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수동정] 박은일 교수, 조달청장 표창 수상 NEW
- 박은일 교수, 조달청장 표창 수상 인공지능융합학과 박은일 교수님께서 혁신지향 공공조달 활성화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지난 12월 31일 조달청장 표창을 수상하셨습니다. 박은일 교수님은 혁신제품 공공조달 분야 내 <국민제안형 인큐베이팅>, <기관제안형 인큐베이팅>, <수요자유제안형 인큐베이팅>, <초중고 혁신수요 아이디어> 등 조달청과 유관 기관이 수행한 공공조달 8개 프로그램에 지난 2019년부터 2024년까지 혁신제품의 공공 분야 활로 개척을 위한 자문과 지원 활동을 수행하셨습니다. 이를 통해 공공 혁신 조달 플랫폼과 혁신 제품의 활용을 통한 생태계 구축에 기여한 바를 인정받았으셨습니다. 한편, 박은일 교수는 2020년부터 ICT혁신인재4.0 사업단, 2024년부터 딥페이크 연구센터를 연구책임자로 운영하여, 공공과 산업을 위한 인재 양성에 힘쓰고 계십니다.
-
- 작성일 2025-01-09
- 조회수 81
-
- [교수동정] 한진영 교수님 총괄 신뢰가능한 AI 연구단, '신뢰가능한 AI 국제 워크숍' 개최…AI 기술안전성 논의 NEW
- 한진영 교수님 총괄 신뢰가능한 AI 연구단, '신뢰가능한 AI 국제 워크숍' 개최…AI 기술안전성 논의 - 네이버·정보통신기획평가원 등 산업계 및 정부 전문가 참여 - AI 기술의 사회적 책임과 발전 방향 논의 성균관대가 지난달 20일 학계 및 정부 전문가들과 함께 최근 AI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국제 워크숍을 개최했다. 성균관대학교는 본교 인문사회과학캠퍼스에서 최신 AI 기술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2024 International Workshop on Responsible AI'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 워크숍에는 학계의 국내외 석학들과 산업계 및 정부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신뢰가능한 AI 연구단을 총괄하고 있는 성균관대 한진영 교수의 개회사로 시작해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정재훈 팀장의 축사가 이어졌다. 특히 AI 분야의 세계 석학으로 꼽히는 샴 순다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교수와 이관민 싱가포르 난양공대 교수가 글로벌 AI 기술 연구의 최신 동향을 설명하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곽준호 팀장과 네이버 이화란 박사 등이 토의에 참여해 산업계와 정부의 관점을 공유했다. 이번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후원으로 진행됐다. 성균관대는 해외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글로벌 AI 기술의 최신 동향을 공유하고 이를 국내 연구와 연결하는 기회를 가지는 시간이었다고 의의를 전했다. 신뢰가능한 AI 연구단 한진영 교수는 "이번 행사에서 논의된 내용이 학문적·산업적·정책적 협력의 토대가 되길 기대한다"며 "연구단은 신뢰 가능하고 안전한 AI 기술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 작성일 2025-01-09
- 조회수 4
-
- [교수동정] 류은석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수상
- 류은석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수상 인공지능융합학과 전임교수 겸 실감미디어공학과 학과장을 담당하고 계신 류은석 교수님께서 메타버스 분야 핵심 인재 양성과 국제협력·표준화로 차세대 기술 발전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지난 12월 11일(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셨습니다. 류은석 교수님 께서는 2023학년도 2학기 실감미디어공학과 개원 이래 영상처리, 컴퓨터그래픽스, 인공지능 등의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실감미디어 콘텐츠 기술을 연구/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으며, 실감미디어공학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메타버스융합대학원 사업의 지원으로 우수한 전일제 대학원생을 선발해오고 계십니다. 한편, 실감미디어공학과는 ICT기술과 콘텐츠를 융합한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소속 대학 학생 전원 인턴십 및 25%에 해당하는 인원에 대한 해외 연구기관 파견 지원 정책 등을 운영하여 미래를 선도하는 글로벌 리더 양성에 힘쓰고 있습니다.
-
- 작성일 2025-01-02
- 조회수 100
-
- [학생실적] [HAI LAB(지도교수 송하연)] 김지은 석사 졸업생, CHI 학회에서 Honorable mention을 수상하다
- 안녕하세요 인공지능융합학과 행정실입니다. HAI Lab 소속(지도교수 송하연) 김지은 석사 졸업생(현재 코넬대 박사과정 진행중)의 논문이 CHI 학회에서 Honorable mention을 수상했습니다. ▲ 김지은 석사 졸업생 해당 논문의 Abstract 및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Abstract] Sticking to daily plans is essential for achieving life goals but challenging in reality. This study presents a self-voice alarm as a novel daily goal reminder. Based on the strong literature on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self-voice, we developed a voice alarm system that reminds users of daily tasks to support their consistent task completion. Over the course of 14 days, participants (N = 63) were asked to complete daily vocabulary tasks when reminded by an alarm (i.e., self-voice vs. other-voice vs. beep sound alarm). The self-voice alarm elicited higher alertness and uncomfortable feelings while fostering more days of task completion and repetition compared to the beep sound alarm. Both self-voice and other-voice alarms increased users’ perceived usefulness of the alarm system. Leverag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we provide a practical guideline for designing voice alarm systems that will foster users’ behavioral changes to achieve daily goals. 링크 : My Voice as a Daily Reminder: Self-Voice Alarm for Daily Goal Achievement 감사합니다. 인공지능융합학과 행정실
-
- 작성일 2024-10-04
- 조회수 1119
-
- [교수동정]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소속 한진영 교수, 과기정통부 ‘디지털 분야 해외석학유치지원’ 사업 선정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소속 한진영 교수, 과기정통부 ‘디지털 분야 해외석학유치지원’ 사업 선정 - 펜실베니아주립대 샴 선더 교수와 ‘신뢰가능한 인공지능 연구단’ 설립 - 2026년까지 50억원 지원 ▲ 성균관대 한진영 교수(왼쪽)와 펜실베니아주립대 샴 선더 교수(오른쪽) 우리 대학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공고한 ‘디지털 분야 해외석학유치지원’ 사업에 선정되었다. 지원 규모는 2026년까지 총 50억원이다. 올해 새롭게 추진하는 디지털 분야 해외석학유치지원 사업은 해외 석학급 최고급 연구자를 국내 대학에 유치해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국내 고급인재들의 연구 역량 향상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해외석학급 최고급 연구자는 QS세계대학평가 100위권 내 해외 우수대학 또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 등에서 10년 이상 연구개발(R&D) 경험 및 연구 성과가 있는 박사급 재외한인 및 외국인 연구자를 말한다. 공모를 통해 총 3개 과제가 접수되었으며 연구 추진계획 및 기대효과, 해외석학급 연구자의 역량 및 우수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성균관대와 서울대가 최종 선정되었다. 인공지능(AI) 분야에 선정된 성균관대는 ‘신뢰가능한 인공지능 연구단(Pioneer Research Group for Socially Responsible Aritificial Intelligence, 연구책임자: 한진영 교수)’을 제안하였으며,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 ‘인공지능의 사회적 책임 연구소’ 소장인 샴 선더 교수 연구팀과 함께 최근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Socially Responsible AI(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AI) 기술을 연구한다. 스탠포드대가 발표한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과학자 상위 2%’에 4년 연속으로 선정된 바 있는 샴 선더 교수는 우리 대학 석좌교수 및 실감미디어연구센터 소장으로 부임하여 인공지능융합학과 및 실감미디어공학과 학생들을 지도하고 인공지능 윤리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선도적 연구 성과를 낼 계획이다. 연구단은 ▲사회과학 측면에서 인공지능 윤리 가이드라인 개발 ▲안전하고 설명가능하며 신뢰성 있는 인공지능 요소 기술 개발 ▲개인정보 보호 및 인공지능 보안 기술 개발 등을 국내외 다학제 전문가들과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또 국내외 인공지능 분야 전문가가 참여해 인공지능 윤리 연구 분야 성과 및 동향 등을 논의하는 온·오프라인 공개 세미나도 개최한다. 이은석 소프트웨어융합대학장은 “이번 연구단의 출범은 성균관대가 인공지능 분야에서 국제적인 연구 경쟁력을 갖추고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AI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특히, 샴 선더 교수와의 협력을 통해 인공지능 윤리 분야 연구 역량이 크게 증진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AI 기술 개발을 통해 인류와 미래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작성일 2024-09-04
- 조회수 867
-
- [학생실적] DXLAB(지도교수 : 박은일) 최은선, 지유경, 오민우, 지현빈 연구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주최 미국 CMU 교육 프로그램/캐나다 토론토대 AI융합교육 프로그램 선발
- DXLAB(지도교수 박은일)의 4명의 연구원이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제공하는 해외 파견 프로그램에 선발되었다. 인공지능융합학과 최은선 학생(석사 2기, 지도교수 박은일), 소프트웨어학과 지유경 학생(석사 2기)은 캐나다 토론토대(University of Toronto) AI 융합 교육 프로그램에, 실감미디어공학과 지현빈 학생(석사 2기), 메타바이오헬스학과 오민우 학생(석사 2기)은 미국 카네기멜론대 (CMU) AI 심화 교육 프로그램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지원으로 파견될 예정이다. 토론토대 AI 융합 교육 프로그램은 24년 12월 말부터 25년 6월까지의 6개월(코스웍 4개월, AI프로젝트 2개월) 이후 25년 8월 최종 결과 보고, 카네기멜론대 AI 심화 교육 프로그램은 24년 8월 말부터 25년 2월까지의 6개월(코스웍 4개월, AI프로젝트 2개월) 이후 최종 결과 보고를 끝으로 프로그램이 마무리된다. 각각 인당 5,500만원 상당의 교육비, 체재비, 항공료, 여행자 보험 등을 지원받아 진행될 예정이다. ▲ 왼쪽부터 최은선, 지유경, 오민우, 지현빈 학생
-
- 작성일 2024-08-19
- 조회수 1854
-
- [교수동정]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이지형, 박은일 교수, 대학ICT연구센터사업 선정
- 안녕하세요 인공지능융합학과 행정실입니다.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이지형, 박은일 교수님께서 진행시는 연구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4학년도 대학ICT연구센터(ITRC) 사업에 선정되었습니다. 사회문제해결 분야에 선정된 박은일 교수님의 연구팀은 딥페이크의 생성, 탐지, 추적을 위한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이지형, 박은일 교수, 대학ICT연구센터사업 선정 - 인공지능(AI) 분야에 이지형 교수, 사회문제해결 분야에 박은일 교수 선정 ▲ 2024학년도 대학ICT연구센터(ITRC) 사업에 선정된 이지형 교수(왼쪽)과 박은일 교수(오른쪽)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4학년도 대학ICT연구센터(ITRC) 사업에 이지형 교수와 박은일 교수의 연구가 각각 선정돼 앞으로 8년간 과제별 75억 원씩 총 150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이지형 교수는 인공지능(AI) 분야에, 박은일 교수는 사회문제해결 분야에 선정되었다. 이지형 교수는 변화하는 환경과 가치에 지속부합하는 Open-ended Alignment 인공지능기술 개발에 나설 예정이며 박은일 교수팀은 딥페이크 생성과 탐지, 전파/확산의 방지와 가짜뉴스 대응을 위한 선도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인공지능(AI) 분야에 선정된 이지형 교수의 ‘Open-ended Alignment 인공지능 연구센터’는 연구개발 전략(O.P.E.N.)으로서 Out-thinking AI, Principled AI, Evidential AI, Nuanced AI의 4가지 세부과제를 도출하였다. 각각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과 가치에 부합할 수 있는 Out-thinking Alignment AI 기술 개발, 변화하는 사회와 가치의 기준을 반영하는 공정한 Principled AI 기술 개발, 탈진실 시대의 변화하는 정보에 대해 높은 신뢰도를 갖는 Evidential AI 기술 개발,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과 요구에 개인 맞춤형 대응이 가능한 Nuanced AI 기술 개발을 수행하고자 한다. 연구팀은 또 인력양성 전략(E.N.D.E.D.)으로서 Experiential Learning(경험적 학습), New-value Education(새로운 가치 창출 교육), Diversity Training(다양한 융합 교육), Entrepreneurship Development(취‧창업 능력 개발), Dynamic Global Competencies(글로벌 역량 개발) 등을 통해 8년간 약 400명의 석박사 참여 인력과 170여 명의 인공지능 고급 인력을 배출할 계획이다. 이지형 교수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고 경험을 통해 학습하며, 사람의 개입 없이 다양한 영역에서 자율적인 관찰, 지시, 실험 등의 결정을 내리고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Open-endedness 방법론을 통하여 한층 진일보한 인공지능 기술 개발과 함께 고급인력의 양성을 통해 관련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사회문제해결 분야에 선정된 박은일 교수 연구팀의 ‘D2 연구센터’는 딥페이크의 생성, 탐지, 추적을 위한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 아울러 해당 기술의 안전성, 공정성 기반의 감사 프레임워크와 다양한 도메인 유형에도 강건한 탐지 모델 추론을 혁신도약 과제로 설정하여 사회/산업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연구개발 결과물을 도출할 예정이다. 이 연구에는 8년간 약 400명의 석박사급 인력이 참여하여 연구를 수행한다. 박은일 교수는 “AI 발전과 함께 역기능에 대한 우려와 대응이 절실한 상황에서 딥페이크와 가짜 뉴스에 대한 생성, 탐지, 추적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기술이 연구, 개발될 예정이고, 이러한 기술을 공공과 민간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AI 사용과 관련 전문 인력 양성 및 배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감사합니다. 인공지능융합학과 행정실
-
- 작성일 2024-07-30
- 조회수 1094
-
- [교수동정] [EBS 특집 포럼] AI 시대, 스스로 교실이 되어라 : 박은일 교수 출연
- 안녕하세요, 인공지능융합학과 행정실입니다. 지난 6월 22일에 EBS에서 방영된 '교육 특집 포럼 - AI시대, 스스로 교실이 되어라' 편에 성균관대학교 인공지능융합학과 박은일 교수님께서 출연 하셨습니다. '우리 아이들은 잘 학습하고 있습니까? : 온, 오프라인 혼용 수업을 통해 살펴본 학습 구조화 전략' 이라는 주제로 강연 하셨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영상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EBS 특집 포럼] AI 시대, 스스로 교실이 되어라 : 박은일 교수 출연 (26:56~32:05) 감사합니다. 인공지능융합학과 행정실
-
- 작성일 2024-07-30
- 조회수 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