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자기 학습 시간 |
영역 | 학위 |
이수 학년 |
비고 | 언어 |
개설 여부 |
---|---|---|---|---|---|---|---|---|---|
CES2003 | 반도체기초화학 | 3 | 6 | 전공 | 학사 | 1-2 | 첨단반도체 융합트랙 | - | No |
이공계 반도체 전공자를 위한 일반화학 강좌 입니다. 이 강좌는 학생들에게 현대화학을 소개하는 것이다. 이 강좌의 내용은 크게 2가지로 나위어 질 수 있다. 전반부는 기본개념을 소개하여 일반화학실험에 적용하는 것이다. 후반부는 원자와 화합물의 전자구조 및 화학결합에 관한 것을 소개한다. 또한 물질을 분류하고(기체,액체,고체)물질의 상태 및 용액에 관하여 공부한다. | |||||||||
CES2004 | 반도체제조공정및소재 | 3 | 6 | 전공 | 학사 | 2-3 | 첨단반도체 융합트랙 | 한 | Yes |
본 과목에서는 반도체소자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 리소그래피 및 에칭, 산화, 확산, 이온주입, 박막증착 등 다양한 단위공정의 원리와 응용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단위공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금속화 등의 통합 공정에 대해서도 연구 한다. 이를 통해 반도체 제조관련 8대 공정 및 소재에 대해 자세히 배우게 되어 학생들은 반도체 제조관련 기본 지식을 빠르게 습득할수 있다. | |||||||||
CES2007 | 반도체소재분석기초 | 3 | 6 | 전공 | 학사 | 2-3 | 첨단반도체 융합트랙 | 한 | Yes |
본 교과목은 학부생들이 반도체소재 분석기초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실험기법들을 이해하고 따라갈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설계된 교과목입니다. 그래서 본 교과목은 연구현장 및 산업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microscopy 및 spectroscopy 기법들에 대한 작동원리 및 실용적 특성들에 대한 개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본 교과목은 일종의 준 Flipped Learning 방식으로 운영될 예정으로서, 사전 녹화된 강의 영상이 제공이 되고, 실시간 강의를 통해 리뷰, 질의응답 및 토론 수업으로 진행될 것입니다. | |||||||||
CES3001 | 반도체공정소재물성 | 3 | 6 | 전공 | 학사 | 2-3 | 첨단반도체 융합트랙 | 한 | Yes |
본 강의에서는 전자소자 구동 원리 이해 및 응용의 기초가 되는 전자재료 및 이의 접합에 대해서 학습하고, 다양한 나노 전자재료의 합성, 특성 및 응용사례에 대해서 공부한다. 강의 전반부에서는 양자역학 및 고체화학을 기반으로 전자재료 및 접합 이론에 대해 공부하고, 강의 후반부에서는 유기, 무기 및 유무기 복합 재료 등 다양한 나노 전자재료의 합성과 응용에 대해서 소개한다. 특히 최근 산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전자재료의 사례와 함께 이론적으로 공부한 내용이 어떻게 실제 전자소자 구현에 응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공부한다. | |||||||||
CES3005 | 반도체패키징 | 3 | 6 | 전공 | 학사 | 3-4 | 첨단반도체 융합트랙 | 한 | Yes |
본 강좌에서는 반도체 팹 기술의 후공정에 해당하는 반도체 패키징 기술에 관하여 배운다. 반도체 패키징 기술은 재료의 접합, Interconnection, 배선 형성, Encapsulation 및 신뢰성 평가 등 멀티 공정을 포함하며, 다양한 분야의 기술이 사용되어야 하는 만큼 학제간 융합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강좌에서는 반도체 패키징 기술을 개별 공정별로 심도 있게 다루며, 최근 AI 및 IoT 기술이 패키징 기술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고찰한다. 이를 통해 차세대 스마트 반도체 패키징 기술에 관한 이론적, 실무적 지식을 쌓도록 한다. | |||||||||
CES3006 | 시스템메모리반도체설계 | 3 | 6 | 전공 | 학사 | 3-4 | 첨단반도체 융합트랙 | 한 | Yes |
컴퓨터 아키텍처의 첫 번째 부분인 메모리 시스템의 소개와 각종 반도체 메모리 제품을 다루는 강의이다. 반도체 메모리 개발자는 물론 컴퓨터 아키텍트나 메모리 아키텍트로도 일할 수 있는 탄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과목을 통해 시스템과 메모리 설계에 대해 자세히 학습함으로써 반도체 메모리 및 시스템 관련 설계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 | |||||||||
CES3007 | 인공지능기계학습개론 | 3 | 6 | 전공 | 학사 | 3-4 | 첨단반도체 융합트랙 | 한 | Yes |
머신러닝은 컴퓨터가 데이터나 경험을 통해 학습하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현대 인공 지능(AI)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이며 자율주행차, 보조로봇, 챗봇, 고차원 검색, 광고 등 다양한 산업 응용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본 강좌에서는 실제 문제에 사용되는 차인 학습 및 다양한 인기 알고리즘의 주요 개념과 기초이론을 소개한다. 본 과목을 통해 반도체 소부장 분야에 필요한 인공지능 기계학습관련 기초지식을 학습하며 이를 반도체 분야에 적용및 응용 가능할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수 있다. | |||||||||
ECE4278 | SOC설계및실습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1-4 |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한 | Yes |
SoC (System on a Chip)의 기본 개념들과 구성 요소, 설계 플로우 등을 학습한다. SoC에 탑재되는 다양한 IP들과 이들을 연결해주는 interconnect에 대해서 배운다. 또한 이들을 설계하기 위한 레지스터 전송 수준의 설계와 검증, 로직 합성, 정형 검증, 클럭킹, 동기/비동기 신호 인터페이스 등의 개발 플로우를 배운다. | |||||||||
ECE4281 | 유연전자소재공학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1-4 |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한 | Yes |
본 교과목은 기능성 유연전자소재의 기계적/전기적 특성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한다. 이를 바탕으로 유연전자소자 제작을 위한 전사 공정 및 프린팅 공정의 핵심 기술 등을 학습한다. 또한, 유연한 전극과 반도체의 변형에 따른 전기적 특성 이해한다. 특히, 본 학과에서 기학습한 회로이론, 논리회로, 반도체공학 과목을 기반으로 RLC 필터/증폭 회로, 트랜지스터, 논리게이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등이 변형시에도 안정적으로 구동되는 원리를 이해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이러한 유연전자소자를 디스플레이, 센서, 무선집적회로등에 응용할 수 있는 전자공학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목표로 한다. | |||||||||
ECE4283 | 지능형시스템집적회로설계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1-4 |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 | No |
본 과목에서는 지능형 시스템집적회로에 대해서 다룬다. DVFS (Dynamic Voltage Frequency Scaling) 기법과 같은 지능형 전원 관리 회로, AI 기반의 센서 신호처리 회로 등에 대해서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해서 강의하고, EDA 툴들을 이용해서 설계 실습까지 하는 목표로 한다. | |||||||||
EEE2008 | 신호및시스템 | 3 | 3 | 전공 | 학사 | 2-3 | 전자전기공학부 | 영 | Yes |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에서의 연속 및 이산신호에 대한 해석과 처리기법의 기본개념과, 선형 시불변 시스템 및 필터에 대한 이론을 컨블루션, 푸리에급수 (FS), 푸리에 변환(FT), 이산시간 푸리에 변환 (DTFT) 및 이산푸리에 변환 (DFT)기법을 통하여 파악하고, 아날로그 및 디지틀 통신의 기본개념 및 샘플링 이론에 대하여 강의한다. 위의 개념들은 PC lab 의 컴퓨터를 이용한 모의 실험 및 데이타 처리 기법을 통하여 직접 확인 숙지하도록 한다. | |||||||||
EEE2011 | 회로이론1 | 3 | 3 | 전공 | 학사 | 2-3 | 전자전기공학부 | 영 | Yes |
기본적인 수동소자, 능동소자에 관련되는 제 수식 및 기본법칙, 정현파 교류, 복소수 에 기초한 교류 해석, 교류회로의 전력 및 에너지 등의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원리와 개념을 습득한 뒤, 일반 선형회로망 해석 능력을 함양시킨다. 아울러, 다상교류회 로 방식중 대표적 3상 교류회로의 기초적인 개념을 이해함으로써, 실제적인 전기회 로의 해석능력 및 응용력을 배양시킨다. | |||||||||
EEE3011 | 디지털신호처리 | 3 | 3 | 전공 | 학사 | 3-4 | 전자전기공학부 | 한 | Yes |
컴퓨터를 이용한 신호처리를 위한 신호해석 및 처리기법으로서 아날로그/디지틀 변환 회귀성 (Recursive) 및 비회귀성(Nonrecursive) 디지틀 필터, 그리고 정합 필터 등의 개념에 대해 공부하며, 시간급수를 이용한 파형분석, 이산신호에 대한 Z 변환, FFT 계산 알고리즘, 복소복조, 데이타 압축, 켑스트럼 기법 및 스펙트럼 추정론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 |||||||||
ENA2008 | 고체물리개론 | 3 | 6 | 전공 | 학사 | 3 | 나노공학과 | 한 | Yes |
이 과정은 고체의 기본적인 물성을 이해하기 위한 고체 상태의 기본 개념을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는 고체의 결정 구조, 기계적, 열적, 전기적, 광학적 및 자기적 특성 및 반도체 등을 학습한다. 또한 고체의 양자 이론 도입으로 밴드 구조 계산, 광학 특성, 포논, 중성자 산란, 단일 대역 이론에서의 전자의 역학, 나노 물질의 물성 등을 학습한다. | |||||||||
ENA3004 | 나노소자1 | 3 | 6 | 전공 | 학사 | 3 | 나노공학과 | 영 | Yes |
본 강의의 목표 중 하나는, 현재의 ICT 사회를 기술적으로 주도하는 나노스케일 전자소자의 제작 공정과 집적기술과 관련된 핵심 기술을 이해하는 것이다. 본 강의를 통해 학생들은 나노 전자소자 제작을 위한 단위공정과 집적공정에 관한 심도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체, 반도체, 부도체, 자성체 등의 소재 특성과 이들이 전자소자를 구성하는 물리적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 |||||||||
ENA3005 | 나노소자2 | 3 | 6 | 전공 | 학사 | 4 | 나노공학과 | 한 | Yes |
본 강의를 통해 학생들은 나노스케일 전자/광학 소자의 최근 기술 동향과 미래 기술 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차세대 나노소자에 관한 기술적 배경 및 동작원리, 향후 해결 과제 등과 관련된 전문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래 전자/광학 소자의 학문적/산업적 분야를 선도할 핵심 인력의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 |||||||||
ENA3012 | 나노에너지소재개론 | 3 | 6 | 전공 | 학사 | 4 | 나노공학과 | 한 | Yes |
에너지 변환 및 저장에 사용되는 디바이스로 태양전지, 연료전지, 이차전지, 에너지하베스팅 등이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에서 에너지의 변환과 저장을 일으키는 소재의 기본 반응 원리를 이해하고 나노소재의 물리적·화학적 물성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 성능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 |||||||||
ENA3025 | 나노재료물성전산모사 | 3 | 6 | 전공 | 학사 | 3-4 | 나노공학과 | - | No |
이 교과목에서는 연속체 방법, 원자 및 분자 시뮬레이션, 양자 역학적인 방법으로 물질의 특성을 이해하는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에 관한 방법을 학습한다. 밀도함수론 (DFT) 및 분자 역학 (MD)에 대한 소개를 주로 다룰 예정이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물질의 기본 물성 (즉 전자구조, 상태밀도, 반응과정 등)을 이해하는 이론과 응용에 대한 실습 교육이 제공된다. 강의는 전산 시뮬레이션이 과학적 활용을 기반으로 응용 분야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학습한다. 이 교과목은 시뮬레이션을 위해 웹 기반 애플릿을 사용하므로 전문적인 프로그래밍 기술이 필요하지 않지만, 일반물리, 일반화학, 고체물리, 무기화학 정도의 선수 과목을 요구한다. | |||||||||
ENA3031 | 현대고체물리 | 3 | 6 | 전공 | 학사 | 3-4 | 나노공학과 | - | No |
본 과목에서는 결정구조로부터 역격자, X선 회절, 진동 특성 등의 개념을 배운다. 또한 반도체 및 산화물 소재에서 전자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띠 이론과 이징 모형을 배울 것이다. 수업에서 배운 개념들을 바탕으로 나노물질을 포함한 물질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에 대해 논의한다. | |||||||||
ENA3032 | 나노융합미래기술 | 3 | 6 | 전공 | 학사 | 3-4 | 나노공학과 | 한 | Yes |
나노융합 미래학문 분야에 대한 입문 교과목으로서, 나노화학, 나노물리, 나노생물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응용한 나노기반 IT, BT, ET 기술에 대한 다양한 지식 및 최근 연구 동향과 신기술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학부 3, 4학년 때부터 다양한 학문분야를 접하고 또한 학문간 융합에 의한 새로운 연구분야를 선행학습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전공 (화학, 물리, 기계공학, 화학공학, 전자공학)을 가진 교수진의 팀 티칭을 통해 각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나노기반 융합과학 및 기술을 습득하도록 한다. | |||||||||
ENA3033 | 재료상변태 | 3 | 6 | 전공 | 학사 | 3-4 | 나노공학과 | 영 | Yes |
금속 또는 합금에 외부의 열과 압력이 가해졌을 때 물질 내부에서 발생하는 현상에 대한 이론적인 해석을 기본으로 물질의 상변태를 예측할 수 있는 전공지식 배양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열역학 및 상평형에 대한 기초 지식, 원자의 물질내에서 거동 이론, 핵 생성 및 성장 그리고 그들의 변태에 대해 강의가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열역학적 평형론 및 속도론을 바탕으로 무기 물질의 변태 과정을 설명하고, 원자이동 모형과 결정입계 등의 영향에 따른 변태 과정을 다룹니다. | |||||||||
ICE3042 | 정보통신현장실습5 | 9 | 0 | 전공 | 학사 | 3-4 | 정보통신대학 | 한 | Yes |
본 과목은 3,4 학년 학생이 4달 이상 일반기업체, 연구소, 관공서 등의 현장에서 실무를 수행하면서 실전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현장실습 프로그램이다. | |||||||||
ICE3057 | 반도체소자측정실험 | 2 | 4 | 전공 | 학사 | 정보통신대학 | 한 | Yes | |
본 실험에서는 반도체소자공정실험을 통해 제작된 Si, IGZO, 2D TMD CMOS 장치 및 간단한 집적 회로의 전기적 측정 및 분석 등의 내용을 다룬다. I-V/C-V 등 기본적인 CMOS 장치에 대한 전기적 측정 외에도 접촉저항, 반전층 전하 이동도, 계면 결함밀도 등을 추출하는 측정/계산법을 포함한 CMOS 장치의 성능을 평가하는 필수적인 측정/분석 방법들을 실습하고 이해한다. | |||||||||
ICE3058 | 반도체소자공정실험 | 2 | 4 | 전공 | 학사 | 정보통신대학 | 한 | Yes | |
본실험에서는 1)SynopsysTCAD를 사용한 CMOS 공정시뮬레이션, 2)Si, IGZO, 2DTMDCMOS 장치 및 간단한 집적회로의 제작, 3)전기측정 및 분석 등을 다룬다. 웨이퍼세척, 포토리소그래피, 에칭, 산화, 확산, 이온주입, 화학기상증착, 원자층증착, 스퍼터링 및 웨이퍼테스트를 포함한 IC제조의 필수적인 공정들을 실습하고 이해한다. | |||||||||
SAS2001 | 반도체전자공학개론 | 3 | 6 | 전공 | 학사 | - | No | ||
본 과목은 반도체전자공학개론 과목은 전자공학과 반도체공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입문 과목입니다. 이 과목에서는 전기 회로의 기본 이론, 직류 및 교류 회로 분석, 전자 소자의 특성과 동작 원리를 다룹니다. 또한, 학생들은 반도체 물질의 특성, PN 접합,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의 동작 원리 등을 학습하며, 이를 활용한 간단한 전자 회로 설계 및 분석 능력을 기릅니다. 최종적으로, 학생들은 전자공학의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전자 시스템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 |||||||||
SAS2002 | 반도체소자및부품 | 3 | 6 | 전공 | 학사 | - | No | ||
본 교과목에서는 물리학적 기초적인 개념들을 바탕으로 반도체 내에서의 전하 이동 특성을 이해하고, 다이오드, LED,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과 같은 기본적인 반도체 소자의 동작 원리를 학습한다. 또한, Photodetectors, Solar Cells, Memory Devices와 같은 다양한 광전자/스토리지 반도체 부품의 동작 원리에 대해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업에서는 수학적인 계산보다는 반도체 소자 및 부품의 동작 특성들을 개념적/정성적으로 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 설명한다. | |||||||||
SAS3001 | 기초컴퓨터구조 | 3 | 6 | 전공 | 학사 | 한 | Yes | ||
본 강의에서는 컴퓨터 아키텍처와 organization의 기본 원리에 대해 살펴봄. 컴퓨터 하드웨어가 어셈블리 언어로 표현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이유를 강의함. 또한 컴퓨터 하드웨어가 메모리와 리소스가 유한한 상황에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음. 마지막으로 컴퓨터 시스템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하는 방법을 배우게 됨. | |||||||||
SAS3002 | 디지털시스템입문 | 3 | 6 | 전공 | 학사 | 한 | Yes | ||
이 과목은 조합회로 및 순차회로 설계와 최신 디지털 시스템을 설명한다. 조합회로와 순차회로의 특성과 설계 방법을 소개한 후, 디지털 시스템에서 널리 쓰이는 곱셈기, 상태기, 부동 소수점 연산 및 제어 블록 등 기본적인 모듈을 소개한다. 디지털 시스템 설계에 사용하는 표준 설계 언어인 Verilog의 기본적인 문법을 공부하고, 설계에 자주 쓰이는 설계 프로그램 흐름을 소개하여 오늘의 설계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과목은 논리회로를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 |||||||||
SAS3003 | 반도체소자공정설계 | 3 | 6 | 전공 | 학사 | - | No | ||
본 교과목은 산업에서 널리 활용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과정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함. 수강생들은 공정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공정 파라미터를 조정하며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익히게 됨. 강의는 이론과 시뮬레이션을 결합하여 진행되며, 학생들이 소자의 물리적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실제 설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함. 이를 통해 학생들은 반도체 소자 설계 및 공정 최적화에 필요한 실무적 지식을 습득하며, 반도체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고급 엔지니어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 |||||||||
SAS3004 | 인공지능반도체소자 | 3 | 6 | 전공 | 학사 | - | No | ||
글로벌 반도체 업계는 3nm, 2nm의 기술 노드에서 프로세스와 반도체 칩 개발을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음. 특히 기술 노드가 낮아질수록 소자의 성능은 향상되고, 전력 소비와 면적은 줄어들어야 하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의 도입이 필수적인 상황임. 본 강의에서는 기본적인 반도체 물성과 Planar FET 소자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Si, SiGe, Ge, 2D TMD 물질 채널을 활용한 FIN-FET, GAA-FET, C-FET 등의 차세대 인공지능 소자에 대해 학습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