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행사] 2022년 성균 한국인문학 국제 학술대회 안내
- 한문학과
- 조회수1584
- 2022-11-23
2022년 성균 한국인문학 국제 학술대회 안내 드립니다.
Sung Kyun Korean Humanities International Conference(Fall, 2022)
〔'실천적 지식인'과 교수직의 역사와 현재〕
●인사말
선비와 사대부 전통이 있는 동아시아 뿐 아니라 전세계의 근대화 과정에서 지식인은 그야말로 사회와 ‘유기적’으로 존재해왔습니다. 달리 말해 지식과 이념의 생산, 교육체계와 공론장의 전면적 재구성에서 지식인은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또 그 과정에 의해 산출된 주체가 지식인이었습니다. 그래서 지식인은 자유주의, 사회주의, 민족주의 지향의 근대 변혁에서 민족(nation)/인민(people)과 깊이 갈등하거나 같이 호흡할 수 있었습니다. ‘유기적 지식인’, 인텔리겐치아, 인텔렉추얼 등의 개념은 모두 그러한 지식인의 존재양상을 표현하는 말이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식인의 존재 양상은 20세기 후반부터 극적으로 변화해 왔으며 또 끊임없이 붕괴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식은 자본에 의해 고도로 기능화ㆍ파편화되었으며, 결정적으로 지식인이 군거하던 문학장과 대학 또한 변했습니다. 대학에 도입된 신자유주의체제는 본래적 의미의 지식인을 추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교수직의 의미도 바꾸어놓고 있습니다. 더욱 큰 규모의 자본을 끌어 옴으로써 연구와 학문장은 과거보다 더 큰 자율성을 얻은 것 같지만, 대학의 ‘연구자’와 교수는 대부분 그와 같은 자본의 지배에 굴종할 수밖에 없는 초라한 상태에 직면했습니다. 그럼에도 이른바 ‘탈진실(post truth)’과 포퓰리즘의 시대는 오히려 ‘진리’의 총체성과 연구의 사회적 의미를 적극적으로 되짚게 만듭니다. 이번 학술행사를 통해, 어떠한 주체가 어떻게 이 문제를 감당하고 있는지를 논의하고, 또 지식인ㆍ지성 연구의 새로운 방법을 통해 실천적 지식인과 교수직의 역사와 현재를 돌아보려고 합니다.
● 일시 및 장소
- 일시: 2022년 11월 25일(금) 09:30~18:00, 11월 26일(토) 14:00~17:00
- 장소: 성균관대학교 경영관 33203 Live virtual studio
- 온라인 공간(ZOOM): 추후 공개
(학부생/대학원생의 경우 오프라인 장소가 협소하여 ZOOM으로 참가 권장)
● 자료집 및 온라인 ZOOM 주소 확인
- URL: http://www.klbksk.com/wiki/index.php/SKHIC2022
●주최/주관
- 공동주최 : 성균관대 국어국문학과·사학과·영어영문학과·유학동양한국철학과 4단계 BK21 교육연구단, 성균관대 한문학과 4단계 BK21 교육연구팀,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HK+)연구소
- 주관 : 성균한국인문학협의회
세부사항은 붙임 포스터를 참조하시기 바라며,
기타 자세한 사항은 국어국문학과 BK21 사업단(02-740-1526, yeb1106@skku.edu)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