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커뮤니티
- 학과소식
-
-
박진성 교수님, SBS 스폐셜 <빵 터지는 노벨상> 출연
-
지금껏 한 번도 볼 수 없었던 특이한 연구를 조명하는 SBS 스페셜 '빵 터지는 노벨상'에 교수님의 마이크로 와이어 연구가 소개되었습니다. (학교 메인홈페이지에도 게시되어있습니다.) - SBS스페셜 [빵 터지는 노벨상 EP.02] YouTube 클립 - 손장난 같은 풀실을 이용한 마이크로와이어 - 환원그래핀옥사이드를 섞은 풀실로 센서 제작!
-
-
-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채경환, 김가영 원우, 대한기계학회 기업 연계 챌린지 입상
-
◀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김가영(왼쪽), 채경환(오른쪽) 원우
-
-
-
2023년 SKKU 대학원생 논문대상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김민우, 김치현 박사과정 수상 쾌거!
-
2023년도 ‘SKKU 대학원생 논문대상‘에서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박진성 교수 연구팀(나노바이오환경센서연구실)에서 수상자가 2명이 나오는 쾌거를 달성하였다. 박진성 교수 연구팀의 김민우 박사과정은 공학 분야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였고, 김치현 박사과정은 나노/신소재 분야에서 장려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우수상은 400만원, 장려상은 300만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김민우 박사과정은 ’Integrating vibration models into point-of-use electrochemical sensors for enhanced detection of heavy metals via nanomaterial functionalized screen printed electrodes’의 주제로 지원하였으며, 김치현 박사과정은 ‘Ultrasensitive detection of nanoplastics in real water environment using epizoochory seed-liked amyloid oligomer(ESAO) based nanoplastic sensor’의 주제로 지원하여 수상하였다. SKKU 대학원생 논문대상은 학문후속세대의 연구력 제고 활성화를 위해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교내 연구자를 발굴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성균관대학교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김민우 박사과정, 박진성 교수, 김치현 박사과정) ※ 관련링크: https://www.skku.edu/skku/campus/skk_comm/notice01.do?mode=view&articleNo=109453&article.offset=0&articleLimit=10#linkNone) ※ [2023 자연과학분야 대학원생 논문 대상 수상자]
-
-
-
2023년 제1회 대학원 연구성과 경진대회(SKKU Research Maters)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김민우, 박현준 박사과정 수상 쾌거!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주최한 2023 제1회 대학원 연구성과 경진대회(SKKU Research Matters)에서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박진성 교수 연구팀(나노바이오환경센서연구실)에서 수상자가 2명이 나오는 쾌거를 달성하였다. Research Matters는 “나의 연구가 중요한 이유”를 주제로 연구 성과 혹은 연구계획을 소개하는 스피치 대회이다. 해당 대회에서 박진성 교수 연구팀의 김민우 박사과정과 박현준 박사과정이 각각 대상과 우수상을 수상하였으며, 대상은 200만원, 우수상은 150만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김민우 박사과정은 ‘Development of an electrochemical sensor for environmental toxic substances’의 주제로 지원하여 수상하였고, 해당 주제의 연구 결과는 ACS Sustainable Chemistry & Engineering(IF: 9.224, Q1)저널에 2023년 게재되었다. 박현준 박사과정은 ‘p-Phenylenediamine의 자가조립 나노입자를 이용한 과불화화합물(PFOA)의 라만 분광학적 고민감 검출 플랫폼 제작 및 응용 연구’의 주제로 지원하여 수상하였고, 해당 주제의 연구 결과는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IF: 14.224, Q1) 저널에 2023년 게재되었다. 대학원 연구성과 경진대회는 우수한 연구 성과를 발굴하고 공유하는 장을 마련하기위해 일반대학원 주최로 2023년 제1회를 기점으로 매년 개최될 예정이다. (왼쪽부터 성균관대학교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김민우 박사과정, 박진성 교수, 박현준 박사과정) ※ 관련링크: https://www.skku.edu/skku/campus/skk_comm/notice01.do?mode=view&articleNo=107922&article.offset=0&articleLimit=10&srSearchVal=research+matters
-
-
-
[Research Stories] 초고민감 과불화옥탄산(PFOA) 검출 센서 개발
-
자가 조립 파라페닐렌디아민 나노입자 활용해 독성물질의 민감 검출 가능 환경 정밀 모니터링을 위한 기술로 응용 기대
-
-
-
박진성 성균관대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교수, 방류수 내 질병 유발 중금속 검출 센서 개발
-
박진성 성균관대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교수, 방류수 내 질병 유발 중금속 검출 센서 개발
-
-
-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박진성 교수 연구팀, 초고민감 과불화옥탄산 검출 센서 개발
-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박진성 교수 연구팀, 초고민감 과불화옥탄산 검출 센서 개발 - 자가 조립 파라페닐렌디아민 나노입자 활용해 독성물질의 민감 검출 가능 - 환경 정밀 모니터링을 위한 기술로 응용 기대
-
-
-
고려대·성대, DNA 이용한 암 진단 기술 개발
-
-
-
-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나노 바이오 환경 센서 연구실(박진성교수님) 소개
-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박진성교수님 연구실(나노 바이오 환경 센서 연구실) 소개 영상입니다.
-
-
-
소나무 꽃을 모사한 고민감도 표면증강 라만산란 검출센서 개발...성균관대 박진성 교수·한국교통대학교 이원석 교수·전남대 방도연 교수 공동연구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