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Future, Grand Challenge

Search
Close
Search
 
  • home
  • Program
  • Graduate
  • Course&Curriculum

Program

Course&Curriculum

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Course Code Course Title Credit Self-Learning Time Division Degree Grade Note Language of Instruction Course Availability
CCS5026 Studies on Issues in Modern Culture 3 6 Major Master/Doctor 1-4 Comparative Culture Yes
본 교과에서는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대 문화 연구를 둘러싼 다양한 쟁점들을 집중적이고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CS5030 Studies on Cultural Studies and Mass Cultures 3 6 Major Master/Doctor Comparative Culture Yes
문화연구의 방법론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을 통해 대중음악, 영화, 대중 문화 현상에 대한 분석력을 증진한다. 이론적 심화 과정 후에는 대중사회의 출현과 문화연구의 등장에서 당대 대중문화에 대한 주요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수행한다.
CCS5031 Seminar on Media Art and Culture 3 6 Major Master/Doctor Comparative Culture Yes
이 강좌는 다양한 매체 예술의 역사와 현재를 검토하며 문화연구의 주제들을 찾아가는 세미나이다. 영화, 사진, 만화, 애니메이션, 드라마를 비롯한 미디어 아트의 전반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 강좌로,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한 장르를 집중적으로 검토할 수도 있다. 수강생들은 미디어 이론을 공부하며, 문화연구의 개별 주제를 찾아가는 다양한 경로들을 시험한다.
CCS5034 Seminar on Translation and Cultural Studies 3 6 Major Master/Doctor Comparative Culture - No
이 강좌는 번역 이론과 번역 사례에 대한 연구를 통해 비교문화 연구의 구체적 주제들을 검토하는 세미나이다. 번역과 수사학, 번역과 정치, 번역과 (탈)식민주의, 번역과 문화연구 등의 쟁점들에 대한 깊은 이해를 추구하며, 텍스트 분석을 통해 경험적 연구를 시도한다.
CCS5035 Seminar on Literature and Philosophy 3 6 Major Master/Doctor Comparative Culture - No
문학연구 특히 비평 연구는 현대철학과 깊은 관련을 갖고 있으며 현대철학 역시 문학비평을 매개로 진전해 왔다. 이 세미나에서는 문학 작품들에 대한 철학적 해석들을 검토하는 한편, 현대철학의 주요 경향들을 통해 문학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도모한다.
CCS5036 Seminar on City Space and modernity 3 6 Major Master/Doctor Comparative Culture Yes
도시 경험은 모더니즘 문명의 근원적 체험이다. 이 강좌는 도시의 각 공간에서 펼쳐지는 문화 현상과 주체 구성을 현대성의 관점에서 검토한다. 도시 경험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문헌들과 경험적 자료들을 읽고 구체적인 도시들에서 발견되는 문화 현상들을 분석한다.
CLA5001 Exercises in Classical Chinese1 1 3 Major Master/Doctor 1-4 Liberal Art Yes
<한문 연수>1∼4 연속 과목은 한국학, 동아시아학, 사회과학, 과학사 등 여러 전공의 대학원생이 자신의 연구를 위해 한문 자료를 독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순한 한문 독해 훈련이 아니라, 자료의 문헌적 특성을 파악하고 자료의 특성에 따른 한문 글쓰기의 언어적 특징을 파악하는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으로 한문을 독해할 수 있도록 한다. <한문 연수1>은 전통적인 자료 분류법인 경·사·자·집 가운데 경부에 속하는 한문 자료를 공부한다. 목록학을 통해 경부에 속하는 고전의 전체적 양상을 파악하고, 세부 분류와 시대별 흐름에 따른 한문 글쓰기의 변모의 특징을 이해하여 독해력을 기른다.
CLA5002 Exercises in Classical Chinese2 1 3 Major Master/Doctor Liberal Art - No
<한문 연수>1∼4 연속 과목은 한국학, 동아시아학, 사회과학, 과학사 등 여러 전공의 대학원생이 자신의 연구를 위해 한문 자료를 독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순한 한문 독해 훈련이 아니라, 자료의 문헌적 특성을 파악하고 자료의 특성에 따른 한문 글쓰기의 언어적 특징을 파악하는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으로 한문을 독해할 수 있도록 한다. <한문 연수 2>는 전통적인 자료 분류법인 경·사·자·집 가운데 사부에 속하는 한문 자료를 공부한다. 목록학을 통해 경부에 속하는 고전의 전체적 양상을 파악하고, 세부 분류와 시대별 흐름에 따른 한문 글쓰기의 변모의 특징을 이해하여 독해력을 기른다.
CLA5003 Exercises in Classical Chinese3 1 3 Major Master/Doctor 1-4 Liberal Art - No
<한문 연수>1∼4 연속 과목은 한국학, 동아시아학, 사회과학, 과학사 등 여러 전공의 대학원생이 자신의 연구를 위해 한문 자료를 독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순한 한문 독해 훈련이 아니라, 자료의 문헌적 특성을 파악하고 자료의 특성에 따른 한문 글쓰기의 언어적 특징을 파악하는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으로 한문을 독해할 수 있도록 한다. <한문 연수 3>은 전통적인 자료 분류법인 경·사·자·집 가운데 자부에 속하는 한문 자료를 공부한다. 목록학을 통해 경부에 속하는 고전의 전체적 양상을 파악하고, 세부 분류와 시대별 흐름에 따른 한문 글쓰기의 변모의 특징을 이해하여 독해력을 기른다.
CLA5004 Exercises in Classical Chinese4 1 3 Major Master/Doctor 1-4 Liberal Art Yes
<한문 연수>1∼4 연속 과목은 한국학, 동아시아학, 사회과학, 과학사 등 여러 전공의 대학원생이 자신의 연구를 위해 한문 자료를 독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순한 한문 독해 훈련이 아니라, 자료의 문헌적 특성을 파악하고 자료의 특성에 따른 한문 글쓰기의 언어적 특징을 파악하는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으로 한문을 독해할 수 있도록 한다. <한문 연수 4>는 전통적인 자료 분류법인 경·사·자·집 가운데 집부에 속하는 한문 자료를 공부한다. 목록학을 통해 경부에 속하는 고전의 전체적 양상을 파악하고, 세부 분류와 시대별 흐름에 따른 한문 글쓰기의 변모의 특징을 이해하여 독해력을 기른다.
COV7001 Academic Writing and Research Ethics 1 1 2 Major Master/Doctor SKKU Institute for Convergence Yes
1) 논문작성의 전반을 소개하고, 논문작성의 필수적인 교양을 습득한다. 2) 연구 결과를 영어로 표현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공부함으로써 향후 국내외학술지에 효율적으로 논문을 개제할 수 있도록 한다. 3) 연구 윤리를 습득한다.
DKL4001 Studies in History of Korean Language 3 6 Major Bachelor/Master 3-4
1-4
- No
국어의 형성기부터 현대국어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어의 음운, 문법, 어휘구조, 표기방식 등에 관하여 각 시대의 문헌자료 등을 중심으로 하여 고찰한다.
DKL4002 Studies in Korean Phonology 3 6 Major Bachelor/Master 3-4
1-4
- No
국어 음운론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방법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DKL4003 Studies in Classical Korean Poetry 3 6 Major Bachelor/Master 3-4
1-4
- No
고대가요로부터 개화기의 시조, 가사, 잡가에 이르기까지 시가사 전체의 흐름을 조망하면서, 기원, 전개, 변모, 상호관계의 과정을 연구한다.
DKL4004 Study of Classical Korean Fictions 3 6 Major Bachelor/Master 3-4
1-4
- No
고전소설의 전체적 성격을 조명하면서, 개별 유형의 특징을 살피고, 주요 작품의 주제, 인물, 구조 등을 분석하는 작품론적 연구를 병행한다.
DKL4005 Study of Classical Chinese 3 6 Major Bachelor/Master 3-4
1-4
- No
한문학의 주요 작가, 작품 및 기타 문학적 현상 및 이들의 상호 관련의 양상과 인과, 의미등을 특히 이 시기의 역사 현실, 사상의 추이 등과의 관련에 유의하면서 해명, 제시한다.
DKL4006 Study of Classical Korean Writers 3 6 Major Bachelor/Master 3-4
1-4
- No
고전 작가 중 대표적인 인물들을 선택하여 그의 생애, 사상, 시대배경, 문학적 성과 등을 다면적으로 연구한다.
DKL4007 Methodoloy in Modern Literature 3 6 Major Bachelor/Master 3-4
1-4
- No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수준에서 문학 이론들의 논리를 검토하고, 구체적이고 특수한 수준에서 문학 이론들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DKL4014 Studies in Korean Syntax 3 6 Major Bachelor/Master 3-4
1-4
- No
국어의 통사론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방법을 학습한다.
DKL4016 Studies in Korean Lexicology 3 6 Major Bachelor/Master 1-4 - No
국어의 어휘론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방법을 학습한다.
DKL4021 Studies in Korean Morphology 3 6 Major Bachelor/Master 3-4
1-4
- No
국어의 형태론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방법을 학습한다.
DKL4022 Studies in Korean Semantics 3 6 Major Bachelor/Master 3-4
1-4
- No
국어의 의미론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방법을 학습한다.
DKL4028 Introduction to Academic Writing in Korean Linguistics 3 6 Major Bachelor/Master Yes
국어학을 전공하려는 학부 고학년 학생들과 외국인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국어학 분야 논문작성의 이론과 실제를 강의함. 학생들에게 학문적 글쓰기의 기본부터 심화된 차원의 방법론을 두루 제시하고 이해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함.
DKL4031 Methologies of Comparative Cultural Studies 3 6 Major Bachelor/Master 1-4 - No
이 강좌에서는 우리 시대 비교 문화 연구의 다양한 이슈와 방법론들에 대해 논의한다. 문화 이론, 웹툰이나 팝 컬쳐 등의 뉴미디어 현상, 영화이론, 최근의 문화 현상에 대한 논쟁 등 문화연구의 여러 이슈들을 결합하여 구체적인 문화 자료 및 문화 산물을 대상으로 하여 논의한다.
DKL4032 Special Studies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3 6 Major Bachelor/Master - No
국문학사 연구에 요구되는 특수 과제들을 수시로 달리 설정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특히 이 과목에서는 국문학사를 전반적으로 연구하여, 전문 학자로서 국문학사에 대한 독자적인 견해를 확립하는 데 목적을 둔다.
DKL4033 Theory and Application of Korean Linguistics 3 6 Major Bachelor/Master - No
이 과목은 국어학의 이론 수립과 적용 과정에 대한 논의를 통해 국어학의 학문적인 바탕을 이루는 논리와 이론의 구조를 이해하고 이론을 적용하는 절차 등을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다. 심도 있는 국어학의 연구와 논의를 위해서는 기본 바탕이 되는 이론과 그것의 응용 능력을 기를 필요가 있다. 이에 그동안 논의되었던 국어학적 지식, 이론의 역사와 논의의 전개 방향, 논점과 핵심 구조 등을 이해하고 파악함으로써 심도 있는 연구 능력과 시각을 함양한다.
DKL4034 Korean Classical Novels and Life of Late Chosun 3 6 Major Bachelor/Master Yes
이 과목은 고전소설을 통해 당대인들의 생활상을 검토해봄으로써 조선후기의 구체적 실상을 확인하고 문화사적 의미를 탐색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DKL4035 Special Lecture on Bibliography of Korean Cultural Studies 3 6 Major Bachelor/Master - No
한국문화 연구의 현황을 검토하는 한편 한국문화 연구의 수행을 위한 문헌자료의 조사, 수집, 정리, 분석, 논문 집필 등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 기술을 습득한다.
DKL4036 Special Lecture on Academic Writing for Korean Literature Studies 3 6 Major Bachelor/Master - No
한국문학/문화 분야 연구자가 되기 위한 학술적 글쓰기(학술 논문)의 방법을 알고 몸으로 익힌다. 근래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동향을 알고 한국문학/문화연구의 방법과 실제를 살펴 자기 연구 주제를 탐색해본다. 교수와 동료의 피드백, 격려, 코멘트 등을 받아가면서 한 학기동안 자신이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해 실제로 소논문 1편을 써본다.
DKL4037 Cultural Study on Game and Virtual World 3 6 Major Bachelor/Master 1-4 - No
이 과목은 오늘날 매체이자 콘텐츠, 방법론으로서 일상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한 디지털 게임 및 가상세계에 대한 비판적인 접근 역량을 강독과 토론, 비평과 글쓰기를 통해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물리적 실체가 없는 정보연결망들을 ‘공간’이라는 이름으로 부를 수 있게 만들어내며 새로운 문화를 창출했다. PC통신기반 BBS와 월드와이드웹 시대를 거치며 우리는 사이버 스페이스라는 말을 SF소설의 영역에서 현실의 영역으로 옮겨왔고, 현실공간이 가진 물리적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공간은 정치, 경제, 문화 등 일상 전반의 생활양식을 크게 변화시켜 왔다. 그리고 오늘날 이른바 메타버스, 가상현실과 같은 단어들은 이제 ‘가상공간’이라고 불렸던 사이버스페이스에서 ‘가상’이라는 접두사를 떼고 현실과의 연계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가상공간을 현실의 확장으로 받아들인다는 말의 함의는 매우 복잡다단하며, 그 맥락 또한 발화자마다 서로 엇갈린다. 디지털 미디어가 만들어낸 새로운 시공간은 때로는 직접 민주주의의 실현을 가능케 하는 평등한 소통의 공간으로 거론되기도 하고, 플랫폼 자본주의라는 새로운 착취의 현장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게임과 가상세계에 대한 이해는 이러한 여러 입장들에 대한 폭넓은 탐색과 비판적 검토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업에서는 현실의 게임 및 가상세계가 가진 문제들에 대해 실천적 제안을 만들어낼 수 있는 말하기와 글쓰기에 집중하고자 한다. 수업은 디지털 게임과 가상공간을 다루는 텍스트들을 강독하고, 이를 토론과 글쓰기로 승화하는 세미나 형식을 취한다. 세미나 내용은 크게 세 가지 주제, 1) 디지털 게임의 성립과 발전에 관한 이해 2) 사이버 스페이스에 관한 논의들 3) 블록체인, 메타버스, NFT, P2E로 이어지는 당대 게임의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매 수업은 지정된 텍스트를 세미나 참가자가 모두 숙독한 뒤 발제자의 발의를 통한 토론으로 이루어진다. 수업은 읽기와 말하기, 쓰기와 듣기의 모든 언어적 기능을 활용해 주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과정으로 구성되며, 최종적으로는 학기말 각자 게임과 가상세계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페이퍼 프로포절화할 수 있도록 한다. 수업의 목표는 일차적으로 참가자들로 하여금 디지털 게임과 가상세계에 관해 이어져 온 논의의 흐름을 확인하고, 나아가 선행연구들의 지반을 딛고 오늘날의 디지털 게임과 가상세계 현상에 대한 나름의 비평적 시각을 획득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 학기 동안 지속적으로 강사진은 텍스트 독해와 토론 참가, 발제문 작성 및 페이퍼 제출과 같은 과제를 제시한다. 참가자들은 동시대의 디지털 미디어가 만들어내는 현상을 비판적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