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자기 학습 시간 |
영역 | 학위 |
이수 학년 |
비고 | 언어 |
개설 여부 |
---|---|---|---|---|---|---|---|---|---|
CHY5024 | 박막재료화학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화학과 | 영 | Yes |
박막재료들의 광학소자나 전기소자에의 응용은 최근 몇년동안에 매우 놀랄만한 속도로 성장하였다. 즉, 잘 조절되고 재현성이 있으면서 성질이 잘 밝혀진 박막들의 제조방법들과 기술들의 진보는 산업과 기술적인 응용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 강의의 전반부에서는 박막재료화학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과 그것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지식을 배우게 된다. 강의 후반부는 현재 산업적인 공정에 사용중인 박막재료화학의 다양한 응용예를 소개한다. | |||||||||
CHY5027 | 고급유기화학2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화학과 | - | No |
고급유기화학 I 의 연속강의로 탄소 양이온, 탄소음이온, 카르빈, 자유라디칼 등과 같은 다양한 유기반응중간체에 대한 기초지식을 제공하여 유기화학에 대한 대학원생들의 심도 있는 이해를 돕고자 한다. | |||||||||
CHY5044 | 유기입체화학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화학과 | - | No |
유기화합물의 입체화학에 대한 기본 원리를 대학원생에게 습득토록 한다. 특별히 유기반응에 대한 입체 및 입체 전자적 효과 등을 심도 있게 고찰한다. | |||||||||
COV7001 | 논문작성법및연구윤리1 | 1 | 2 | 전공 | 석사/박사 | 일반대학원 성균융합원 | 한 | Yes | |
1) 논문작성의 전반을 소개하고, 논문작성의 필수적인 교양을 습득한다. 2) 연구 결과를 영어로 표현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공부함으로써 향후 국내외학술지에 효율적으로 논문을 개제할 수 있도록 한다. 3) 연구 윤리를 습득한다. | |||||||||
DCE5001 | 디스플레이기술세미나Ⅰ | 1 | 2 | 전공 | 석사/박사 | 1-4 | 디스플레이융합공학과 | 한 | Yes |
디스플레이 분야 학계, 산업계 전문가를 초청하여 최근 디스플레이 연구 트랜드 및 산업 현황에 대한 세미나를 들음. | |||||||||
DCE5002 | 디스플레이기술세미나Ⅱ | 1 | 2 | 전공 | 석사/박사 | 1-4 | 디스플레이융합공학과 | 한 | Yes |
학생들이 세미나를 통하여 본인의 우수 연구 성과를 발표함으로써 발표 기술을 향상하고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토론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함. | |||||||||
DCE5003 | 고급디스플레이특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디스플레이융합공학과 | 한 | Yes | |
LG디스플레이 소속의 전문 engineer들을 초청하여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최신 기술들을 직접 강의함. OLED 공정, Back-plane 기술, 디스플레이 소재, 디스플레이 구동, 화질 등 디스플레이의 여러 분야의 핵심기술들을 각 분야별 전문가들이 직접 강의함. | |||||||||
DED5001 | 고급디스플레이구동기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한 | Yes | ||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동과 관련한 회로와 구동 알고리즘에 관한 내용 기술적 내용을 중심으로 강의를 진행하며 구체적인 수업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념과 동작원리를 이해한다. - 디스플레이 구동 IC의 이해한다. - 전원공급와 저소비전력 구동을 이해한다. - 패널 내장 회로를 이해한다. | |||||||||
DED5002 | 첨단디스플레이공학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한 | Yes | ||
첨단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을 폭 넓게 다룬다. 박막트렌지터스와 프런트플레인, 관련 소자 및 공정 기술, 재료 기술, 구동 기술을 포함 한다. | |||||||||
DED5003 | 첨단디스플레이산학프로젝트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1-8 |
한 | Yes | |
본 과목은 디스플레이 전문인력 양성 사업 참여 학생은 반드시 수행함을 원칙으로 하며, 디스플레이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기업과 현장 밀착형 실습교육을 수행하고 결과 보고서 제출을 요건으로 한다. 이 과목의 목표는 학생들의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수강 학생들은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현장에서 적용되는 것을 배우며, 아이디어를 제공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른다. 지도교수와 참여기업의 연구원이 멘토가 되어 함께 각 참여 학생을 지도한다. 대학원생의 인턴쉽 활동에 대한 평가는 단순히 해당 기간동안에 시간적으로 성실히 현장근무에 임했는지가 아니라, 산학협력 및 문제해결이라는 취지에 적합한 활동을 했는지를 보다 중요하게 평가해야 함 | |||||||||
DED5004 | 첨단디스플레이세미나 | 1 | 2 | 전공 | 석사/박사 | 1-8 | - | No | |
이 과목은 디스플레이 특성화대학원 지원 사업에 참여 중인 51개 디스플레이 관련 기업 중에서 현장 근무 중인 전문가들을 초빙하여 실제 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기술적인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산업체의 노력 및 최신 디스플레이 산업계 기술 동향에 대하여 세미나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책에서 얻을 수 없는 경험과 지식을 전수하며, 학생들은 향후 본인들이 취업하게 될 디스플레이 관련 다양한 회사와 업종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음. | |||||||||
DED5005 | 디스플레이패널역분석 | 2 | 4 | 전공 | 석사/박사 | 1-8 | 한 | Yes | |
디스플레이 공학의 최종 산출물인 디스플레이 Panel의 구조와 역할에 대해서 역분석을 통해 습득하는 과목임. 공정의 수직적 구조와 평면적 설계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공정구조를 추출하고 관련한 디자인을 룰을 산출하는 기본 능력을 배양하며 회로를 추출하고 회로의 동작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함 | |||||||||
DED5006 | 발광다이오드와디스플레이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동 교과목은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Light-emitting diodes, LED)와 이의 디스플레이 응용에 관한 전반을 포괄한다. 강의 전반부에서는 LED의 기초인 반도체의 광학적/전기적 특성, 재결합 이론, 전기적/전류주입발광 특성, 접합구조 및 이의 작동 원리, 양자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조, 패키지, 광학계를 다루고, 후반부에서는 LED 디스플레이의 제조 및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학습한다. 특히, 초실감의 AR/XR 디스플레이에 대해 최신 기술 트렌드를 다룰 예정이다. | |||||||||
DED6001 | 디스플레이박사연구1 | 3 | 6 | 전공 | 박사 | 1-8 | 한 | Yes | |
지도교수가 박사과정 학생에게 부여한 연구 과제를 수행한다. | |||||||||
DED6002 | 디스플레이박사연구2 | 3 | 6 | 전공 | 박사 | 1-8 | 한 | Yes | |
지도교수가 박사과정 학생에게 부여한 연구 과제를 수행한다. | |||||||||
DED7001 | 지속가능한대용량고속유연디스플레이제조 | 3 | 6 | 전공 | 학사/석사/박사 | 1-8 | - | No | |
인공지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어디에서나 모든 사물의 표면이 정보표시 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연하고 얇아 모든 사물의 표면에 부착이 가능한 사물디스플레이(Display of Things: DoT)를 요구하고 있으나, 포토리쏘와 증착으로 제조하는 단단한 평면 디스플레이는 폼팩터, 지구온난화 와 비용면에서 구현이 불가능하여, 기존의 제조방법이 지닌 모든 문제를 한 번에 해결 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대용량 고속제조방식을 이용한 초저가 유연디스플레이 제조에 대한 수용가 매우 높아, 본 과목에서는 환경친화적인 고속 정밀인쇄방법을 활용한 DoT제조를 위해 필요한 소재, 장비 및 소자설계 기술들에 관하여 이론과 DoT 제조실험을 동시에 강의 함. | |||||||||
EAM5601 | 광반도체및소자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신소재공학과 | 한 | Yes |
본 수업에서는 반도체 레이저 (Laser diode; LD),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 및 수광소자(Photodiode; PD)의 작동원리 및 구조를 소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며 이들 광소자 제작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반도체 물성의 설명을 통하여 이해시킨다. 높은 발광 및 수광 효율을 갖는 직접천이 반도체의 물성과 효율적인 광소자 작동을 위하여 사용되는 이종접합 구조의 설명을 통하여 발광되는 빛 및 감지되는 빛의 파장과 물성의 관계, 효율적인 광소자의 구조 설계 방안 등을 설명한다. | |||||||||
EAM5748 | 첨단디스플레이기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신소재공학과 | 한 | Yes | |
본 교과목은 최신 디스플레이 소재 및 소자 관련 연구 논문을 소개하고, 논문 내용을 분석하고 토론함으로써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 및 소자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고취하고자 한다. 또한, 광학적, 전기적, 표면적, 화학적 분석을 통해 디스플레이 소재와 소자의 물성을 이해하고, 디스플레이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과 전문가들의 특강을 통해 다양한 디스플레이 전문지식을 폭넓게 제공하고자 한다. | |||||||||
EAM7002 | 에너지전자재료화학 | 3 | 6 | 전공 | 학사/석사/박사 | 신소재공학과 | 영 | Yes | |
본 교과목에서는 전자공학 및 에너지 응용분야의 전자재료에 관한 응용화학적 원리에 대하여 학습한다. 특히, 해당 응용분야에 널리 쓰이는 무기화합물의 분자 및 결정수준의 화학결합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산염기 이론 및 소재의 화학반응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에너지 및 전자 재료의 합성 및 물성향상에 관한 응용예를 학습한다. 또한 재료화학에 대한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최신 소재들의 에너지 및 전자재료 연구동향에 대하여 고찰한다. | |||||||||
ECE4223 | 반도체공정기술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1-4 |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 | No |
반도체 제조에 활용되는 노광, 광 마스크, 건식 식각, 세정, 화학-기계적 연마, 확산, 박막 등의 단위 공정기술과 트랜지스터, 소자분리, 커패시터, 배선 등의 모듈 공정기술의 이론적 배경과 실제 응용사례를 소개하여 반도체 공정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아울러 차세대에 필요한 기술 방향을 제시한다. | |||||||||
ECE4249 | 컴퓨터비전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1-4 |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한 | Yes |
본 과목은 컴퓨터에 의한 영상해석을 위한 이론을 정의한다. 영상 형성의 모델, 초기처리과정, 경계선의 검출, 영역의 확장과 분할, 움직임검출, 정합, Morphology 등의 알고리즘 소개와, 도형인식을 위한 통계적 모델, 분별함수, 결정 경계 및 법칙, 신경망 등의 이론을 강의한다 | |||||||||
ECE4261 | 나노소자공학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1-4 |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영 | Yes |
본 과목에서는 나노미터 이하의 규격을 가지는 물질의 성장, 물리 및 전기적 특성을 논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제작된 소자의 종류(기억소자, 논리소자 및 디스플레이용 소자 등), 구성 및 동작원리를 강의한다. 선 수강 과목으로는 물리전자, 반도체공학, 전자재료, 반도체고집적공학 등을 권유한다. | |||||||||
ECE4275 | 고체전자물리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1-4 |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영 | Yes |
고체 전자소자 설계 및 개발에 필요한 고체물리학을 개론수준으로 다룬다. 절연체, 반도체, 도체의 전기적 성질 및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 작성을 위해 필요한, 고체물리학을 주로 다룬다. 나아가, 고체 상태 소재 (반도체) 내부에서 캐리어가 이동하는 이론에 대해 상세히 배운다. 마지막으로, PN접합 및 MS접합에 대한 이론을 상세히 다룬다 (DC, AC, 과도응답특성 포함). | |||||||||
ECE4276 | 지능형생체소자개론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1-4 |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한 | Yes |
바이오 공학에 응용되는 나노, 반도체 전자소자를 중심으로 기계, 재료, 전기적 특성 등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체 소자의 기능 최적화를 위한 방법을 이론강의와 토론을 통하여 습득한다. 특히 현재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생체삽입형 및 결합형 전자소자를 소개하고,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최신 뇌파 신호 감지를 위한 유연 소자에서는, 효과적 신호처리와 금속 전극 개수감소를 위해, 제어장치 및 증폭 회로가 생체 소자 인터페이스에 삽입이 되었으며, 무선통신 기반 시스템을 요구하는 추세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생체 전자소자의 구조, 전극의 구현, 측정 신호처리, 진단 치료 플랫폼, 생체 반응 제어 기술에서 요구되는 전기 전자 공학 기반 지식을 교육하고 융합적 공학 인재 양성을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 |||||||||
ECE4281 | 유연전자소재공학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1-4 |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한 | Yes |
본 교과목은 기능성 유연전자소재의 기계적/전기적 특성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한다. 이를 바탕으로 유연전자소자 제작을 위한 전사 공정 및 프린팅 공정의 핵심 기술 등을 학습한다. 또한, 유연한 전극과 반도체의 변형에 따른 전기적 특성 이해한다. 특히, 본 학과에서 기학습한 회로이론, 논리회로, 반도체공학 과목을 기반으로 RLC 필터/증폭 회로, 트랜지스터, 논리게이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등이 변형시에도 안정적으로 구동되는 원리를 이해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이러한 유연전자소자를 디스플레이, 센서, 무선집적회로등에 응용할 수 있는 전자공학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목표로 한다. | |||||||||
ECE4282 | AI집적회로설계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1-4 |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 | No |
본 과목에서는 AI 용 집적회로 설계에 대해서 다룬다. 특히,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Processor In Memory (PIM) 회로의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해서 강의하고, EDA 툴들을 이용해서 설계 실습까지 하는 목표로 한다. | |||||||||
ECE4286 | 인공지능반도체메모리소자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 | No | |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s)에 기반을 둔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여러 복잡한 인지 과제에서 인간과 유사하거나 인간을 뛰어넘는 성능을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심층 신경망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현재의 노이만 컴퓨팅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은 인간 뇌와 비교하여 매우 낮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뇌 신경망 구조를 모사하여 조밀하게 연결된 병렬 뉴런과 시냅스로 구성된 뉴로모픽 하드웨어(Neuromorphic hardware)가 제안되었다. 본 강의에서는 뉴로모픽 하드웨어의 구동원리와 뉴로모픽 하드웨어에서 시냅스의 가중치 표현하는 멤리스터(Memristor) 메모리 소자를 학습한다. 멤리스터 종류별로 플로팅게이트 메모리(Floating gate Memory) 방식, 저항형 메모리(Resistive Memory) 방식, 상변화 메모리(Phase-change Memory) 방식, 자기저항 메모리(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방식, 강유전체 메모리(Ferroelectric Memory) 방식의 재료 및 구현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 |||||||||
ECE5422 | 박막응용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영 | Yes |
박막은 박막의 물질의 부피, 기하학적 모양, 불평형 미세구조로 인해 bulk 물질과는 상당한 차이를 가지는 독특한 특성을 가진다. 본 강의는 박막의 특성들을 살펴보고 박막 성장과 박막특성 규명의 여러 방법들을 학습한다. 본 수업은 박막을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 박막트랜지스터, VLSI, 센서와 메모리 소자 등과 같은 유용한 전자소자에 적용가능하다. | |||||||||
ECE5423 | 반도체소자공학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영 | Yes |
본 강의를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메모리용 반도체 집적회로의 기본이 되는 반도체 물성을 토론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집적회로의 기본소자인 pn 다이오드, MOS 소자 및 BJT의 원리 및 응용을 이해한다. | |||||||||
ECE5467 | 아날로그IC설계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영 | Yes |
CMOS Analog 회로설계에 필요한 Simulation 기법 및 기본적인 CMOS 소자 Modeling 및 소자 동작에 대하여 공부하고, 이를 바탕으로 CMOS Analog 회로 설계에 대하여 공부한다. 특히 본 과목에서는 Memory설계에 필요한 Analog 회로설계에 중점을 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