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입학
- 대학원 신입생 선발은 일반전형과 수시전형으로 나누어지며, 전기 입학과 후기 입학이 있다. 일반전형은 5월(후기)과 11월(전기)에, 수시전형은 6월,7월(후기)과 12월,1월(전기)에 실시된다. 석사과정, 박사과정, 석·박사통합 과정 약간 명을 선발하며, 통상적으로 매년 10명 내외의 대학원생이 대학원에 입학한다. 외국인 특별전형은 전기와 후기 두 가지 전형으로 실시·선발한다.
-
선발에 필요한 서류는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입학 규정에 따라 입학지원서, 학부 및 대학원 성적표, 자기소개서 및 연구계획서, 영어성적, 자격증 등을 제출해야 하고, 서류전형 후 이루어지는 면접에 응시해야 한다.
*관련 링크: https://gradschool.skku.edu/grad/mojip/regul.htm - 성균관대 학부를 졸업하고 석사과정 및 석박통합과정에 입학하고자 하는 학생, 혹은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박사과정에 입학하고자 하는 학생은 『성적우수 석박연계트랙장학생』 프로그램에 지원할 수 있다. 성적이 우수한 학생이 (평점평균 3.7이상) 사전에 지도교수를 선정하여 교육과 연구에 기여하는 조건으로 재학 기간 중 50% 이상의 수업료를 면제 받으며, 입학금 전액을 면제 받는다. 본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 자격 및 혜택에 대해서는 첨부파일을 참조하거나 교무처에 의뢰할 것.
-
대학원 입학과 관련한 기타 사항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입시규정을 따른다.
*관련 링크: https://gradschool.skku.edu/grad/
졸업에 필요한 이수학점
- 석사과정 수료에 필요한 학점은 총 24학점이며, 이중 12학점은 반드시 본 학과에서 개설하는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이중 3학점은 본 학과에서 개설한 국제어 강의가 포함되어야 한다. 취득학점 기준 평점 평균 3.00 이상이 되어야 졸업이 가능하다.
- 박사과정 수료에 필요한 학점은 총 36학점이며, 이중 18학점은 반드시 본 학과에서 개설하는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이중 3학점은 본 학과에서 개설한 국제어 강의가 포함되어야 한다. 취득학점 기준 평점 평균 3.00 이상이 되어야 졸업이 가능하다.
- 석·박사통합과정 수료에 필요한 학점은 총 51점이며, 이중 30학점은 반드시 본 학과에서 개설하는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이중 3학점은 본 학과에서 개설한 국제어 강의가 포함되어야 한다. 취득학점 기준 평점 평균 3.00 이상이 되어야 졸업이 가능하다.
수강신청
- 신입생들은 입학 즉시 사회학과 학과장 혹은 대학원 주임과의 면담 및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수강지도를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수강신청을 하게 된다.
- 신입생들은 입학 후 두 학기 동안 사회학의 기초가 되는 다음의 네 과목을 반드시 이수할 수 있도록 수강신청을 한다. 가) 고전사회학 이론(SOC5002), 나) 현대사회학이론(SOC5003), 다) 사회조사방법론(SOC5007), 라)기초중급통계학(SOC5061).
- 학부 및 대학원에서 사회학을 전공하지 않은 신입생에 대해서는 학과장 및 대학원주임 재량에 따라 최대 12학점의 선수학점이 부과될 수 있다.
- 석사과정을 본 학과에서 마친 박사과정 학생은 위의 네 과목을 필수로 이수할 필요가 없으나, 타대학이나 타학과에서 석사과정을 마치고 진학한 학생은 위의 네 과목을 반드시 이수하여야 한다. 단, 석사과정에서 위의 네 과목에 상응하는 과목을 이수한 학생은 학과장 및 대학원주임에게 수강면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 때 학생은 수강을 이수한 증빙서류를 제출하여야 하고, 각 과목에서 A 이상의 점수를 받았을 경우 면제가 가능하다.
논문자격시험
- 기준 학점을 이수한 학생들은 논문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석사과정의 경우 15학점, 박사과정의 경우 27학점, 석·박사통합과정의 경우 39학점 평점 3.0이상).
- 논문자격시험은 사회학이론 (고전사회학이론, 현대사회학이론), 방법론 (사회조사방법론, 기초중급통계학), 그리고 외국어 시험으로 구성된다. 논문자격시험을 통과한 학생들에 한해서 논문 본심을 볼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된다.
- 각 전공과목의 시험문제는 해당과목의 강의계획서에 제시되어 있는 읽을거리 및 커리큘럼을 중심으로 출제가 된다.
- 외국어의 경우 학과장 및 대학원주임이 관련 읽을거리를 공지하고, 이를 중심으로 시험 준비가 이루어진다. 학과장 및 대학원주임은 통상 시험 3개월 전에 관련 읽을거리 목록을 제공한다.
- 석사과정에서는 선택과목 시험은 폐지한다. 박사과정에서는 전공과목 한 과목을 선택과목으로 지정하여 시험을 통과하여야 한다.
- 본과에서 석사과정을 수료한 박사과정 학생의 경우, A 성적 이상의 점수로 이수한 경우 (사회학이론은 고전이론과 현대이론 모두, 방법론의 경우 사회조사방법론 기초중급통계학 모두) 해당 과목 시험을 면제받을 수 있다. 2과목 모두를 면제받는 경우 해당 학생은 본심 이전에 연구재단 등재(후보)지, SSCI, 혹은 SCOUPS 저널에 주저자 혹은 공동저자로 논문 1편을 추가로 게재해야 한다.
학위논문심사
- 기준 학점을 이수한 학생들은 (석사과정 15학점, 박사과정 27학점, 석박사과정 39학점), 논문예심을 신청할 수 있다.
- 예심을 위한 프로포절은 연구주제 및 대상, 연구의 의의, 문헌검토, 이론 및 가설, 방법론, 예상되는 결과로 구성되며, 심사일로부터 최소한 1주일 전에 모든 교수들에게 전달되어야 한다.
- 예심은 원칙적으로 사회학과 교수 전체, 대학원 재학생 전체가 참여하며, 통상적으로 학기가 끝나는 주 및 기말고사 주에 진행된다.
- 본심은 심사위원들과의 협의 하의 별개의 일정으로 진행되나, 통상 예심이 진행되는 날짜에 동시에 진행된다.
- 논문대체 학점취득제: 논문대체 학점취득제는 석사학위과정의 기수료자 또는 석사 4기 학생이 학위청구논문제출을 대체하여 추가학점 취득을 통해 학위를 수여 받을 수 있는 제도. 2019년 2월부터 적용. 사회학과는 추가 6학점을 수강하거나, 학술지 대체로 논문대체가 가능하다.
지도교수의 선정
- 학생들은 두 학기를 마무리 한 후 지도교수를 선정해야 한다.
- 두 학기 후에 선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학과장 혹은 대학원주임에게 서면으로 사유를 설명하고 가능한 선정 시기를 명시한다. 학과장 및 대학원주임은 이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기타 졸업자격
- 박사과정 및 석·박사연계 과정의 경우 논문 본심 이전에 지도교수와 연구재단 등재(후보)지, SSCI, 혹은 SCOUPS 저널에 주저자 혹은 공동저자로 1편의 연구논문을 게재하여야한다 (게재예정 포함). 논문자격시험 네 과목 중 3개 이상을 면제 받는 경우는 추가로 논문 한편을 게재해야 한다(게재예정 포함, 4조 5항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