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Future, Grand Challenge

통합검색
메뉴
통합검색
메뉴
닫기
통합검색
 

학사과정

  • home
  • 학사과정
  • 신소재공학부
  • 교육 과정

신소재공학부

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자기
학습
시간
영역 학위 이수
학년
비고 언어 개설
여부
EAM3050 재료열역학2 3 6 전공 학사 3-4 - No
기체와 고체상간의 화학반응, 용액의 거동, 자유에너지곡선, 다성분계에서의 상평형 및 전기화학에 대해 다룬다.
EAM3055 응용소재현장실습1 2 4 전공 학사 3-4 - No
Co-op program으로 교외 연구소에서 현장실습을 경험함.
EAM3056 응용소재현장실습2 3 6 전공 학사 3-4 - No
Co-op program으로 교외 연구소에서 현장실습을 경험함.
EAM3057 응용소재현장실습3 4 8 전공 학사 3-4 - No
Co-op program으로 교외 연구소에서 현장실습을 경험함.
EAM3058 응용소재현장실습4 5 10 전공 학사 3-4 - No
Co-op program으로 교외 연구소에서 현장실습을 경험함.
EAM3063 에너지전기화학 3 6 전공 학사 3-4 Yes
신소재의 전기화학반응과정을 화학적, 전기화학적, 야금학적 기법을 통하여 분석한다. 전기화학반응의 열역학적, 동역학적 기본을 이해하고 음극방식설계에 응용한다.
EAM3066 신소재개별연구 3 6 전공 학사 4 - No
신소재공학부에서 연구하는 다양한 연구테마를 설정하여 학생이 교수와 개별연구를 하는 과목이다. 연구주제에 대해 이론적 배경, 원리, 실험방법, 응용범위 등을 학습하고 익힌 뒤 실험을 통해 연구결과를 분석한다. 특히 공정변수, 미세조직, 특성과의 연관성을 이해하여 이론과 실험결과를 비교한다.
EAM3067 유기전자재료및응용 3 6 전공 학사 3 - No
본 강좌에서는 유기재료가 갖고 있는 물리, 화학적 특성을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LCD 디스플레이, 유기반도체, 유기태양전지 등 다양한 유지전자소재 응용분야를 배우는데 목적이 있다.
EAM3068 바이오재료 3 6 전공 학사 4 Yes
본 수업에서는 재료공학을 비롯한 공학기술이 어떻게 바이오 분야에 접목되어 의료와 환경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DNA나 단백질과 같은 대표적인 바이오 분자와 세포, 그리고 생체조직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이를 바탕으로 마이크로 어레이, 바이오센싱, 약물 전달, 그리고 티슈 엔지니어링 등 여러가지 생체공학 기술을 접하고, 이에 필요한 재료공학 기술에 대해서 학습한다.
EAM3069 응용소재현장실습5A 6 12 전공 학사 4 - No
Co-op program으로 교외 연구소에서 현장실습을 경험함.(실습기간 : 9 ~ 12주)
EAM3070 응용소재현장실습5B 7 14 전공 학사 4 Yes
Co-op program으로 교외 연구소에서 현장실습을 경험함.(실습기간 : 13 ~ 16주)
EAM3071 응용소재현장실습5C 8 16 전공 학사 4 - No
Co-op program으로 교외 연구소에서 현장실습을 경험함.(실습기간 : 17 ~ 20주)
EAM3072 응용소재현장실습5D 9 18 전공 학사 4 - No
Co-op program으로 교외 연구소에서 현장실습을 경험함.(실습기간 : 21 ~ 24주)
EAM3073 신소재콜로퀴움 3 6 전공 학사 3-4 Yes
향후 미래산업을 주도할 신소재 분야의 소재 및 부품 기술에 대한 산업 동향을 관련 산업체 전문가를 초빙하여 콜로퀴엄 형태로 청취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진로선택에 대한 정보와 최신 기술정보를 습득한다.
EAM3074 복합공정개론 3 6 전공 학사 3-4 - No
이 강의는 재료공학 배경지식을 가진 고학년 학생이 화학공정을 이해할 수 있는 화학공학 학문분야 내용을 가르치기 위한 과목이다. 해당 학문분야로는 화공양론, 열역학, 반응공학 및 전달현상 분야가 있다. 본 과목은 이러한 화학공정의 분석을 위한 기본 학문 분야의 강의를 통하여 공정을 더 잘 이해하고, 차후 개발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EAM3076 유연인쇄전자소재공학 3 6 전공 학사 3-4 - No
미래소자에 대한 연구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최근 전자 산업의 미래로 각광받고 있는 분야는 유연·인쇄 전자이다. 본 강의는 유연·인쇄 전자를 이끄는 소재 (유기 및 나노 소재 등)에 대한 논의부터 시작해서, 현재 떠오르고 있는 다양한 소자에 대한 토의까지 진행된다. 본 강의를 통해 학생들은 향후 미래소자의 근간을 이루게 될 유연×인쇄 전자의 소재기술 및 응용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게 될 것이다.
EAM3078 신소재종합설계 3 6 전공 학사 3-4 영,한 Yes
본 교과목에서는 새로운 물성의 재료를 얻기 위한 재료 조성/미세구조/가공 방법 등에 대한 깊이 있는 이론적 학습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어진 물성을 얻기 위한 재료 선택/합성/구성 방법 등을 직접 설계하여 본다.
EAM3080 재료계면과학 3 6 전공 학사 3-4 Yes
본 과목은 학부생을 대상으로 계면현상의 원리를 소개하고, 계면현상들이 재료공정에서 적용되는 기본 이론에 대하여 공부한다. 재료 계면은 고체/고체, 고체/액체, 고체/기체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는 도핑, 분산, 용액코팅, 기상증착 등의 소재개발 핵심공정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학문이다. 특히 소재를 다루는데 있어 경험적인 공정을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계면물리/화학과 이에 기초한 공정 및 소재물성의 연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본 과목의 목표이다.
EAM3081 반도체소자 3 6 전공 학사 3-4 - No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소자는 우리의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을 변화시켰고, 이를 통하여 많은 연구와 전자산업이 시작이 되었다. 본 수업에서는 전자산업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반도체 소자의 작동원리와 활용 사례를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MOSFET의 기본 개념으로부터 Bioplar Junction Transistor (BJT) 및 Modern MOSFET (FinFET, Thin-Film Transistor, RF Transistor)에서 Short-channel effect을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과 이를 이용한 기본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소자의 구조와 작동원리 및 활용분야를 소개하고자 한다.
EAM3082 광전자소자 3 6 전공 학사 3-4 Yes
본 수업에서는 빛의 물리적 특성 및 물질이 나타내는 광학 특성을 이용하여 현재 사용되거나 연구되고 있는 광전자소자의 작동원리와 활용 사례를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빛의 전파 특성(반사, 굴절, 회절, 간섭), 물질의 미세 구조와 광학 특성(굴절률, 광흡수, 발광), 편광, 광도, 휘도 등을 소개한 후 다층 구조 거울, 공진기, 액정, 태양전지, 광전 다이오드, 발광다이오드, 레이저, 편광조절기, 전광 변조기 등의 구조와 작동원리 및 활용 분야를 소개한다.
EAM3083 재료조직학개론 3 6 전공 학사 3-4 - No
본 수업에서는 금속 조직형성에 관련된 기본 이론과 통계학적 처리방법에 관련된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특히, 금속 부품의 제조 공정변수에 따라 형성되는 미세조직과 물리, 화학, 기계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학기 후반부에서는 파단, 응고, 열처리 및 가공공정에 나타나는 문제들을 금속 조직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해결책을 살펴본다.
EAM3084 신소재공학창업현장실습1 3 6 전공 학사 3-4 - No
본 과목은 창업현장실습 과목으로서, 학교에서 수업을 통해 배운 신소재관련 전공지식이 실제 창업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직접 배운다. ※창업대체학점인정제도로 운영되는 교과목입니다. 본 과목은 창업을 통해 학습목표의 달성이 가능한 경우 학점으로 인정하는 교육과정입니다. 창업한 학생으로 교내 절차에 따라 승인된 학생만이 창업현장실습 교과목 수강이 가능합니다. 반드시 본 교과목을 수강하기 전에 반드시 요건 및 절차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EAM3085 신소재공학창업현장실습2 6 12 전공 학사 3-4 - No
본 과목은 창업현장실습 과목으로서, 학교에서 수업을 통해 배운 신소재관련 전공지식이 실제 창업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직접 배운다. ※창업대체학점인정제도로 운영되는 교과목입니다. 본 과목은 창업을 통해 학습목표의 달성이 가능한 경우 학점으로 인정하는 교육과정입니다. 창업한 학생으로 교내 절차에 따라 승인된 학생만이 창업현장실습 교과목 수강이 가능합니다. 반드시 본 교과목을 수강하기 전에 반드시 요건 및 절차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EAM3086 신소재공학창업현장실습3 9 18 전공 학사 3-4 - No
본 과목은 창업현장실습 과목으로서, 학교에서 수업을 통해 배운 신소재관련 전공지식이 실제 창업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직접 배운다. ※창업대체학점인정제도로 운영되는 교과목입니다. 본 과목은 창업을 통해 학습목표의 달성이 가능한 경우 학점으로 인정하는 교육과정입니다. 창업한 학생으로 교내 절차에 따라 승인된 학생만이 창업현장실습 교과목 수강이 가능합니다. 반드시 본 교과목을 수강하기 전에 반드시 요건 및 절차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EAM3088 신소재첨단분석법 3 6 전공 학사 3-4 영,한 Yes
최근들어 다양한 첨단소자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신소재의 기본적인 물성평가 장비도 첨단화되어 분석장비의 사용법을 습득하는 것은 신소재공학 분야에서 핵심 소양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과정은 반도체/전자/에너지/바이오/센서 등에 사용되는 소재의 성능을 평가하는 분석 장비들에 대한 기초지식을 학습하고, 각 분석 방법이 갖는 장단점을 이해하도록 하며, 실제의 자료를 통하여 분석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교육은 연구현장 및 산업현장에서 바로 활용이 가능한 핵심 교육과정이다.
EAM3089 신소재공정실험 3 6 전공 학사 3 한,영 Yes
본 교과목에서는 신소재공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금속, 세라믹, 나노 소재 등의 주요 소재를 제조 하거나 합성하는 기본적인 공정들을 실험해 봄으로써 재료 분야의 주요 공정을 접할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EAM3090 재료분석실험 3 6 전공 학사 3 Yes
본 교과목에서는 신소재공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도도, 이동도 등 재료의 주요 물성을 측정하고 SEM, XRD, AFM 등을 활용하여 재료의 미세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실험 기회를 제공한다.
EAM3091 반도체공정실험 3 6 전공 학사 4 Yes
본 교과목에서는 신소재공학과에 진입하여 수강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박막증착, 에칭, Lithography 등 반도체 공정을 배움으로써 기본적인 소자를 제작하고 반도체의 기본적인 공정 flow를 접할 기회 제공하고자 한다.
EAM3092 이차전지공학 3 6 전공 학사 4 Yes
리튬이차전지 사업은 전기자동차 및 에너지 저장 장치의 등장으로 인하여 그 발전이 더욱더 가속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 전지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을 통하여, 주요 전지 생산국이 되었지만, 중국 및 일본과의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이다. 이에 신소재공학부 전공자로서 리튬이차전지의 원리를 이해와 동시에 소재 및 생산 관련 기술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더 나아가 전기화학 및 구조분석방법을 통한 리튬이차전지에 대한 접근 및 연구 방법을 체계적으로 토론한다. 또한 본 수업은 리튬이차전지의 핵심 소재에 대한 구조와 성질, 이들의 특성들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
EAM3093 연성소재물리개론 3 6 전공 학사 3-4 Yes
연성 소재는 응집물질의 하위분야이지만, 상온 또는 상당히 높은 온도에서 금속, 세라믹과 같은 순수한 고체 특성을 유지하는 고전적인 응축물질과는 대략 구별된다. 연성소재에는 액체, 콜로이드, 폴리머, 폼, 젤, 액정 및 혈액, 근육, 우유, 요구르트와 같은 여러 생물학적 물질이 포함된다. 연성소재는 구조재 및 포장재, 발포체 및 접착제, 세제 및 화장품, 페인트, 식품 첨가물, 윤활제, 타이어 고무 등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물질이다. 또한, 최근 부상하고 있는 폴더블, 웨어러블, 롤러블 플렉서블 전자소자 응용을 위해 첨단 연질 소재의 개발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본 수업에서는 연성소재의 기본적인 물리적 특성을 소개하고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성소재는 상온 열 에너지와 유사한 에너지 스케일에서 다양한 물리적 변화 거동이 발생한다는 중요한 공통점이 있다. 즉, 작은 열에너지 진동에 의해 변형되거나 구조적인 변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특성은 많은 내부 자유도, 구조 요소 간의 약한 상호 작용, 자유 에너지에 대한 엔트로피 및 엔탈피 기여 간의 섬세한 균형과 같은 공통적인 물리 화학적 기원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