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목표 및 인재상
국제통상학 연계전공은 급속한 국제정치 및 국제경제 환경 변화의 구조적 특성과 국제통상체제의 제도적 특징에 대한 심도 있는 교육과 주요 외국어의 연마를 통하여, 국제기구, 다국적 기업 및 정부부문의 통상전문가를 양성하는데 교육목표를 둔다. 특히 국제통상전문가로서의 필수자질인 국제경제 및 국제정치구조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함께 외국어교육, 국제문화교육을 아우르는 학제적 접근을 통하여 국제통상부문의 전문성과 국제적 보편성을 겸비한 국제통상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재화 및 정보의 원활한 유통에 기여하는 인재
- 급속한 국제경제환경 변화의 구조적 특성 및 국제통상체제의 제도적 특징에 대한 심층적인 교육과 주요 외국어의 연마로 통상전문가를 양성
-
실사구시적 안목을 갖춘 창의적 인재
- 기초 학문에 대한 충실한 교육으로 전공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응용능력을 제고
-
국가발전을 견인할 지도력을 갖춘 인재
- 세계 각 지역의 언어와 문화에 대한 교육병행 및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지속적인 교육과정 개편을 통해 국제통상 분야의 전문화를 도모
-
전문성․국제적 보편성을 겸비한 전문가
- 외국어 교육에 많은 비중을 두어 국제통상 전문가로서의 기본 소양 양성
안내 및 소개
최근 재화·용역·생산요소 및 금융자산의 거래에 있어 국제시장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으며, 국제거래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기본 메커니즘과 국제거래의 양태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수단에 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본 연계전공에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세계경제의 추이와 개방된 국민경제의 현황, 국제화된 기업의 운영실태 등을 체득하게 함으로써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나아가 인류사회에 이바지하도록 한다.
국제통상학 연계전공은 국제통상체제의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 국제통상론에 국한되지 않고 국제문화 및 외국어 부문을 아우르는 범학제적 접근법을 취하여 경제학, 경영학, 정치외교학, 법학, 행정학, 사학, 철학, 영어영문학, 프랑스어문학, 독어독문학, 러시아어문학, 중어중문학 등의 다양한 학과와 연계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국제통상학 전공자는 고도의 전문지식과 다양한 관련 학문을 탐구할 기회를 가지므로 졸업 후의 진로가 매우 넓고 다양하다. 국제무역 관련기업, 외국인 기업, 통상정책 관련 정부기관, 국제금융 관련기관 및 해외지역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한 기업체 등으로 진출하며, 이 외에도 학계 및 각종 연구기관, 언론 및 민간부문의 경제전문가로 활동하게 된다.
전공자의 관심과 노력 여하에 따라 UN, WTO, OECD, IMF 등 국제기구와 외국 대사관, 세관 등 국가기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 정부투자기관, 한국무역협회 등 경제단체, 투자회사 등 금융기관, 항공·선박회사 등 다방면으로 진출이 가능하다. 또한 관세사, 물류관리사, 세무사, 국제무역사, 변리사 등 다양한 종류의 자격증 획득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