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목표 및 인재상
역량있는 사회복지사와 전문연구자
- 사회변화에 따라 대두되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복지제도 및 정책의 개발과 평가 그리고 개인․집단․지역사 회의 욕구와 문제해결을 위한 전문적 방법을 연구하고 실천
학과안내 및 소개
이같은 학문적 취지에 부응하여 설립된 본 사회복지학 전공은 역량있는 사회복지사와 전문연구자를 배출하기 위 해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과과정과 실습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향후 비전 및 진로
첫째, 사회복지제도와 정책분야를 들 수 있는데, 국민연 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업재해보상보험, 노인장기요양보 험 등의 사회보험 분야와 국민기초생활보장, 빈곤정책, 노 동과 실업정책, 복지국가비교연구, 복지모형개발 등의 분야 가 이에 속한다.
둘째, 사회복지서비스분야도 세부적으로 분류될 수 있는 데 아동학대예방서비스, 해체위기의 가족지원서비스, 장애 인복지, 의료사회복지,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 노숙인 자활 지원, 노인복지, 약물중독치료, 보호관찰, 군사회복지, 사회 적 기업 등이 이에 속한다.
셋째, 최근 사회복지의 새로운 경향으로는 국제기구, 비영 리조직, 인권운동, 환경운동이나 시민운동 등과 같은 Social Action과 ODA에 대한 관심의 증가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분야도 사회복지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사회복지 전문인력의 활동분야는 각종 국 제기구를 비롯하여 언론사, 시민단체, 복지관련 고급공무원, 사회복지공무원, 복지관련 연구소(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 국노동연구원), 사회복지재단(서울시복지재단, 경기복지재 단), 기업체의 복지재단, 각종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시 설, 의료기관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