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Future, Grand Challenge
Why GSC
Faculty
Programs
Admissions
FAQ
Brochure
2025학년도 2학기 휴학/복학/재입학 신청 안내
2025학년도 1학기 성적공시 및 이의신청 기간 안내
2025학년도 1학기 성적공시 및 이의신청 기간을 다음과 같이 안내합니다. 다 음 Ⅰ. 주요사항 및 일정 1. 성적공시 및 이의신청기간: 6. 30.(월) 10:00 ~ 7. 5.(토) 23:00까지 2. 단,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성적공시 기간 내 성적 확인 불가 - 성적공시 마지막 날에 한하여 강의평가 완료 후 성적확인 및 이의신청 가능 ➀ 강의평가 미참여한 경우 (수강 중인 전체 강좌에 대해 강의평가 완료 필수) ➁ 안전교육 이수 대상자가 교육 미이수한 경우 ➂ 법정의무교육 이수하지 않은 경우 · 폭력예방(법정필수)교육 미이수한 경우 : 학사과정 학생이 성폭력, 가정폭력, 장애인식개선 등 법정필수교육을 모두 이수 완료 후 공시기간 내 성적 확인 가능 (단, 이수 완료 후 다음 날 확인 가능) · 외국인 학생이 한국 법령 이해 교육, 성폭력 예방 교육 미이수한 경우 : 외국인 학생(국적 기준)이 모든 교육 이수 완료 후 공시기간 내 성적 확인 가능 (단, 이수 완료 후 다음 날 확인 가능) Ⅱ. 성적 열람 방법 -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skku.edu) 접속→킹고포털→GLS→학업영역 →학업성적→금학기성적공시를 선택하여 본인 수강과목의 성적 열람 - 모바일: 킹고M → GLS → 성적/학업영역 → 금학기성적공시를 선택하여 본인 수강과목의 성적 열람 Ⅲ. 유의사항 - 성적평가요소가 아닌 사유(교환학생 선발, 복수전공 신청, 장학금 유지, 졸업 등)로 인한 성적 이의신청은 부정청탁에 해당할 수 있으니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관련 안내
2025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관련 사항을 아래와 같이 안내하오니 공정하고 원활한 시험이 진행될 수 있도록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또한, 시험·과제물 작성 시 챗GPT 등 생성 AI를 담당 교강사의 허가 없이 악용하는 경우, 부정행위에 해당 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아 래 1. 시행 기간 : 6. 17.(화) ~ 6. 23.(월) (강좌별 상이하며 담당 교강사에게 문의) 2. 시험 방법 : 오프라인시험, 온라인시험, 과제물 대체 등 3. 시험 일정·방식 확인 : i-Campus 또는 수업시간 내 교강사 안내 참조 4. 응시 유의사항 (공통) 강좌별 시험 일시 및 진행 방법 등에 대해 사전 숙지 (온라인시험) 조용하고 독립된 공간에서 개별 시험 응시 (온라인시험) PC 사용한 안정적인 인터넷 환경에서 응시 (불필요 프로그램 모두 종료) (온라인시험) 본인의 개인 화상 장비(웹캠, 마이크, 스피커 또는 스마트폰)의 이상여부를 반드시 사전 점검하고 감독자 지시에 따라 시험 진행 위한 세팅 완료 ※ 웹캠 대용 스마트폰 병행 사용 시 배터리 충전상태 확인 및 데이터 사용 제한 시 무선인터넷 접속 (온라인시험) 시험 응시 중 자리이탈 금지하며 문제 발생 시 감독자에게 별도 연락 (공통) 시험 도중 부정행위가 의심될 경우 감독자가 관련 확인을 요청할 수 있으며 감독자 지시사항에 따라 시험 진행 5. 모든 시험·과제물 제출 시 일체의 부정행위를 엄금하며, 적발 시 학칙 및 관련 규정에 의거하여 취득 성적 F 처리 및 징계 처분 6. 수업 관련 저작물은 교수자의 창작물로, 저작권법 보호 대상입니다. 저작권자의 동의없이 무단으로 복제, 배포, 판매하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2025학년도 1학기 외국인 유학생 한국 법령 이해 등 교육 이수
교내 외국인 유학생 여러분의 원활한 유학 생활을 지원하고 안정적인 한국 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별도의 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니, 아래의 내용을 확인 후 기한 내 2가지 온라인 교육을 모두 이수하기 바랍니다. 교육명 한국 법령 이해 교육 2025 학생을 위한 폭력예방교육(법정의무교육) 이수조건 연간 1회 이수기한 (2025학년도) 2025. 12. 31.(수)까지 언어 한국어 / 영어 / 중국어 중 선택 가능 특이사항 ※ 미이수 시 성적확인 불가 • 이수 완료 시 다음 날부터 확인 가능 • 미이수자는 성적공시 마지막 날에 한해 확인 가능 (예시1) 2025년 5월에 교육을 완료한 경우, 2025-1학기, 2학기 성적 공시 기간 내 성적확인 가능 (예시2) 2025년 9월에 교육을 완료한 경우, 2025-1학기 성적 공시 기간 내 성적확인 불가, 2학기 성적 공시 기간 내 성적확인 가능
학사 2025학년도 2학기 휴학/복학/재입학 신청 안내
학사 2025학년도 1학기 성적공시 및 이의신청 기간 안내
학사 2025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관련 안내
일반 2025학년도 1학기 외국인 유학생 한국 법령 이해 등 교육 이수
“금융은 혁신의 연료” 중국에서 온 비엔원롱(Bian Wenlong) 교수
“금융은 혁신의 연료” 중국에서 온 비엔원롱(边文龙) 교수 링크:성균웹진 | 성대사람들 | 외국인의 성대생활
Prof. Wenlong Bian was selected as the 2024 Top 1% Highly Cited Chinese Researchers by CNKI
On December 27, 2024,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the world’s most comprehensive online resource for accessing China’s intellectual output including academic journals, dissertations, and conference papers, released the “2024 Top 1% Highly Cited Chinese Researchers”. Professor Wenlong Bian, an Associate Professor of Finance at Sungkyunkwan University, was in the list. The China Science Literature Evaluation Research Center affiliated with CNKI conducted, for the first time in 2024, an objective evaluation of Chinese researchers’ academic impact based on academic achievements. In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Top 1% Highly Cited Chinese Researchers,” the evaluation metric used is the total PCSI (Paper Citation Standardized Index) of the researchers. This index refers to the weighted sum of the PCSI of papers published by the authors that exceed the theoretical average value (1.65). The weights are related to the number of coauthors and the order of authorship. To qualify as one of the “2024 Top 1% Highly Cited Chinese Researchers,” a researcher must meet the following criteria: 1.The total PCSI of the researcher’s publications over the past decade (2014-2023) must rank in the top 1%. 2.The researcher must have published a minimum of 5 papers over the past decade with a PCSI higher than the theoretical average value of 1.65. 3.The scholar must have published at least 1 highly influential paper over the past decade. Professor Wenlong Bian’s research interests include FinTech, corporate finance, and financial institutions. Over the past decade, he has published approximately 20 papers in prestigious Chinese journals such as the Economic Research Journal, China Economic Quarterly, Journal of Financial Research, and Insurance Studies. He has been honored with the Journal of Financial Research Annual Outstanding Paper Award, China Economic Quarterly Best Paper Award Nominees, and the 2018 Top 10 Best Chinese Papers in International Finance.
한국의 최대 무역 시장 중국에서 철수? 위기 속 기회에 과감히 도전하라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차세대 중국 비즈니스 리더 양성 등 대응 전략제시 혁신기업 탐방 등 다양한 현지 체험 북경대·복단대 등과 교환학생 운영 20년간 480여 명 중국 전문가 배출 링크 : [라이프 트렌드&] 한국의 최대 무역 시장 중국에서 철수? 위기 속 기회에 과감히 도전하라 | 중앙일보
Dancing with the dragon: Leveraging opportunities for global growth
지난주 중국 대학원과 교류 협정을 체결한 USF CBSI 센터에서 실무자 특강을 개최합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웨비나에 참석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앞으로도 특강을 발전시켜 동문 여러분도 초대할 계획입니다.
[한국보험신문-성균관대 중국대학원 공동기획]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중국 보험산업
[한국보험신문-성균관대 중국대학원 공동기획]‘저고도 경제’ 집중… 中 보험사 안전망 구축 속도전
[한국보험신문-성균관대 중국대학원 공동기획]“건강 생태계로 진화하는 보험산업: 핀테크가 바꾼 중국의 보험 전략”
[한국보험신문-성균관대 중국대학원 공동기획]중국 배달 경쟁이 불러온 라이더 복지 전쟁
[한국보험신문-성균관대 중국대학원 공동기획]中 부동산·보험업계, 고령화 해법은 ‘실버타운’
[한국보험신문-성균관대 중국대학원 공동기획]자율주행차 시대, 제도화 실험 나선 중국 보험
[기고]농업보험 작동 방식, 한중 간 기술 격차 커졌다
미래를 여는 발걸음: K-Maker High Program의 중국 혁신 산업 시찰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과 글로벌혁신센터(KIC중국)는 5.15-18일 3박 4일 동안 <K-Maker High Program>을 진행했습니다. <K-Maker High Program>은 중국의 4대 도시군의 주요 하이테크존을 탐방하는 중국혁신산업 시찰 프로그램입니다. 올해는 중국에서 과학기술 혁신과 대외 교류가 가장 활발한 장강삼각주 지역을 방문하여 상하이 국제기술거래시장, 중국국제수입박람회장, 절강대학, 절강성 산학연 협력추진회, 알리바바 등을 방문하였습니다. 알리바바 본사(중국 항저우) 절강대학교(중국 항저우) 중국국제수입박람회장(중국 상하이)
*25학년도 가을학기 원서접수: 25.05.29.(목)~06.08.(일)
2025학년도 전기 신입생 워크숍
산동대학교 관리학원와 교류 협력 MOU 체결
동문회 발대식 개최
(주)아스플로 업무협약 체결식
SKKU GSC 2024 중국몽_광저우편 (2024.01.18 ~ 01.21)
중국대학원 홈커밍 2023. 12. 16.(토)
중국대학원 2023 실사구시 (2023. 09. 15 ~ 2023. 09. 20)_타이위안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중국 복단대 방문의 순간들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