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연구와 언어 문제”
2022-12-29
- 언어적 전회와 문화적 전회, 두 전환 이후의 한국(어문)학 -“문화연구와 언어 문제” - 언어적 전회와 문화적 전회, 두 전환 이후의 한국(어문)학 - Language Problems in Cultural Studies : Linguistic Turn and Cultural Turn, Korean Studies after Two Transitions 안녕하십니까, 〈성균관대 BK21 혁신ㆍ공유ㆍ정의 지향의 한국어문학 교육연구단〉입니다. 우리 교육연구단은 “성균 국제 문화연구 연례포럼”(Sungkyun Annual International Forum on Cultural Studies)을 통해 그간 “포스트코로나 포스트 문화연구“(Post Corona (Era), Post Cultural Studies, 2021.1.29.~2021.1.30.), “SF와 지정학적미학”(2022년 12.9.-12.10.)라는 두 국제회의를 통해 문화연구의 현재를 확인하는 토론과 연찬의 자리를 가져 왔습니다. 이에, 이번 제3회 대회에서는 ““문화연구와 언어 문제: 언어적 전회와 문화적 전회, 두 전환 이후의 한국(어문)학”이라는 주제로 지난 반세기 인문학 연구의 대전환을 가져온 언어와 문화라는 두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의 주요 이슈들을 검토하고 두 전환 이후의 한국학의 문제를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문화 연구에서 언어의 문제는 피할 수 없는 분석의 대상이며, 20세기 인문학의 언어적 전회는 문화적 전회에 의해 새로운 도전과 변화를 맞기도 했습니다. 한국 문화 연구에 있어서의 언어적 이슈들을 발본적으로 논하는 귀한 자리가 되리라 기대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시일: 2023년 1월 4일-1월 6일 (수/목/금) 장소: 성균관대학교 (온/오프라인) 장소 경영관 소극장(1월 4일) 31709(1월5일-6일) 주최: 성균관대 BK21 혁신ㆍ공유ㆍ정의 지향의 한국어문학 교육연구단, Inter-University Center at SKKU(국제한국학센터), 성균관대 비교문화ㆍ일본학ㆍ글로컬문화콘텐츠 연계전공 제1일 식전 상영+공연 1월 4일 오후 4시-5시반 경영관 소극장 “Opening 상영+변사 공연” 조선 변사 활동사진극 <레미제라블> (Les Misérables, Albert Capellani 1912) 한국어 대본 및 변사 : 강창일 공연시간 : 40분 + 토크 2023년 1월 4일 오후 4시-5시반 경영관 지하3층 소극장 영화: 레미제라블(Les Misérables) / 1912년 / 흑백 / 무성 / 프랑스 원작: 빅토르 위고(Victor Hugo) 감독: 알베르 카펠라니( Albert Capellani) 제작사: S.C.A.G.L.(Société Cinématographique des Auteurs et Gens de Lettres) 배급사: 파테(Pathé Consortium Cinéma) 오리지널 상영시간: 4시간 20분 조선에 들어온 활동사진 <레미제라블(Les Miserables)>은 1920년 5월 종로의 YMCA에서 상영되어 대흥행을 기록했다. 2000페이지가 넘는 방대한 텍스트, 아름다운 문장, 혁명의 메시지를 담은 프랑스의 대문호 빅토르 위고의 작품이 무려 4시간이 넘는 필름에 담겨 식민지 조선의 관객의 마음과 어떻게 통하였을까? 아니, 그보다 무성영화는 어떤 식으로 100년 전 한반도의 관객들에게 보여졌을까? 영화의 본고장 프랑스에서 <검사와 여선생> 변사 공연으로 프랑스 관객을 만났던 영화학자 강창일이 고증과 상상을 더해 재연하는 한국 최초로 상영된 <레미제라블> 공연. *강창일 파리 8대학 연극/영화 박사. 현재 파리 10대학에서 비교문학 연구 중. 『Les débuts du cinéma en Corée (한국영화의 시작)』 출간. #제2일 “20세기의 한국의 언어 경험과 문학어” #제3일 “문화론적 전회 이후, 한국학의 지구” (*제2일과 제3일의 상세 프로그램은 포스터 및 일정표에서 확인 바랍니다.)
2022년 하반기 연속특강: "비교문학, 어떻게 할 것인가?”
2022-10-13연속특강: 비교문학,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에서 비교문학 ‘하기'- 10월 25일 화요일 12시-2시 30분 이형진( 숙명여대 교수/한국비교문학회장) “비교문학 연구의 과거, 현재, 미래-전미비교문학회 10년 보고서들을 중심으로” 장소: 성균관대학교 경영관 4층 33402호 10월 20일 목요일 12시-2시 30분 손성준(한국해양대 교수) “동아시아 비교문학, 어떻게 할 것인가?-번역의 시공간과 근대문학의 역학들” 장소: 성균관대학교 다산경제관 32208호 주최: 성균관대 BK21 혁신·공유·정의 지향의 한국어문학 교육연구단+성균관대 비교문학협동과정/연계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