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Research
Academics
People
Board
㈜H&A파마켐 유효경 대표(화학85)와 지홍근 CTO대표(화학84)는 12월21일 총장실을 방문하여 「화학과발전기금」으로 5년간 50만 달러를 기부약정하고, 첫해 10만 달러(약1억8백만 원)를 전달하였다. 기금전달식에는 신동렬총장, 주영수 상임이사, 유홍준 (인)부총장, 화학과 류도현 학과장과 부진효 교수, ㈜H&A파마켐의 유효경 대표와 지홍근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훈훈한 분위기 속에서 개최되었다.유효경 대표는 인사말에서 ㈜H&A파마캠은 화장품 제조공장과 유통업체를 보유한 회사로서 바이오인캡슐레이션(Bioencapsulation), 나노에멀전, 생체캡슐화 등 독자적으로 개발한 기술을 바탕으로 화장품 소재개발에 대하여 우수성을 입증 받고 있다고 하면서, 향후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투자를 통해 회사를 더욱 성장시켜 학교에 더 큰 기여를 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지홍근 CTO대표는 이어진 인사말에서 유효경 대표와 공동창업자로서 학교선배인 류덕희 회장(화학56)과 조규학(화학 57)회장의 기부정신에 영향을 받아 후원을 결심하게 되었다고 하면서 회사가 상장되어 더 큰 기부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하였다.신동렬 총장은 감사말씀을 통해 ㈜H&A파마캠의 화학과 발전기금 기부소식은 기업이 성장하는 가운데 학교에 큰사랑과 후원을 주신 것이어서 더 큰 뜻으로 받아들여진다며, 전 세계적으로 화장품 원료회사로서 유망한 기업이 되어서 학교와 학과발전에 크게 기여하길 희망한다고 하였다. 행사는 기념촬영과 오찬으로 마무리 되었다.
류도현교수가 2020년 10월 대한화학회에서 개최된 126회 추계 학술발표회에서Sigma-Aldrich 화학자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우리대학 나노공학과 이진욱 교수, 생명과학과 정재훈 교수, 의학과 고아라 교수 및 화학과 신광민 교수가 2020년 9월 10일 포스코청암재단에서 선정하는 제12기 ‘포스코사이언스펠로’로 선발되었다.포스코사이언스펠로십은 국내에서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세계적인 과학자로 성장할수 있도록 포스코청암재단에서 지원하는 사업으로, 포스코사이언스펠로로 선정된 신진교수는 2년간 총 1억을 지원받게 된다.이번 포스코사이언스펠로우 선정사업은 신진교수 166명이 지원하여 8:1이 넘는 경쟁율을 보였으나, 우리대학에서는 이를 뚫고 에너지소재 분야에서 이진욱 교수, 생명과학분야에서 정재훈·고아라 교수, 화학분야에서 신광민 교수 총 4명의 교수들이 선정되었다.올해의 포스코사이언스펠로로 선정된 우리대학 교수들은 각각 고효율 장수명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이진욱 교수), 식물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물리 화학적 분자기전 연구(정재훈 교수), 장내미생물의 약물에의 적응을 기반으로 한 정밀의학 플랫폼 구축(고아라 교수) 및 카이랄 니켈-하이드라이드 기반 다중촉매 시스템 개발 및 이를 이용한 헤테로고리 화합물의 비대칭 알킬화 반응 개발 연구(신광민 교수)을 연구주제로 하여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화학과 김영독 교수, 화학과발전기금 4천만원 기부김영독 교수의 화학과발전기금 전달식이 7.3(금) 자연과학대학 학장실에서 개최되었다. 전달식에는 이상구 자연과학대학장, 류도현 화학과장이 참석하여 김영독 교수의 학교에 대한 사랑과 화학과 발전을 위한 후원에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김영독 교수는 우리 대학 학사, 석사를 졸업하였으며, 2007년 화학과 전임교원으로 임용된 이후 현재까지 재직하고 있으며, 학과 발전에 힘을 보태고자 '화학과 발전기금' 4천만원을 기부하였다.김영독 교수는 최근 제자들과 함께 개발한 미세먼지 및 전구 물질의 분해 촉매 기술을 주식회사 제이치물산과 우진페인트에 기술 이전하였으며, 여기서 발생한 발명자 보상금을 발명자 대표로 기부하였다.※ 발명자 : 정명근(삼성전자), 김대한(새론오토모티브), 한상욱(LG화학), 김일희(삼성전기), 박기정(도로교통공단)김영독 교수는 발전기금 전달식에서 "화학과가 앞으로도 계속 좋은 연구 성과를 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는 데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는 뜻을 밝혔다.
This site does not support JavaScript may connote normally invi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