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자기 학습 시간 |
영역 | 학위 |
이수 학년 |
비고 | 언어 |
개설 여부 |
---|---|---|---|---|---|---|---|---|---|
CHS2009 | 창의적발상 | 2 | 4 | 전공 | 학사 | 1-4 | 도전학기 | - | No |
창의적이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언가 새로운 것’, ‘무언가 독창적인 것’을 머릿속에 떠올린다. 그런데 막상 ‘무언가 새로운 것’, ‘무언가 독창적인 것’을 스스로 생각해내야 한다고 하면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다. 그런데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이 없다’는 말처럼 관점을 바꾸어, 우리가 새롭고 독창적이라고 여기는 것들도 모아서 보면 그 안에 뚜렷한 공통점이 나타난다. 본 강좌에서는 수많은 창의적 사례를 통하여 이러한 생각의 패턴을 학습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체계적 발명사고, 창의발상코드, 자연에서 배우는 창의성, 문화예술에서 배우는 창의성 등이 포함된다. | |||||||||
CHS7002 | 머신러닝과딥러닝 | 3 | 6 | 전공 | 학사/석사/박사 | 도전학기(대학원) | - | No | |
본 수업에서는 기초적인 머신러닝 및 딥러닝 알고리즘의 이론 및 실습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선형 분류, 선형 회귀, 의사결정나무, 서포트 벡터 머신, 다층신경망, 컨볼루션 네트워크 등 실제 사례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알고리즘들을 이론 강의를 통하여 습득하고, python을 이용하여 이론에서 배운 알고리즘을 실습을 통하여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한다. 본 수업의 원활한 수강을 위하여, 학생들은 기본적인 미적분학, 선형대수학, 확률 및 통계, python language의 활용 등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 |||||||||
CHS7003 | 인공지능응용 | 3 | 6 | 전공 | 학사/석사/박사 | 도전학기(대학원) | - | No | |
스탠포드 대학교의 공개 강좌인 cs231n은 이미지 인식과 딥러닝에 대한 가장 유명한 공개 강좌 중 하나이다. 본 수업은 스탠포드 대학교의 공개 강좌 cs231n을 이용하여 Flipped class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본 수업을 수강하기 위해서는 학부 수준의 기본적인 수학 지식(선형대수, 미적분학, 확률/통계)와 기본적인 파이썬 기반의 코딩 능력이 요구된다. 수업에서 진행하는 구체적은 진행방식과 활동은 다음과 같다. 1) On-line 강의(English)를 청취 (학습자 주도) 2) On-line 강의(English) 청취한 내용에 대해 개별 노트 정리 (학습자 주도) 3) On-line 강의(English) 청취한 내용에 대해 QnA 토론 (학습자 주도) 4) QnA 기반의 교수자 주도의 Off-line 강의(Korean) 강의 (교수자 주도) 5) 팀별 보충 발표 (학습자 주도) 매 토픽에 대하여 위에 언급한 1) ~ 5)의 진행방식을 활용하여 학습한다. 평가는 각 활동과 과제, 중간 시험, 기말 프로젝트에 기반하여 절대평가한다. 수업에 다루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Introduction Image Classification Loss Function & Optimization (Assignment # 1) - Introduction to Neural Networks -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ssignment # 2) - Training Neural Networks - Deep Learning Hardware and Software - CNN Architectures-Recurrent Neural Networks (Assignment # 3) - Detection and Segmentation - Generative Models - Visualizing and Understanding - Deep Reinforcement Learning - Final Project. 본 수업은 이미지 인식과 관련한 딥러닝 방법에 대하여 기초부터 응용까지 다루므로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 |||||||||
CHS7004 | Python활용인문사회과학논문쓰기 | 3 | 6 | 전공 | 학사/석사/박사 | 도전학기(대학원) | - | No | |
논문을 쓰기 위한 과목으로 인문사회과학 영역의 연구를 위하여 빅데이터를 활용한 논문을 쓰기 위한 과정이다. 기본적으로 논문 쓰기 방법에 대한 학습을 하며, 논문을 위한 연구 방법론으로 프로그래밍 처리를 학습한다. 프로그래밍 언어 가운데 인문사회과학 관련 자료를 처리하기 가장 적합하며, 자료 시각화 기능이 뛰어난 파이선을 활용하여 논문 쓰는 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학습한다. 논문 작성을 위한 기본 적인 연구 방법론 및 논문 내용 구성에 대한 이론 강의가 우선 진행된다. 논문 작성을 위하여 주제 선정 및 토론이 진행된다. 주제가 선정되면 관련 연구 정리 방법에 대한 강의가 진행된다. 다음 과정으로 연구 방법론에 따라 필요한 내용 작성에 대한 학습이 진행된다. 제언 및 참고 문헌 정리 방법에 대하여 학습하여 이론적 접근법을 완성한다. 파이선 활용을 통한 자료 분석을 위하여 기본적인 파이선 문법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며, 입력 자료 처리를 위한 실습을 진행한다. 각 연구 분야에서 필요한 파이선 패키지 설치 방법 및 활용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 후, 실제 데이터 처리에 대한 실습이 진행된다. 공동 연구 진행을 대비하여 쥬피터 노트북 (jupyter notebook) 사용법을 기본 환경으로 설정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자료 가시화를 위한 matplolib 활용법을 학습하며,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pandas 활용을 학습한다. 이 과목의 목적은 각 전공 분야에 필요한 연구를 파이선 언어로 프로그래밍 구현을 실행하여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정 기간 내에 논문 1편 완성을 목표로 한다. | |||||||||
CON3032 | 소비자빅데이터분석 | 3 | 6 | 전공 | 학사 | 2-4 | 소비자학과 | 한 | Yes |
소비자 관련 정형빅데이터의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처리, 분석하기 위한 머신러닝 방법론을 학습한다. 머신러닝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지도학습 알고리듬을 소비자빅데이터 분석에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프로그램 실습을 통해 문제해결 능력을 기른다. | |||||||||
ECO2003 | 미시경제학 | 3 | 6 | 전공 | 학사 | 2-3 | 경제학과 | 한,영 | Yes |
경제학 원리의 바탕위에서 중급수준으로 강의되는 과목. 거시경제이론과 더불어 미시 경제이론은 경제이론의 이대 접근방법의 하나로 가계, 기업, 산업과 같은 개별 경제 주체를 분석의 대상으로 한다. 주요 내용은 소비자이론, 생산자이론, 비용이론, 기업 이론, 시장이론 등으로 다루어지며, 부분균형분석과 일반균형분석이 다루어진다. 그밖에도 후생경제학, 미시경제정책, 외부효과(환경문제), 공공재, 정보경제학 등의 문제도 소개된다. | |||||||||
EPN3001 | 지역사회문제와창업 | 3 | 6 | 전공 | 학사 | 2-3 | 앙트레프레너십연계전공 | 한 | Yes |
본 수업은 지역사회문제를 창의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라 창업목표와 주제를 선정하는 과정을 학습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수업은 지역사회에서 창업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지역사회문제 정의 및 분석, 지역사회역량 분석,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창업내용 도출, 그리고 창업가능성 발전적 모색 등의 수업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창업의 구체적인 과정으로 지역사회문제를 살펴봄으로써 지역친화형 그리고 지역사회발전형 창업안을 발전시킴으로써 지역사회 문제해결형 창업의 과정을 경험하게 되고 실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 |||||||||
ERP4001 | 창의심화탐구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교무팀 교육연구 | - | No | |
이 과목은 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를 병행하는 교과목으로서, 연구수행능력을 일정 수준 갖춘 학사과정생들을 중심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학사과정생이 자율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자 설계되었다. 학생들은 과학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한 인문사회, 문화예술 분야의 융합과 통섭을 기반으로 과학적 탐구력과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신장에 적합한 창의 주제 탐구 수행한다. 또한 본 과목은 학제간 융합주제에 대한 교육-탐구설계-수행-논문지도-결과발표에 이르는 전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 |||||||||
ISS3234 | Introduction to Social Problems | 3 | 6 | 전공 | 학사 | 1-4 | 국제하계대학 | 영 | Yes |
This course discusses various social problems in society, examines factors associated with these problems, and explores possible solutions. The course are organized into three main parts: 1) understand social problems from multiple perspectives, 2) brainstorm possible solutions to address social problems, 3) explore possible ways to conduct a research project. In order to achieve these leaning objectives, the course will meet daily as a seminar, along with class activities in which each member will have opportunities for contributing to the purpose of each session through prepared, active participation. | |||||||||
ISS3286 | The Foundations of Entrepreneurship | 3 | 6 | 전공 | 학사 | 국제하계대학 | 영 | Yes | |
This class is an introductory course intended to provide students with a solid foundation in terms of the vital role played by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hip in the 21st century global economy. Entrepreneurship is approached as a way of thinking and acting, as an attitude and a behavior. Our emphasis is on entrepreneurship as a manageable process that can be applied in virtually any organizational setting. Our principal focus will be on the creation of new ventures, the ways that they come into being,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success. | |||||||||
ISS3301 | Social Epidemiology and Global Mental Health | 3 | 6 | 전공 | 학사 | 1-4 | 국제하계대학 | 영 | Yes |
As a scientific discipline, epidemiology is the study of the distribution and determinants of health in populations. The ap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improve health outcomes. As a branch of epidemiology, social epidemiology focuses on studying social and structur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states of health. This course introduces students to the field of social epidemiology to describe frequencies, distributions, or patterns for mental health issues across the globe. Students also discuss etiology of mental health issues in countries where they are interested. The overall goal of this course is to ensure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apply social epidemiology concepts to mental health practice/policy. This course is intended to provide a general instruction to the core social epidemiologic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mental health status of individual and populations. This will be achieved through an interactive, applied approach which allows the student to comprehend the course content through multiple methods of learning. Students are expected to listen to one another and respect diverse thought and opinions. | |||||||||
PRS2001 | 협력적거버넌스:새로운사회문제해결가능성의탐색 | 3 | 6 | 전공 | 학사 | 인구구조변화와회복사회 융합트랙 | - | No | |
본 강의는 정부의 도움 없이 일반 시민의 관심과 노력으로 사회문제를 자치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수 있다는 기본 가정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접근은 정부 이외의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 가능성을 이해하는데 유익하다. 그러나 자치적 사회 문제해결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과목은 새롭고 적극적인 참여와 자발적 협력을 통한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가능성과 한계, 협력적 거버넌스의 중요성/필요성, 그리고 정부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학생의 올바른 이해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목은 학생들에게 사회문제의 본질로서의 사회딜레마 상황에서의 협력곤란성과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학습을 통해서 학생들은 민주사회에서 국민의 역할과 바람직한 형태의 정치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다. 학생들은 다양한 실험에 직접 참가하고 그 경험에 대하여 토론함으로써, 사회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자치적 협동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
PRS2002 | 인구구조변화와사회문제에대한정부의대응 | 3 | 6 | 전공 | 학사 | 인구구조변화와회복사회 융합트랙 | - | No | |
본 강좌에서는 인구구조 변화와 사회문제를 중심으로 행정학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증진하고, 사회 현상에 대한 분석적 시각을 심화시킴으로써 행정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본 강좌에서는 크게 이론과 실습 파트를 나누어서, 이론 파트에서는 정부시스템 구조에 대한 이해 및 행정학의 주요 접근법에 대한 소개를 통해 정부 관료제의 작동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습득하고, 실습 파트에서는 인구구조 변화와 사회문제를 중심으로 다룬 사례분석을 통해 이러한 문제에 대해 실제 정부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했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오늘날 인구구조 변화와 사회문제를 바탕으로 한 행정학의 발전방향과 정부의 대응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본 강좌는 현대 정부시스템이란 주제에 비교적 생소한 학생들을 위한 수업으로, 정부 관료제의 이해에 대한 기본적 지식 습득과 함께 사회 문제에 대해 실제 정부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응용적 이해를 돕기 위해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변화하는 사회 구조에 대하여 정부는 왜 그렇게 대응하는가”란 근본적 질문에 대해, 먼저 정부형태, 정부간 관계 등에 대한 행정학 이론을 바탕으로 구조적 측면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이러한 지식이 교과서적인 부분에 한정되기 보다는, 현실에서 작동하는 정부의 대응 방안에 대해 납득할 수 있도록 이민, 빈곤, 세대 간 갈등, 도시문제 등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주요 사회문제에 대해 여러 시각에서 토론을 통해 진행하고자 한다. 가령,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사악한 문제(wicked problems)는 무엇이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정부의 대응 방향 등에 대해 의논하면서 현대 정부 관료제의 역할과 대응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의 지평을 넓이는 데에 개발 목적을 두고 있다. | |||||||||
PRS2003 | 사회변화와스트레스 | 3 | 6 | 전공 | 학사 | 인구구조변화와회복사회 융합트랙 | 한 | Yes | |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1‘~25‘)은 출산장려 위주 정책에서 벗어나 개인 삶의 질의 향상, 특히 아동, 청년, 노인 세대의 삶의 질 향상을 3대 정책목표 중 하나로 제시하였다. 변화와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력, 회복탄력성을 증진하고, 변화 내 긍정적 경험을 향유하며, 새로운 기회에 주목할 수 있는 낙관성을 함양할 수 있는 기초 교과목이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향후 개인과 사회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천으로 나아갈 수 있는 지식·태도·가치의 토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회변화와 스트레스 교과목의 주요 개발 목적은 인구구조 변화를 비롯하여 급변하는 미래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의 스트레스 이해 및 대처역량 향상시킴으로써 회복력과 삶의 질을 증진할 수 있는 기초적인 소양을 쌓는 것이다. 본 과목은 3개의 학교(가천대 심리학과, 성균관대 심리학과, 건양대 사회복지학과) 교수진이 참여하여 진행될 예정이다. | |||||||||
PRS3001 | 저출산과사회정책 | 3 | 6 | 전공 | 학사 | 인구구조변화와회복사회 융합트랙 | 영 | Yes | |
본 교과목은 저출산문제와 관련된 여러 사회경제적인 원인들을 살펴보고, 현재 저출산이 한국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행되고 있는 한국의 다양한 사회정책들과 해외 선진국들의 사회정책들을 검토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에 적합한 대안적인 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생들은 본 교과목을 통해서, 저출산의 원인과 현황, 그리고 저출산이 미치는 사회적인 영향에 대한 지식과 이론을 습득한다. 그리고 관련 사회정책들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능력을 기르고, 대안적인 정책을 구상할 수 있는 역량을 발전시킨다. | |||||||||
PRS3002 | 청년과사회복지 | 3 | 6 | 전공 | 학사 | 인구구조변화와회복사회 융합트랙 | 한 | Yes | |
청년들의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 건강, 사회참여 등 청년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에 대해 폭넓게 이해하고, 청년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모색한다. 청년기본법, 청년정책 기본계획, 청년정책 평가 등 청년정책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청년센터,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민간 비영리조직 등 청년을 위한 다양한 사회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해 학습한다. | |||||||||
PRS3003 | 인구문제관련이론과데이터분석 | 3 | 6 | 전공 | 학사 | 인구구조변화와회복사회 융합트랙 | - | No | |
본 수업에서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출산율 저하, 고령화 등 인구문제와 관련된 고전적 이론과 현대 담화를 이해하고,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데이터를 활용해 관련 분석을 진행한다. 본 수업에서는 실제 데이터를 활용해 인구문제 관련 지표 및 트렌드 분석, 공간 분석, 및 관련 정책 분석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
PRS3004 | 사회문제해결을위한정책디자인 | 3 | 6 | 전공 | 학사 | 인구구조변화와회복사회 융합트랙 | 한 | Yes | |
최근 한국은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급격한 인구감소, 지방소멸 등 다양한 사회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다양한 정부의 정책과 대국민 공공서비스가 필요하다. 본 수업에서는 협업적 정책설계와 디자인 씽킹 등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법을 배우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개발을 목표로 한다. 정책을 설계하거나 실행하는 과정에서 국민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맞춤형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새로운 국민 참여방식을 도입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 정책lab, Living Lab 등 정책과 서비스의 수요자인 주민들이 세밀한 관찰과 분석을 토대로 수요자 스스로의 잠재적인 욕구를 발견하여 이를 만족시키는 정책과 공공 서비스를 개발하고 다양한 실행전략을 제시하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공공서비스디자인’은 서비스디자인 방법을 공공영역에 적용하여 공공정책과 공공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다. 디자인이 무언가를 예쁘게 그리고 포장하는 것이 아니라 공공정책을 기획하고 개발하는 과정에 이러한 민간의 서비스 디자인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에 본 과목에서는 현재 당면하고 있는 사회문제들에 대해 주민 만족도와 실효성 높은 정부의 정책과 사업, 행정서비스 설계역량의 배양을 목적으로 한다. | |||||||||
PRS3005 | 지역데이터통계분석 | 3 | 6 | 전공 | 학사 | 인구구조변화와회복사회 융합트랙 | 한 | Yes | |
이 수업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지역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지역사회의 문제 진단하고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 수업에서는 지역사회와 관계된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필요한 추론통계 방법에 대해서 학습하며 세부 학습 목표는 아래와 같다. 1. 지역사회와 관계된 다양한 데이터를 검색 및 수집하고, 이를 연결 및 가공하여 통계분석의 대상으로 준비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2. 지역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방법 및 추론통계의 기본 및 고급방법에 대해서 학습한다. 3. 지역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현상을 모델화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4. 관심있는 사회문제를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실제 지역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실무 경험을 쌓는다. | |||||||||
PRS3006 | 이머징미디어와지속가능커뮤니티 | 3 | 6 | 전공 | 학사 | 인구구조변화와회복사회 융합트랙 | 영 | Yes | |
최근 발생하는 여러 사회문제(사회갈등, 사회격차)로 인해 지속가능 커뮤니티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이머징 미디어의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이를 커뮤니티의 지속가능성에 적용해나가는 사고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최근 여러 관련된 사례를 분석하면서 이와 관련된 윤리적 쟁점도 살펴봄으로써, 이론을 현상에 통합적으로 적용해나갈 수 있는 뉴미디어 전문가로서의 능력을 배양하는 데 초점을 둔다. 특히, 본 과목은 노인 및 아동 간의 세대 격차, 지방과 도시 간의 지역 격차 등의 문제와 관련된 지속가능커뮤니티의 역할에 중점을 둔다. 동시에, 이머징미디어를 활용하여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상호작용하고 협력하는 방식을 발전시키는 방법을 탐구한다. 학기 중반부에는 노인과 아동의 미디어 격차를 해결하기 위한 커뮤니티 모델을 뉴미디어 관점에서 설계해본다. 학기 후반부에는 학생들이 직접 이머징미디어-지속가능커뮤니티 시스템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이 과정에서 미디어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기획해본다. 이를 통해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고,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 |||||||||
PRS3007 | 갈등해결을위한철학 | 3 | 6 | 전공 | 학사 | 인구구조변화와회복사회 융합트랙 | - | No | |
인구구조 변화의 파장이 사회․경제적 불균등으로 미치면서 소득수준, 연령, 성별, 정치적 성향, 원주민과 이주민간 갈등 등 다차원적 사회갈등이 구조화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갈등 해결을 위한 동서양의 철학 이론을 학습한다. 그리고 이러한 철학적 이론과 논리가 지역사회 현장 속 갈등 문제 해결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경험한다. 이 강좌는 성균관대와 충남대가 함께 운영하는 공동운영교과목으로 학생들이 학습한 철학 이론에 근거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현실 갈등 문제 해결에 적용해 보는 역량을 기를 수 있다. | |||||||||
PRS3008 | 융합인재현장실습1 | 3 | 6 | 전공 | 학사 | 인구구조변화와회복사회 융합트랙 | - | No | |
한국 사회는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에 효과적으로 회복하기 위해서는 사회의 문제점을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는 능력과, 최대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그리고 사회갈등을 관리하여 최대한 조정하여 협력하는 역량이 요구된다. 더불어 대상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 저출산 및 고령화, 청년세대 등에 대한 정확한 사회정책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런 융합적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문제 해결 역량의 개발이 필요하다. 인구구조 변화로 인한 사회문제는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 광범위하게 연관되어 있고 다양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므로, 회복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다양성의 관점에서 학과 간의 장벽을 낮추고 다양한 학문적 배경의 사람들이 모여 토론하고 배우며 해결방안을 공유함으로써 효과적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는 실습 교과목이 필요하다. 현장실습을 통하여 향후 개인과 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한 지식·태도·가치의 토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융합인재현장실습1> 교과목의 주요 개발 목적은 인구구조 변화를 비롯하여 급변하는 미래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의 문제해결 역량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취업 및 창업 기회를 증진할 수 있는 소양을 쌓는 것이다. | |||||||||
PRS3009 | 융합인재현장실습2 | 6 | 12 | 전공 | 학사 | 인구구조변화와회복사회 융합트랙 | - | No | |
한국 사회는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에 효과적으로 회복하기 위해서는 사회의 문제점을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는 능력과, 최대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그리고 사회갈등을 관리하여 최대한 조정하여 협력하는 역량이 요구된다. 더불어 대상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 저출산 및 고령화, 청년세대 등에 대한 정확한 사회정책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런 융합적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문제 해결 역량의 개발이 필요하다. 인구구조 변화로 인한 사회문제는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 광범위하게 연관되어 있고 다양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므로, 회복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다양성의 관점에서 학과 간의 장벽을 낮추고 다양한 학문적 배경의 사람들이 모여 토론하고 배우며 해결방안을 공유함으로써 효과적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는 실습 교과목이 필요하다. 현장실습을 통하여 향후 개인과 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한 지식·태도·가치의 토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융합인재현장실습2> 교과목의 주요 개발 목적은 인구구조 변화를 비롯하여 급변하는 미래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의 문제해결 역량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취업 및 창업 기회를 증진할 수 있는 소양을 쌓는 것이다. | |||||||||
PRS3010 | 융합인재현장실습3 | 9 | 18 | 전공 | 학사 | 인구구조변화와회복사회 융합트랙 | - | No | |
한국 사회는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에 효과적으로 회복하기 위해서는 사회의 문제점을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는 능력과, 최대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그리고 사회갈등을 관리하여 최대한 조정하여 협력하는 역량이 요구된다. 더불어 대상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 저출산 및 고령화, 청년세대 등에 대한 정확한 사회정책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런 융합적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문제 해결 역량의 개발이 필요하다. 인구구조 변화로 인한 사회문제는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 광범위하게 연관되어 있고 다양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므로, 회복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다양성의 관점에서 학과 간의 장벽을 낮추고 다양한 학문적 배경의 사람들이 모여 토론하고 배우며 해결방안을 공유함으로써 효과적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는 실습 교과목이 필요하다. 현장실습을 통하여 향후 개인과 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한 지식·태도·가치의 토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융합인재현장실습3> 교과목의 주요 개발 목적은 인구구조 변화를 비롯하여 급변하는 미래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의 문제해결 역량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취업 및 창업 기회를 증진할 수 있는 소양을 쌓는 것이다. | |||||||||
PRS3011 | 융합인재현장실습4 | 12 | 24 | 전공 | 학사 | 인구구조변화와회복사회 융합트랙 | - | No | |
한국 사회는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에 효과적으로 회복하기 위해서는 사회의 문제점을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는 능력과, 최대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그리고 사회갈등을 관리하여 최대한 조정하여 협력하는 역량이 요구된다. 더불어 대상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 저출산 및 고령화, 청년세대 등에 대한 정확한 사회정책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런 융합적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문제 해결 역량의 개발이 필요하다. 인구구조 변화로 인한 사회문제는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 광범위하게 연관되어 있고 다양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므로, 회복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다양성의 관점에서 학과 간의 장벽을 낮추고 다양한 학문적 배경의 사람들이 모여 토론하고 배우며 해결방안을 공유함으로써 효과적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는 실습 교과목이 필요하다. 현장실습을 통하여 향후 개인과 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한 지식·태도·가치의 토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융합인재현장실습4> 교과목의 주요 개발 목적은 인구구조 변화를 비롯하여 급변하는 미래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의 문제해결 역량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취업 및 창업 기회를 증진할 수 있는 소양을 쌓는 것이다. | |||||||||
PRS3012 | 노인건강정보 | 3 | 6 | 전공 | 학사 | 인구구조변화와회복사회 융합트랙 | - | No | |
본 교과목은 고령화된 인구의 건강정보 관리 및 점근성에 관한 원리와 이론, 기술에 관한 수업으로 고령화사회의 생애주기별 건강정보요구와 관련된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위한 정보모델, 정보서비스 제공, 정보 접근성 향상, 건강정보시스템 설계, 윤리 및 법적 고려사항, 건강정보정책 등을 다룬다. | |||||||||
PRS3013 | 공공갈등관리 | 3 | 6 | 전공 | 학사 | 인구구조변화와회복사회 융합트랙 | 영 | Yes | |
이 수업은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갈등관리 및 협상, 협력의 이론과 실무를 다룹니다. 공공정책 개발과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하고 합의를 도출하는 방법론을 탐구하며, 다수의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복잡한 갈등 상황을 분석하고 협상 및 조정 과정을 평가하는 능력을 기릅니다. 사회적 갈등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이러한 갈등은 공공부문에서 더욱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본 강의는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복잡하고 다면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민간·비영리 부문 간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협력과 조정이 문제 해결에 필수적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공공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예를 들어, 인구구조 변화나 환경문제, 경제적 불평등 등의 사회적 문제들은 각기 다른 이해관계자를 포함하는 갈등을 야기합니다.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고, 효과적인 협력적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본 강의는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논의된 내용을 융합하여 학제간 접근법을 기반으로 한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둡니다. 학생들은 복잡한 사회적 갈등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게 됩니다. 이론 학습과 실습을 균형 있게 구성하기 위해, 이론 강의에서는 갈등관리, 협상 및 조정, 협력적 거버넌스 등의 기본 개념을 학습합니다. 또한, 사례 연구와 그룹 토론, 역할극 등을 통해 공공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실제 공공 갈등 사례 분석 및 해결 방안 도출을 위한 프로젝트를 구성하고 운영하여 학생들에게 이론을 실제로 적용해볼 기회를 제공합니다. 강의를 통해 학생들은 공공, 민간, 비영리 부문에서의 제도적 논리(institutional logics)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갈등 해결을 위한 방법을 탐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될 것입니다. 이 수업은 학생들이 다양한 제도적 환경에서 갈등을 관리하고 협력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필요한 종합적이고 전략적인 사고방식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
PRS3014 | 사회연결망분석과공공네트워크관리:네트워크거버넌스 | 3 | 6 | 전공 | 학사 | 인구구조변화와회복사회 융합트랙 | 영 | Yes | |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거버넌스의 역할이 중요시 되는 현시점에, 구체적인 해결 방안으로 정부기관의 협력적 네트워크가 강조되고 있다. 본 과목은 정부기관의 네트워크 속성과 형태가 성공적인 사회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도있는 학습을 목표로 한다. 특히 조직간의 협력 및 경쟁의 네트워크를 이해하는데 있어, 조직원(인간)간의 네트워크의 중요성과 역할을 학습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간 협력과 그 성과를, 거시적 조직의 현상과 미시적 개인의 행위의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수 있다. | |||||||||
PRS3015 | 공공부문ESG이해:환경,사회및거버넌스 | 3 | 6 | 전공 | 학사 | 인구구조변화와회복사회 융합트랙 | 한 | Yes | |
본 교과목에서는 ESG 개념의 역사적 변천 및 이론을 논의하고 공공부문의 ESG 실천 사례를 발굴하고 효과성, 그린워싱 등을 평가함. 더불어, ESG 실무전문가를 초청하여 공공부문에서 실제 ESG 개발 및 관리 사례에 대한 경험을 학생들과 공유함. 이러한 지식을 활용하여 ESG 관련 주제들을 학생들과 진지한 토론과 논의를 진행하며, 정부 부처, 공공기관에서 ESG 경영 및 관리에 대한 평가를 그룹과제로 수행하고자 함. | |||||||||
PSY2004 | 현대사회심리 | 3 | 6 | 전공 | 학사 | 2-3 | 심리학과 | 한 | Yes |
사회심리학에서는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나타나는 인간행동에 초점을 두고 자기 및 타인에 대한 이해, 세상사에 관한 추론과 판단, 대인관계, 집단 및 집단간 관계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심리와 행동에 관한 가설을 실험 및 조사연구 등 과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검증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사회심리학의 주요 이론과 실증연구를 개관하고, 사람들이 어떻게 서로를 이해하고 관계를 맺으며 영향을 주고받는지를 논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