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 구성
수강시기 | 과목명 | 학점 | 구분 | 교육내용 | 신기술 | 신규개설 |
---|---|---|---|---|---|---|
1학년 1학기 |
컴퓨터개론 | 2 | 전공심화 |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의 소개 | ||
1학년 2학기 |
자료구조개론 | 3 | 전공코어 | 다양한 자료구조의 동작원리 이해 및 구현 | ||
디지털논리회로 | 3 | 전공심화 | 논리회로의 이해 | |||
2학년 1학기 |
시스템프로그램 | 3 | 전공코어 | 어셈블리, 런타임환경, 로우레벨 프로그래밍 | ||
문제해결 | 3 | 전공심화 | 실생활의 다양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알고리즘 | O | ||
JAVA프로그래밍실습 | 2 | 실험실습 | JAVA 프로그래밍 실습 | |||
오픈소스소프트웨어실습 | 2 | 실험실습 | 오픈소스 SW 개발 방법론 및 활용 | |||
2학년 2학기 |
알고리즘개론 | 3 | 전공코어 | 컴퓨팅 알고리즘의 이해 및 구현 | ||
컴퓨터구조개론 | 3 | 전공코어 | 컴퓨터 구조 및 동작원리의 이해 | |||
오토마타 | 3 | 전공심화 | 오토마타 이론의 이해 | |||
산학협력프로젝트1 | 1 | 전공심화 | 산합협력프로젝트수행 | |||
산학협력프로젝트2 | 1 | 전공심화 | 산학협력프로젝트수행 | |||
산학협력프로젝트3 | 1 | 전공심화 | 산학협력프로젝트수행 | |||
시스템프로그래밍실습 | 2 | 실험실습 | Linux 운영체제프로그래밍실습 | |||
프로그래밍입문 | 3 | 전공심화 | 복수전공학생을 위한 프로그래밍 입문 | |||
3학년 1학기 |
데이터베이스개론 | 3 | 전공코어 | 데이터베이스 활용을 위한 SQL 및 NoSQL 학습 및 DBMS/NoSQL 플랫폼 구조의 이해 및 구현 | O | |
운영체제 | 3 | 전공코어 | 운영체제 구조의 이해 및 구현 | |||
프로그래밍언어 | 3 | 전공코어 | 프로그래밍 언어의 이론 및 컴파일러 설계 | |||
확률과랜덤프로세스 | 3 | 전공심화 |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확률 이론과 랜덤 프로세스 모델의 기초 개념 습득 | |||
컴퓨터공학세미나 | 1 | 전공심화 | 컴퓨터 분야 최신 연구 및 업계 동향 | |||
모바일앱프로그래밍실습 | 2 | 실험실습 | 모바일 및 사물 인터넷 관련 실습 | |||
3학년 2학기 |
소프트웨어공학개론 | 3 | 전공코어 | 소프트웨어공학의 이론 및 적용 | ||
컴퓨터네트웍개론 | 3 | 전공코어 | 유무선 네트워크 및 인터넷 동작원리 이해 | |||
인공지능개론 | 3 | 전공코어 | 인공지능 기초 이론 | O | ||
소프트웨어세미나 | 1 | 전공심화 | 소프트웨어 최신 연구 및 업계 동향 | |||
정보보호개론 | 3 | 전공심화 | 암호학, 시스템보안, 네트워크 | |||
실시간시스템개론 | 3 | 전공심화 | 실시간 시스템의 설계, 분석 및 운영체제·네트워크 동작 원리 심화 이해 | |||
ICT스타트업 | 3 | 전공심화 | SW 창업 실무 경험과 멘토링을 통한 ICT 창업 역량 강화 | |||
웹프로그래밍실습 | 2 | 실험실습 | JAVA Script 등 웹프로그래밍 실습 | |||
4학년 1학기 |
HCI 개론 | 3 | 전공심화 | 다양한 HCI 기법의 이해 및 구현 | O | O |
기계학습원론 | 3 | 전공코어 | 기계학습, 신경망이론 | O | ||
임베디드소프트웨어개론 | 3 | 전공심화 | 임베디드 시스템 아키텍처, OS, 네트워크 연결 등 핵심 기술 전반 학습 | |||
컴퓨터그래픽스개론 | 3 | 전공심화 | 컴퓨터그래픽스 이론 및 구현방법 | O | ||
소프트웨어특강1 | 3 | 전공심화 | 소프트웨어 최신 이론 | |||
인공지능프로젝트 | 2 | 실험실습 | Tensor Flow 등 인공지능 SW 실습 | O | ||
네트워크프로젝트 | 2 | 실험실습 | SDN 등 최신 네트워크SW 실습 | |||
빅데이터분석방법론 | 3 | 전공심화 | 빅데이터분석을위한이론과방법론 | O | ||
심층신경망개론 | 3 | 전공심화 | 딥러닝 이론과 실습 | O | ||
4학년 2학기 |
모델링과시뮬레이션 | 3 | 전공심화 | 보안DEVS 기반 모델링 이론과 프로그래밍, 시뮬레이션 수행 기법 학습 | O | |
컴퓨터비전개론 | 3 | 전공심화 | SW 창업 실무 경험과 멘토링을 통한 ICT 창업 역량 강화 | O | ||
멀티코어컴퓨팅 | 3 | 전공심화 | 멀티코어 컴퓨터의 구조 및 병렬 처리 | |||
AI캡스톤디자인 | 3 | 전공심화 | AI 산학협력프로젝트 | O | ||
캡스톤설계프로젝트 | 3 | 전공심화 | 실무중심 산학협력 프로젝트 | |||
인터넷서비스와정보보호 | 3 | 전공심화 | 컴퓨터 보안 기술의 이론과 방법론 | |||
소프트웨어특강2 | 3 | 전공심화 | 소프트웨어 최신 이론 | |||
소프트웨어창업현장실습1 | 3 | 전공심화 | 창업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창업 아이템 구현 및 학점 취득 | |||
소프트웨어창업현장실습2 | 6 | 전공심화 | 창업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창업 아이템 구현 및 학점 취득 | |||
소프트웨어개발자를위한기술작문및프리젠테이션 | 3 | 전공심화 | 글로벌 실무에 적합한 기술 문서 작성과 발표 능력 향상 | |||
데이터베이스프로젝트 | 2 | 실험실습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현 | O | ||
임베디드시스템프로젝트 | 2 | 실험실습 | 임베디드시스템 구현 | O | ||
4학년 | 가상현실론 | 3 | 학석공통 | 가상현실의 기반기술 및 최신 기술 | O | O |
디지털헬스케어보안세미나 | 3 | 학석공통 | 단말, 인프라, 데이터 보안 등 디지털헬스케어 보안 최신 동향 논의 | O | ||
분산컴퓨팅원론 | 3 | 학석공통 | 분산 시스템의 최신 이론 | O | O | |
정보시각화 | 3 | 학석공통 | 정보 시각화 최신 이론 및 기술 | O | O | |
컴파일러와언어원론 | 3 | 학석공통 | 최신 컴파일러 및 PL 기술 | O | O | |
인공지능보안 | 3 | 학석공통 | 인공지능을 활용한 최신 보안 기술 | O | O | |
블록체인과스마트컨트랙트 | 3 | 학석공통 | 최신 블록체인 기술 및 이론 | O | O | |
인공지능윤리 | 3 | 전공심화 | 인공지능의 데이터, 알고리즘, 어플리케이션 윤리 문제와 해결 방안 분석 | O | ||
시스템보안특론 | 3 | 학석공통 | 기본 보안 이론과 CTF 실습으로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보안 공격·방어 기법 습득 | |||
추천시스템개론 | 3 | 학석공통 | 사용자 선호도 추론과 추천 모델 구현을 위한 핵심 알고리즘 학습 | O | ||
강화학습개론 | 3 | 학석공통 | 강화학습의 기초 이론부터 심층 신경망 기반 알고리즘까지 학습 | O | ||
컴퓨터네트워크와인공지능 | 3 | 학석공통 | 네트워크 보안 프로토콜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최신 응용 학습 | O | ||
AI를활용한소프트웨어보안 | 3 | 학석공통 | 딥러닝 기술로 소프트웨어 보안 강화와 최신 연구 동향 논의 | O | ||
네트워크보안과인공지능 | 3 | 학석공통 |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기술을 네트워크 보안에 적용하는 방법 습득 | O | ||
보안을위한소프트웨어분석 | 3 | 학석공통 | 정적·동적 분석 기술로 소프트웨어 취약점 탐지 방법 습득 | |||
소프트웨어해킹실습 | 3 | 학석공통 | 해킹 실습을 통해 바이너리 리버싱, 취약점 분석 및 패치 기술 체득 | |||
이동체네트워킹과보안 | 3 | 학석공통 | 이동체 간 무선 네트워킹과 보안 프로토콜, 안전 이동 기술 학습 | |||
네트워크보안연구논문작성 | 3 | 학석공통 | 네트워크 보안 연구 기획, 설계, 구현, 평가 및 논문 발표 방법 학습 | |||
정보보호를위한기계학습기법의이해 | 3 | 학석공통 | 보안 분야에 활용되는 기계학습 및 딥러닝 기법 이론과 실습 수행 | |||
정보보호개론 | 3 | 학석공통 | 시스템,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웹 보안과 암호학 등 정보보호 기본 개념 개괄 | |||
공격관점보안 | 3 | 학석공통 | 사이버 공격 기법과 법·윤리적 관점에서 보안 취약점 분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