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Future, Grand Challenge

Search

QUICK
MENU

scroll top  
Close
Search
 
  • home
  • 교육
  • 대학원과정
  • 교육과정

교육

대학원과정

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자기
학습
시간
영역 학위 이수
학년
비고 언어 개설
여부
BTH5035 고급세포배양공학 3 6 전공 석사/박사 - No
이 강의는 생물반응 장치에서 세포의 기능을 최대한으로 발휘시켜 경제적인 물질전환을 수행하는 배양공학의 기초이론과 응용기술 습득을 위한 강의로서. 생물공정의 기본사항, 공정조절, 배양장치, 배양장치 설계등 전반적인 내용을 습득한다
BTH5037 단백질공학특론 3 6 전공 석사/박사 - No
천연에 존재하는 동식물 및 미생물로부터 유래되는 생리활성물질의 분자구조,기능성, 작용기작 및 산업적 적용기술에 대하여 강의한다.
BTH5038 분자설계특론 3 6 전공 석사/박사 Yes
생체내에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단백질 등, 생리활성 조절분자들의 구조를 분석하며 이들의 기능을 증진 또는 억제시키는 신약후보물질을 컴퓨터 상에서 설계, 분석하고 in vivo 및 in vitro 효과를 검증하는 전체적인 개념을 강의.
BTH5041 줄기세포공학특론 3 6 전공 석사/박사 - No
본 과목에서는 줄기세포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난치성 질환 치료에 적용되고 있는 줄기세포 응용기술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최신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세부 연구 내용을 습득하고자 한다.
BTH5044 생물상호작용론 3 6 전공 석사/박사 - No
기주-미생물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명체간 상호작용의 프레임을 가지고 감염병으로 부터 식물과 동물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함.
BTH5045 응용세포유전학 3 6 전공 석사/박사 Yes
유전 현상과 그 분자기작을 소개 하여 생명의 발생, 질병 및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유전 원리를 이용한 다양한 현대분자유전학적 연구법을 이해하고 나아가 응용할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BTH5047 합성생물학특론 3 6 전공 석사/박사 - No
바이오부품(프로모터, 조절인자, 리포터/효소)을 조립하여 논리적 기능을 구현하는 유전자장치 개발 개념을 이해함. 또한 부품/회로의 작동을 예측 및 해석하여 공학적 이해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모듈화-표준화된 바이오기반 분석기술, 의약/화학물질의 생물학적 합성기술 개발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에 기여함
BTH5048 시스템생물학특론 3 6 전공 석사/박사 - No
본 과목은 최신 시스템생물학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복잡한 생물체를 정량적, 통합적, 그리고 예측적으로 분석하는 실험기술과 정보학 연구법의 개발에 대하여 논의할 것이다.
BTH5050 혁신신약개발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Yes
바이오신약의 개발의 각 단계를 세부적으로 파악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의 혁신 바이오신약개발에 필요한 지식들을 습득한다.
BTH5054 바이오기술사업화개론 3 6 전공 석사/박사 - No
바이오기술 사업화 개론 교과는 생명과학과 산업, 바이오기업가 정신, 지적재산권, 바이오기업 창업 및 성장, 사업 계획서 작성 및 발표기술, 바이오제품 인허가 및 생산공정, 인적자원 및 경력개발, 등의 주제를 학습함으로써 생명공학기술 사업화 전반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BTH5055 융합생명공학개론 3 6 전공 석사/박사 Yes
전통적 생명공학과 나노공학을 개론적으로 설명하고, 이 두 기술이 접목된 나노바이오공학의 최근 동향을 소개함. 또한 나노바이오공학이 현재 응용되고 있는 분야를 설명하고 향후 신기술의 방향을 brain-storming 방식으로 토의함
BTH5056 학제간연구방법론 3 6 전공 석사/박사 Yes
공동지도교수가 참여하여 연구의 진행 과정 및 연구 방법론, 결과해석 방법론들에 대한 지도를 하며 그 형식은 연구 목적, 연구배경, 연구 가설 혹은 연구동기, 결과, 결과에 대한 해석, 결과 보완을 위한 실험 계획 등을 포함한다.
BTH5057 바이오의과학집중연구1 3 6 전공 석사/박사 - No
바이오의과학 전공분야의 최근 연구동향 분석 및 수업 참여 대학원생이 진행하고 있는 연구결과 진도 발표를 통해 연구결과의 질적 향상과 문제점 개선을 위한 연구집중 강의를 진행한다.
BTH5059 바이오인공지능집중연구1 3 6 전공 석사/박사 Yes
바이오인공지능 전공분야의 최근 연구동향 분석 및 수업 참여 대학원생이 진행하고 있는 연구결과 진도 발표를 통해 연구결과의 질적 향상과 문제점 개선을 위한 연구집중 강의를 진행한다.
BTH5060 바이오인공지능집중연구2 3 6 전공 석사/박사 - No
바이오인공지능 전공분야의 최근 연구동향 분석 및 수업 참여 대학원생이 진행하고 있는 연구결과 진도 발표를 통해 연구결과의 질적 향상과 문제점 개선을 위한 연구집중 강의를 진행한다.
BTH5061 바이오의약품학집중연구1 3 6 전공 석사/박사 - No
바이오의약 전공분야의 최근 연구동향 분석 및 수업 참여 대학원생이 진행하고 있는 연구결과 진도 발표를 통해 연구결과의 질적 향상과 문제점 개선을 위한 연구집중 강의를 진행한다.
BTH5063 바이오의공학집중연구1 3 6 전공 석사/박사 Yes
바이오의공학 전공분야의 최근 연구동향 분석 및 수업 참여 대학원생이 진행하고 있는 연구결과 진도 발표를 통해 연구결과의 질적 향상과 문제점 개선을 위한 연구집중 강의를 진행한다.
BTH5064 바이오의공학집중연구2 3 6 전공 석사/박사 Yes
바이오의공학 전공분야의 최근 연구동향 분석 및 수업 참여 대학원생이 진행하고 있는 연구결과 진도 발표를 통해 연구결과의 질적 향상과 문제점 개선을 위한 연구집중 강의를 진행한다.
BTH5065 바이오산업체현장실습1 3 6 전공 석사/박사 Yes
현장실습을 통하여 바이오의약품개발 산업체에서의 경험을 쌓게하여 졸업과 동시에 산업현장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지식 및 기술 습득 목적으로 개설됨
BTH5066 바이오산업체현장실습2 3 6 전공 석사/박사 Yes
현장실습을 통하여 바이오의약품개발 산업체에서의 경험을 쌓게하여 졸업과 동시에 산업현장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지식 및 기술 습득 목적으로 개설됨
BTH5067 바이오산업체현장실습3 3 6 전공 석사/박사 - No
현장실습을 통하여 바이오의약품개발 산업체에서의 경험을 쌓게하여 졸업과 동시에 산업현장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지식 및 기술 습득 목적으로 개설됨
BTH5068 바이오산업체현장실습4 3 6 전공 석사/박사 - No
현장실습을 통하여 바이오의약품개발 산업체에서의 경험을 쌓게하여 졸업과 동시에 산업현장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지식 및 기술 습득 목적으로 개설됨
BTH5069 바이오산업체현장실습5 3 6 전공 석사/박사 - No
현장실습을 통하여 바이오의약품개발 산업체에서의 경험을 쌓게하여 졸업과 동시에 산업현장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지식 및 기술 습득 목적으로 개설됨
BTH5070 바이오산업체현장실습6 3 6 전공 석사/박사 - No
현장실습을 통하여 바이오의약품개발 산업체에서의 경험을 쌓게하여 졸업과 동시에 산업현장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지식 및 기술 습득 목적으로 개설됨
BTH5073 인공지능개론 3 6 전공 석사/박사 Yes
본 과목은 기초이론을 강의하고, 진보된 주제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론에서 다루는 세부 과제로서는 상태공간에서 문제의 표현, 넓이우선 탐색, 깊이우선 탐색과 경험적 탐색 등의 탐색방법, 그리고 술어 논리, 해결 방법, 법칙을 사용한 지식 표현 등이다. 계획 시스템, 훈련방법을 포함한 퍼셉트론과 홉필트 신경망 등과 같은 신경망과 퍼지 기술, 영상표현, 외각선 검출, 직선과 곡선의 검출 등과 같은 컴퓨터 시각 등의 진보 된 주제들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기호 프로그램 언어인 LISP를 예제와 함께 소개한다.
BTH5074 생물분자공학특론 3 6 전공 석사/박사 - No
본 강의에서는 주어진 문제에 대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하여 단백질공학 관련 기술들을 파악하고 문제해결력을 신장한다. 단백질구조와 생물학적 기능과의 상관관계 및 유전공학을 이용한 산업적 생산 및 정제 등을 강의한다. 생체 촉매 단백질인 효소의 생화학적 성질을 파악하고 이들의 구조, kinectis, 활성조절인자를 알아보고 단백질구조학적, 분자생물학적 기법으로 이들 단백질의 성질을 개량하는 원리에 대해 강의한다. 또한 단백질의 기본구조, 작용기작, 기능 등의 기본적인 성질 등의 논의와 이를 이용하는 단백질공학으로 새롭게 개질된 단백질의 특성, 생화학적 분석방법 및 공업적 응용 방법을 강의한다.
BTH5076 천연물화학생물학개론 3 6 전공 석사/박사 - No
- 4차산업혁명시대 중요한 최신연구분야인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천연물 연구에 대한 이해를 위한 교과목임 - 본 교과목을 수강하여 기초적인 마이크로바이옴과 관련된 화학생물학적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본인의 연구력을 더욱 향상시키고 보다 넓은 연구시야를 가질수 있음.
BTH5077 바이오신약개발특론 3 6 전공 석사/박사 - No
[교과목 목적] - 최신의 바이오 의약품에 대하여 소개하고, 기초 연구에서부터 실제 바이오 신약이 개발되는 전 과정을 이해함으로서 혁신 바이오 신약을 위하여 필요한 기초 지식을 전달하고자 함. 이를 통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바이오 신약 개발의 패러다임 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자 함. [교과 중점 내용] - 바이오의약품의 정의 - 최신 바이오의약품 트랜드 분석 - 항체의약품 개발 원리 및 응용 - 유전자 치료제 소개 및 개발 과정 습득 - 세포 치료제의 원리 및 개발 - 첨단 바이오의약품 개발의 문제점 토의
BTH5078 중급전산생물학방법론 3 6 전공 석사/박사 - No
2000년대 초 entire human genome sequencing이 최초로 이루어진 이후 human으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그리고 방대한 양의 molecular profile들이 생성되었다. 다양한 질병을 겪는 환자들로부터 획득한 molecular profile은 컴퓨터를 이용한 다방면의 분석을 통해 환자의 임상 및 질병 치료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방대한 양의 molecular profile 데이터 생성, 이들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달,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개인 맞춤형 의료 수요가 증가하면서 분자데이터를 이용한 질병 연구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많은 데이터 분석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google scholar에서 RNA expression 분석에 많이 이용되는 방법인 “gene feature selection”를 검색하면 2,320,000 개에 해당하는 publications을 찾을 수 있다. 전산 생물학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분석 방법은 전공 분야와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바, 바이오의약학 분야에 기초적으로 적용 가능한 기법을 다룰 필요가 있다. 본 과목은 바이오의약 및 관련 분야의 대학원생에게 유전체 및 생물정보학 연구에서 사용되는 전산 연구 방법의 기초 개념 및 응용 분야을 소개하고자 마련되었다. 학생들이 전산 연구 방법의 경험이 없거나 제한된 경험만 갖추고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본 교원은 연구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전산 연구 방법들의 fundamental concept, 관련 연구 논문 소개 및 토의, 그리고 프로그래밍 수행을 통해 전산 생물학의 기초 지식 및 경험을 제공할 것이며 나아가 독립적인 계산 생물학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시키고자 한다.
BTH5079 종양면역과면역치료 3 6 전공 석사/박사 - No
암질환은 한국인 사망률 1위를 차지하는 원인입니다. 지금까지 다양한 종양 치료제가 고안되었지만, 빠르게 분열하는 정상세포에 작용함으로써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거나, 종양세포의 유전적, 후성유전학적, 대사적 변화를 수반하는 다양한 메커니즘에 의해 약물 내성을 획득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지속적으로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 노력이 요구됩니다. 최근에는 환자가 가지고 있는 항암 면역 체계를 이용한 면역 치료제가 개발되어, 기존 치료제를 대체하거나 병용 요법으로 사용되는 등 차세대 치료제로서 부상하였습니다. 본 수업은 종양 세포의 내재적, 외재적 메커니즘에 의한 면역 회피, 종양 면역을 담당하는 면역 세포들의 기능, 면역 세포와 암세포, 그리고 종양 미세 환경 요인간 상호 작용 등을 중심으로 암 치료제의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온 다양한 면역 치료 전략과 새로운 면역 치료제의 개발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