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실 | 제1공학관 21408호실 |
---|
전화번호 | 031)290-7550 |
---|
교육목표 및 인재상
-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춘 교양인
-
상상력
- 인문·사회·과학·기술·예술 분야를 가로지르는 건축적 시각과 상상력을 갖게하는 교육
- 인간과 자연의 합일을 추구하는 유교적 세계관을 건축적으로 재해석하는 능력을 갖게하는 교육
-
상상력
-
공학적 전문성과 창의성을 갖춘 공학인
-
전통과 첨단의 조화
- 전통문화와 첨단기술이 조화를 이루는 미래의 건축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하는 교육
- 지속가능한 건축과 도시공간의 창출에 기여하는 능력을 갖게하는 교육
- 현대건축과 도시가 안고 있는 문제들을 유기적이고 총체적으로 읽어내어 다양한 삶을 수용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하는 교육
-
전통과 첨단의 조화
-
글로벌 역량을 지닌 리더
-
다양한 삶의 수용
- 현대건축과 도시가 안고 있는 문제들을 유기적이고 총체적으로 읽어내어 다양한 삶을 수용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하는 교육
-
다양한 삶의 수용
안내 및 소개
1970년에 설립된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는 1997년부터는 건축 조경 및 토목공학부의 건축공학 전공으로 통합되었고, 그간 수많은 졸업생을 배출하였으며, 사회 각 분야에서 눈부신 활약을 통하여 장차 21세기 인류의 환경을 감당할 미래의 주역으로서 그 위치를 확고히 다지고 있다. 국제화시대에 우리나라의 건축전문인이 국제적 인증을 받고 활동할 수 있도록 최저 교육연한 5년을 충족하며, 심도있는 건축학교육을 실현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5년제 건축학전공을 신설하였다. 건축학전공에는 11분의 전임교수님과 우수한 겸임교수님 그리고 우수한 실험/실습설비를 갖추고 건축의 각 분야별 전문지식은 물론 이의 통합능력을 배양하는데 교육의 초점을 둠으로써 미래의 전문 건축인 양성에 크게 기여해 오고 있다.
- 1969 이공대학에 건축공학과 설립허가
- 1970. 3. 제1회 신입생 입학 - 학과별 모집 (입학정원 30명)
- 1971. 3. 윤일주 교수 부임
- 1972. 3. 김용부 교수 부임
- 1973.10. 제1회 건축작품전
- 1974. 2. 제1회 졸업생 배출(41명)
- 1974. 3. 대학원 석사과정 개설
- 1976. 2. 석사학위 1호 배출
- 1976. 3. 졸업이수학점 160에서140으로 변경, 공학계학과 계열모집 (입학정원 100명)
- 1978. 9. 심우갑 교수 부임
- 1979. 3. 수원캠퍼스로 학과 이전
- 1980. 3. 이공대학에서 공과대학으로 분리, 권택진 교수 부임
- 1980. 9. 조대성 교수 부임
- 1981. 1. 후기전형에서 전기로 전환, 졸업정원제 채택
- 1981. 3. 박사과정 개설
- 1982. 3. 계열별에서 학과별 모집으로 전환 (입학정원 130명), 임창복 교수 부임
- 1983. 3. 서기영 교수 부임
- 1986. 2. 박사학위 1호 배출
- 1986. 3. 이상해 교수 부임
- 1991. 3. 윤인석 교수 부임
- 1993. 2. 권택진 교수 공과대학장 취임
- 1993. 4. 대한건축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유치
- 1995. 3. 김예상 교수 부임
- 1995. 9. 이동근, 변태호 교수 부임
- 1996. 3. 산업과학대학원 개설 (건설공학과 : 건축공학전공)
- 1997. 3. 학부제 시행에 따라 건축·조경 및 토목공학부, 건축공학전공으로 개편
- 2000. 3. 이정윤 교수 부임
- 2000.12.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건축공학분야 우수 대학 선정
- 2002. 3. 김성아, 김도년, 진상윤 교수 부임
- 2003. 3. 5년제 건축학과 독립 및 제1회 신입생 선발
- 2005. 3. 제1공학관 증축 및 건축학 교육공간 확충
- 2005. 4.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유치
- 2006. 2. 동아시아 도시건축 공동스튜디오(일본 와세다대학)
- 2007. 1. 동아시아 도시건축 공동스튜디오 (중국 동남대학)
- 2007. 3. 조성룡, 정기용 석좌초빙교수 부임
- 2007. 8. 동아시아 5대학 도시건축설계워크숍 (중국 무한대학)
- 2007. 9. 김영섭 교수 부임
- 2007.10. 건축학과 도서관 개관
- 2007.11. 동아시아 도시건축 공동스튜디오 (중국북경 교통대학)
- 2008. 1. 성균건축도시설계원 설립
- 2008. 3. 디자인대학원 건축도시디자인학과 개설
- 2008. 8. 동아시아 5개 대학 도시건축설계 워크숍 유치 (일본, 대만, 중국, 한국)
- 2008. 9. 권문성 교수 부임
- 2009. 3. 이중원 교수 부임
- 2009. 7. 한국 건축학 교육 인증 취득
- 2009. 8. 동아시아 대학 도시건축 공동 학생 워크숍 교류 - 대만 유치
- 2009. 8. 스페인 국립 마드리드대(ETSAM)와 학생 교류 협정 체결 - 매학기 2인 학생 교류
- 2009. 8. 스페인 사립 마드리드대(유로파)와 교원 및 학생 교류 협정 체결
- 2010 스페인 Santiago Porras 전임대우 외국인 교수 부임
- 2010. 8. 동아시아 대학 도시건축 공동 학생 워크숍 교류 - 일본 유치
- 2010. 9. 성균 건축 40주년 건축공학과와 공동 주최
- 2011. 3. 손세형 교수 부임
- 2011. 8. 동아시아 대학 도시건축 공동 학생 워크숍 교류 - 한국 유치
- 2011. 8. 스페인 국립 그라나다 대학과 학생 교류 협정 체결 - 매학기 2인 학생 교류
- 2011. 9. 프랑스 Francois Blanciak 전임대우 외국인 교수 부임
- 2011. 9. 스페인 유로파 대학과 제1회 한학기 교원 교류 - Maria Fullaondo & Ciro Marquez
- 2012. 3. 독일 Thorsten Schuetze 교수 부임
- 2012. 4. 이태리 베니스 대학과 학생 교류 협정 체결 - 매학기 2인 학생 교류
- 2012. 7. 독일 함부르크 Hafencity 대학과 학생 교류 협정 체결 - 매학기 2인 학생 교류
- 2012. 8. 동아시아 대학 도시건축 공동 학생 워크숍 교류 - 대만 유치
- 2013. 8. 동아시아 대학 도시건축 공동 학생 워크숍 교류 - 중국 유치
- 2014. 8. 동아시아 대학 도시건축 공동 학생 워크숍 교류 - 일본 유치
향후 비전 및 진로
- 대학 교육을 통하여 전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일정기간의 실무경험을 쌓은 후,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로서 다음의 전문분야에 종사하는 자를 뜻한다.
- 건축사 : 1차 예비시험(졸업 후) / 2차 실기시험(실무 5년) / (인턴 2년경과 후 개업 : 입법예정)
- 기술사 : 도시계획기술사 : 졸업 후 실무 7년
- 기 사 : 건축기사/실내건축기사/도시계획기사/정보처리기사/건축기사/의장기사
- 각종 공무원 : 공무원 해당시험 응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