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학년도 1학기 대학원 신입생 Pre-School 성료
2025-02-242025년 2월 20일, 국어국문학과 및 한국어교육학과 공동 주최로 대학원 신입생 Pre-School 이 개최되었습니다. 학과장님 개회사를 시작으로 학사 제도 안내, 대학원생 논문작성법 및 연구 생활 특강, 각 분과 연구방법론 특강, 내외국인 연구자 간담회, 캠퍼스 투어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되었습니다. 선-후배 / 교수 학생 간 교류를 통하여 국문학 연구를 향한 열의를 다질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2025-02-18우리 학과 권인한 교수님의 역작, 『고대 한국한자음의 신연구』(역락, 2024)가 드디어 세상에 나왔습니다. 2002년부터 20여 년이 넘는 기간 동안 국내외에 흩어져 있는 구결, 목간, 금석문 등 다양한 자료들을 꼼꼼하게 조사하고 분석하여 고대 한국한자음의 비밀을 밝혀낸 기념비적인 연구서입니다. 이 책은 고대 한국한자음의 체계와 변화 과정을 새롭게 정립하고, 그동안의 학설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학계에 신선한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특히,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 꼼꼼한 분석과 새로운 시각은 앞으로 고대 한국어 연구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책의 출간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권인한 교수님의 학문적 업적에 존경을 표합니다. https://www.uni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923#_enliple 목차 프롤로그: 한국한자음 연구 30년(1991~2020) 제1부 서론 제1장 연구 개설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자료 개관 3. 한자음 관련 자료별 연구 절차와 방법 제2장 고대 한국한자음 기층음의 형성과 전개 1. 한자문화의 전래와 수용 2. 고유명사 표기의 등장 3. 외교 접촉 기록과 출토 문자자료의 관계 4. 맺음말 제2부 본론: 자료 각론 및 연구 종합 제3장 6세기 신라 금석문 1. 머리말 2. 고유명사 표기례 수집 및 표기자 정리 3. 고유명사 표기자 분석과 그 의의 4. 맺음말 제4장 함안 성산산성 목간 1. 머리말 2. 목간 판독 및 원문 구조 분석 3. 고유명사 표기례 수집 및 표기자 정리 4. 고유명사 표기자 분석 5. 고유명사 이표기례 분석 6. 맺음말 제5장 『묘법연화경석문妙法蓮華經釋文』 1. 머리말 2. 주석 자료의 수집과 정리 3. 통일신라의 한자문화 분석 4. 맺음말 제6장 오타니大谷대학 소장 『판비량론判比量論』 단간 1. 머리말 2. 원문의 판독과 해석 3. 각필점의 수집과 정리 4. 각필점들의 언어문화사적 의의 탐색 5. 맺음말 제7장 동대사 도서관 소장 『대방광불화엄경』 권12~20 1. 머리말 2. 원문의 판독과 해석 3. 종류별 한자음 관련 각필점 개관 및 고찰 4. 맺음말 제8장 최치원의 찬술 1. 머리말 2. 최치원의 협주 분석 3. 사산비명 비명시 압운 분석 4. 맺음말 제9장 11~13세기 초 고려시대 불서류 1. 머리말 2. 개별 자료 검토 3. 11~13세기 초 한국한자음의 특징 제10장 연구 종합 및 결론 1. 장별 연구 내용 요약 2. 고대 한국한자음의 체계성 검증 3. 결론 및 남은 과제 에필로그: 저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