사항: https://www.nrf.re.kr/biz/info/notice/view?menu_no=378&page=&nts_no=196812&biz_no=326 학교 홈페이지 공지사항: https://www.skku.edu/skku/campus/skk_comm/notice01.do?mode=view&articleNo=105643- 관련 공문 및 공고문, 서식 자료 첨부- 상세문의: 대학원 전문연구요원 담당: skkutrp@skku.edu (031-290-5035, 5031)
- POSTED DATE : 2023-05-09
- WRITER : 화학과
- HIT : 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