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Future, Grand Challenge

통합검색
닫기
통합검색
 

대학원과정

  • home
  • 대학원과정
  • 일반대학원
  • 한문학과
  • 교육 과정

대학원과정

한문학과

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자기
학습
시간
영역 학위 이수
학년
비고 언어 개설
여부
KLC5014 철리산문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한문학은 좁은 의미의 순수 문학이라기보다 문(문학)ㆍ사(역사)ㆍ철(철학)의 종합적 인문학에 가깝다. 특히 한문산문은 철학사상의 효과적인 전달 수단으로서 활발하게 창작되었다. 우언문학을 중심으로 이러한 철리산문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만큼, 설총의 '화왕계' 이래 조선시대까지 왕성하게 창작된 철리산문 중 주요 성과들을 살펴본다.
KLC5016 문헌해제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한문학연구에서 서지학적 지식은 필수적인 것의 하나이다. 연구 대상 문헌에 대한 정밀한 검토는 연구의 첫 출발을 이룬다. 따라서 구체적인 문헌을 대상으로, 서지학적인 면에서 이를 정확하게 감식하고 그 위에서 내용을 충실하게 해설하는 해제 작업에 관해 익힌다.
KLC5019 두시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중국 한시의 절정기인 성당을 대표하는 시인이 바로 두보이다. 두보의 한시는 고려 시대 이래 우리나라 시인들의 창작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두보의 생애와 그의 시세계에 관한 학계의 연구 성과를 정리한 위에서 두시 중 특히 저명한 작품들을 골라 감상하고, 이러한 작품들의 예술적 성취와 우리나라의 한시에 미친 영향 등을 살펴본다.
KLC5023 한국한문학사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시대에 따라 학문의 조류도 바뀌게 된다. 여기서는 건국초기로부터 구한말에 이르기까지 한문학이 역사의 변천과 함께 연관되어 어떻게 발달하고 전개되어왔는지 그 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여 차후 진행될 연구의 밑바탕이 되도록 한다.
KLC5024 한국산문론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고려 중기 이후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발달한 고문을 중심으로, 산문의 각종 양식을 살펴보고 이를 대표하는 명문들을 선정하여 그 문예미를 분석한다. 이와 아울러 중국의 고문과 비교하여 그와 구별되는 한국 고문의 특성을 논하고, 최치원 이래 고려시대까지 활발하게 창작된 변려문도 살펴본다.
KLC5025 한국한문학작가론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신라말 고려초부터 조선조말까지 활동한 저명한 한문학 작가들을 각 시기별로 선정하고, 그들의 생애와 문학적 활동, 예술적 성취와 후대적 영향 등을 깊이있게 살펴본다. 그들에 관한 학계의 연구 성과들을 엄밀히 검토하면서, 기존의 견해와 다른 새로운 평가를 시도해 본다.
KLC5027 한국시사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한국한시의 발전을 통시적인 견지에서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한시의 유형별 발전 양상, 시인 및 유파 간의 경쟁과 상호 영향을 중시하면서, 각 시기에 따른 한시의 전반적 특징을 규명한다.
KLC5029 전기문학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전은 동양의 독특한 전기문학으로서, 사마천의 '사기' 열전 이래 특히 당ㆍ송 시대에 이르러 고문가들에 의해 활발하게 창작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김부식의 '삼국사기' 열전을 비롯하여 우수한 전들이 많이 창작되었으므로, 한문소설의 원천으로만 간주하던 종래의 편견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문학양식으로서 우리나라 전기문학의 성과를 살펴본다.
KLC5035 한국한시론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한시의 각종 유형과 평측 및 압운, 당시와 송시, 명ㆍ청시 등 중국 한시의 변천에 대한 전반적 이해 위에서, 신라시대 이후 조선시대까지 시풍의 변화와 특히 ‘조선시’를 추구한 실학파의 한시를 중심으로 중국 한시와 대비되는 한국 한시의 독자적 발전 등을 살펴본다.
KLC5036 한문학논문연습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논문작성법 일반에 대한 이해를 갖추게 한 위에서 한문학논문을 작성하기 위한 연습을 한다. 한문학 관련 논문을 선정하여 정독하고 내용과 형식상의 문제점을 토론함으로써, 논문작성법을 익히고 우수한 논문을 쓸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아울러 이를 통해 학계의 쟁점들에 대한 이해를 갖추게 한다.
KLC5038 필기문학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필기문학이란 잡다한 소재를 다룬 산문들을 총칭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중기 이후 출현하여 조선전기에 주로 관각 문인들에 의해 활발히 창작되었으며, 후대의 소설이나 야담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필기문학의 주요 성과를 살피고, 중국 필기문학과의 영향관계도 아울러 고찰한다.
KLC5043 한문학문체론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한문학은 장구한 발전과정을 통해 다종다양한 문체를 산생하였다. 소통의 '문선', 유협의 '문심조룡', 서사증의 '문체명변', 요내의 '고문사류찬'과 우리나라의 '동문선' 등에서 시도한 문체 분류를 참조하여, 각 문체를 대표하는 작품들을 감상하면서 그 특징을 구체적으로 이해한다.
KLC5046 한국시화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 No
이인로의 '파한집'과 최자의 '보한집', 이제현의 '역옹패설', 홍만종의 '시화총림' 등 주요 시화집 중 하나를 텍스트로 선정하여 그 주요 부분을 강독한다. 거기에 나타난 문학사상과 개별 작품에 대한 실제비평을 살펴봄으로써 한시에 대한 이해력을 심화한다.
KLC5047 동아시아시화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 No
동아시아의 한자 문화권은 어느 지역이든 활발한 한시 창작 문화가 발달되었고, 이에 따라 한시를 품평하고 연구하는 詩話가 대량으로 저술되었다. 이러한 시화를 비교 연구하는 것은 동아시아한문학 연구에 있어 중요한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다.
KLC5048 제자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Yes
유교 중심의 사상 연구에서 벗어나, '노자'ㆍ'장자'ㆍ'묵자'ㆍ'한비자' 등 유교와 경쟁 관계에 있으면서 상호 영향을 미친 도가ㆍ법가 등 제자 백가의 주요 저술을 선정하여 정독하고, 그 사상사적 의미를 살펴본다.
KLC5050 동아시아한문학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 No
한문학연구는 이제 개별 국가와 지역을 넘어서 동아시아의 전체 한문학을 비교연구 하는 단계로 접어들게 되었다.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의 한문학 가운데 비교 가능한 주제를 잡아 구체적으로 연구하도록 한다.
KLC5051 한국한문산문연구1 3 6 전공 석사/박사 Yes
'동문선'을 주 텍스트로 해서 신라ㆍ고려시대의 명문들을 선별하여 강독한다. 시기별, 작가별, 양식별 안배를 통해, 변려문을 포함한 그 시대 산문의 다양한 전개 양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KLC5053 한시비평론 3 6 전공 석사/박사 - No
한문학비평론에서 살펴본 전반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이른바 신의론ㆍ용사론 등 고려시대의 주요 시론과 성정론ㆍ천기론ㆍ성령론 등 조선시대의 주요 시론을 다룬다. 이러한 시론들 가운데 하나를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살펴보거나, 경쟁 관계에 시론들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시론에 관한 심도있는 이해를 도모한다.
KLC5054 고전문헌학통론 3 6 전공 석사/박사 - No
동양 고전문헌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위한 과목이다. 우선 동양고전 및 문헌연구에 필수적인 공구서(工具書) 및 국내외 유용한 사이트 DB에 대한 소개를 하고 고서의 형태서지를 실물 고서를 가지고 학습한다. 이후 본격적으로 고전문헌학의 3대 분야인 목록학, 교감학, 판본학을 배운다. 한국,중국, 일본의 근대 이전의 문헌서지학과 근현대의 문헌서지학을 두루 소개하여 비교의 시각을 키울 수 있도록 한다. 끝으로 한국에서의 문헌서지학의 쟁점과 문제, 향후 과제와 전망 등을 모색해 본다.
KLC5055 동아시아출판문화사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 No
현재의 문학연구는 그 범위가 매우 넓어져 문화연구로까지 확장되는 추세이고, 아울러 전통시대엔 정신(精神)에 대한 탐구가 위주였다면 지금은 물질(物質)로서의 연구도 강화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고전 연구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서적 및 출판 문화 이해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본 강좌는 한국의 전근대 시기(특히 조선)부터 근대 이행기까지의 출판 문화에 대한 이해를 내용으로 한다. 서적의 간행과 유통부터 학술 지식사(知識史)까지 다룬다. 아울러 중국과 일본, 베트남의 출판문화사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의 비교의 시각까지 제시한다.
KLC5056 고문서연습 3 6 전공 석사/박사 Yes
한국고문서의 형식과 종류를 개관하고, 발표와 실습을 통해 고문서 연구 방법을 습득한다. 왕명문서, 왕실문서, 관청문서, 민간문서의 분류와 특징을 이해하고 고문서를 조사, 정리하는 방법을 익힌다. 본 교과목은 본교 존경각에서 실물 고문서를 대상으로 하는 실습을 포함한다.
KLC6004 한국한시연구2 3 6 전공 박사 1-4 - No
한국한시연구1에 이어지는 것으로서, 특정 시인이나 유파를 대상으로 그 창작 경향을 분석하고 중국 한시의 영향을 살펴보며, 전후 시기 시인 또는 유파와의 관련 양상을 고찰한다. 이와 아울러 학계의 기존 연구 성과를 검토하면서, 특정 시인이나 유파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해 본다.
KLC6005 경학연구2 3 6 전공 박사 1-4 - No
유교 경전 중 '논어'ㆍ'맹자'ㆍ'중용'ㆍ'대학'의 사서를 다룬 경학연구1에 이어, '시경'ㆍ'서경'ㆍ'역경'ㆍ'예기'ㆍ'춘추'의 오경 중 하나의 경전을 선정하여, 그에 대한 한ㆍ당 이후 명ㆍ청까지 중국에서 이루어진 경학의 성과와 조선시대 경학의 성과를 치밀하게 검토한다.
KLC6014 한국한문산문연구2 3 6 전공 박사 - No
개인문집들을 주 텍스트로 해서 조선시대의 명문들을 선별하여 강독한다. 시기별, 작가별, 양식별 안배를 통해, 변려문을 포함한 그 시대 산문의 다양한 전개 양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KLC6015 한국한문학사특강 3 6 전공 박사 - No
한국한문학사를 초창기부터 근대시기까지 특정 시기의 주요 문학사조, 작가 및 유파 간의 경쟁적 영향관계, 전후한 시기와의 계승 또는 단절의 양상 등을 집중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한국한문학사에 관한 이해를 심화한다.
TKC5007 번역학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8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 - No
번역학은 최근에 성립한 학문분야이다. 번역학특강에서는 번역학에 대한 일반적 이론을 이해 학습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한국고전번역의 학문적 의미와 정치사회적 기능에 대하여 탐구한다. 특히 한문고전의 번역이 가지는 일반성과 특수성에 대한 심층적 접근을 통하여 고전번역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며, 이를 통해 한문고전번역의 방향성을 정립하여 역자로서 갖추어야 할 올바른 번역 가치관을 배양한다.
TKC5019 한문문헌의언해현토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8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 - No
고전 자료 가운데 언해와 현토로 가공되어 있는 자료가 많다. 선인들은 한문 전적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확정하기 위해 언해와 현토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선인들이 남긴 언해와 현토를 익히는 것은 곧 선인들이 고전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는지를 이해하는 지름길이 된다. 언해와 현토의 이해함으로써 향후 고전을 번역하고 정리하는 이러한 방식을 현재의 시점에서 발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준다.
TKC5034 문자학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8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 Yes
문자학특강은 한자의 발생 원리와 형성 과정을 학습함으로써 한문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본적으로 한자 부수에 대하여 형·음·의를 문자학적 측면에서 살펴볼 것이며, 이를 통해 부수의 발생 원리를 이해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자의 구조에 해단 이해를 심화시키고, 글자의 본래 의미와 새롭게 파생된 의미의 갈래를 학습할 것이며, 이를 한문고전의 번역에 적용시키기 위한 기본적언 방편을 연구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