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3회 성균관대-니혼대 차세대 워크숍+제2회 제국일본의 콜로니얼 아카이브 국제학술대회 성료[2025.1.24-1.25., 도쿄] 성료
2025-01-28"제3회 성균관대-니혼대 차세대 워크숍"과 "제2회제국일본의 콜로니얼 아카이브와 부스러기 아카이비즘의 투쟁과 지의 재구축에 관한 연구"가 2025년 1월 24일과 25일 양일간 일본 도쿄의 니혼대학 문리학부에서 개최되었다. 우리 대학에서는 교원 3인(천정환, 황호덕, 손성준)과 대학원생 6명(국문과, 비교문학협동과정, 동아시아학과)이 참가하여 열띤 발표와 토론을 이어갔다. "성균관대-니혼대 차세대 워크숍"는 본교 문과대학과 니혼대학 문리학부의 인문학 인재 공동 양성에 관한 협력과 관련 협정에 따라 매년 1회 서울과 도쿄에서 번갈아 개최된다. 매년 상호 장단기 학생 파견[학기당 2명]을 이어가고 있다. "제국일본의 콜로니얼 아카이브와 부스러기 아카이비즘의 투쟁과 지의 재구축에 관한 연구"(2022-2026)는 일본의 식민지 문제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한국, 대만, 미국의 학자들이 참여하는 국제 공동 연구로 우리 대학 교원이 한국측 파트너(천정환, 황호덕, 이혜령 외)로 참여하고 있다 「日本大学と成均館大学の次世代ワークショップ」 第3回目の会議 「帝国日本のコロニアルアーカイブズと屑本アーカイブズの抗争と知の再構築に関する研究第2回目の会議 「日本大学と成均館大学の次世代ワークショップ」 第3回目の会議 「日本大学と成均館大学の次世代ワークショップ」 第3回目の会議 「日本大学と成均館大学の次世代ワークショップ」 第3回目の会議 「帝国日本のコロニアルアーカイブズと屑本アーカイブズの抗争と知の再構築に関する研究第2回目の会議 「帝国日本のコロニアルアーカイブズと屑本アーカイブズの抗争と知の再構築に関する研究第2回目の会議 「帝国日本のコロニアルアーカイブズと屑本アーカイブズの抗争と知の再構築に関する研究第2回目の会議
제3회 성균관대-니혼대 연합 차세대 워크숍 & 제2회 학술 콜로키움[2025.1.24.-1.25.]
2025-01-13문화번역을 묻는다 文化翻訳を問う 제3회 차세대 워크숍 第3回次世代ワークショップ 일시: 2025년 1월 24일(금요일) 12시~18시 日時:2025年1月24日(金曜日)12時〜18時 장소: 일본대학 문리학부 도서관 타원형 홀 場所:日本大学文理学部図書館オーバルホール 제국 일본의 식민지 아카이브와 부스러기 아카이브의 항쟁과 지식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帝国日本のコロニアルアーカイブズと屑本アーカイブズの抗争と知の再構築に関する研究 제2회 콜로키움 第2回コロキウム 일시: 2025년 1월 25일, 오후 12시~18시 日時:2025年1月25日、午後12時〜18時 장소: 일본대학 문리학부 본관 1층 러닝 커먼즈 場所:日本大学文理学部本館1階ラーニングコモンズ
[국제공동심포지엄] 냉전문화 형성기 한국문학/문화사의 재인식 ―일본 제국 해체와 코리안 문화의 분기를 중심으로―(2024.9.13.)
2024-08-28국제공동심포지엄 냉전문화 형성기 한국문학/문화사의 재인식 ――일본 제국 해체와 코리안 문화의 분기를 중심으로―― 일시: 2024년 9월 13일 금요일 10:00~18:00 장소: 성균관대 인문사회과학캠퍼스 국제관 9B217 공동 주최: 성균관대 BK21 Four 혁신・공유・정의 한국어교육연구단/성균관대 일본학연계전공 [科硏基盤B 23K20088] 冷戦文化形成期(1945-1970)韓国文学・文化史の再認識 9:50-10:00 환영사 정우택 (성균관대) 10:00-10:10 와타나베 나오키(무사시대) 개최 인사 및 취지 설명 제1부 사회 : 황호덕 (성균관대) 10:10-10:40 [1] 가게모토 츠요시(리츠메이칸대) 해방기 김남천 소설의 재독 10:40-11:10 [2] 류충희(후쿠오카대) 해방 후 최남선의 당대 인식과 계몽의 논리 11:10-11:40 [3] 정종현(인하대) 분단과 학술, 창설기 김일성종합대학과 국립서울대학교 비교 연구 11:40-12:00 1부 전체 토론 점심 식사 (12:00-13:00) 제2부 사회: 손성준(성균관대) 13:00-13:30 [4] 정예인(성균관대) 기행과 월북, 해방기의 서광제 <북조선기행>(1948), <위대한 역사>(1949) 사이 13:30-14:00 [5] 이영재(성균관대) 1949, 남과 북의 두 고향-<내 고향>(강홍식)과 <마음의 고향>(윤용규) 14:00-14:30 [6] 김모란(와세다대) 냉전형성기 일본연극과 조선연극의 재회:일본신극인의 북한 방문(1957)을 중심으로 14:30-14:50 2부 전체 토론 휴식 (14:50-15:10) 제3부 사회: 구인모 (연세대) 15:10-15:40 [7] 이예찬(성균관대) 전후 북한의 문학 분과, 제2차조선작가대회(1956)와 국제연대 문제 15:40-16:10 [8] 다카하시 아즈사(니가타현립대) 일본 독자가 만난 김기림: 김기림 문학의 일본어 번역이 만든 네트워크를중심으로 16:10-16:40 [9] 임태훈(성균관대) 전파와 문화 월경: 대남방송과 대북방송의 문화지 16:40-17:00 3부 전체 토론 휴식 (17:00-17:10) 17:10-18:00 종합토론 : 류충희(사회), 와타나베 나오키 (무사시대), 구마키 츠토무 (덴리대) 각 부 사회자, 김성수(성균관대)+참가자 전원 18:00 폐회 인사 (황호덕, 성균관대) ――――――――――――――― 共同シンポジウム ――――――――――― 冷戦文化形成期韓国文学/文化史の再認識 ――日本帝国解体とコリアン文化の分岐を中心に―― 日時:2024年9月13日金曜日10:00~18:00 場所: 成均館大学人文社会科学キャンパス 国際館 9B318 共同主催:成均館大学BK21 Fourイノベーション・共有・正義の韓国語教育研究団、成均館大学日本学連携専攻 [科硏基盤B 23K20088] 冷戦文化形成期(1945-1970) 韓国文学・文化史の再認識 9:50-10:00 歓迎辞(チョン・ウテク/成均館大) 10:00-10:10 渡辺直紀(武蔵大)開催あいさつ及び趣旨説明 第1部 司会:ファン・ホドク(成均館大) 10:10-10:40 [1] 影本剛(立命館大)解放期・金南天小説の再読 10:40-11:10 [2] リュ・チュンヒ(福岡大)解放後崔南善の当代認識と啓蒙の論理 11:10-11:40 [3] チョン・ジョンヒョン(仁荷大)分断と学術、創設期金日成総合大学と国立ソウル大学の比較研究 11:40-12:00 パート1 全体議論 ランチ(12:00~13:00) 第2部 司会:ソン・ソンジュン(成均館大) 13:00-13:30 [4] チョン・イェイン(成均館大) 紀行と越北、解放期の徐光斎の<北朝鮮紀行>(1948)と<偉大な歴史>(1949)の間(仮題) 13:30-14:00 [5] イ・ヨンジェ(成均館大)1949、南と北の2つの故郷-<わが故郷>と<こころの故郷> 14:00-14:30 [6] キム・モラン(早稲田大) 冷戦形成期・日本演劇と朝鮮演劇の再会:日本新劇人の北朝鮮訪問(1957)を中心に 14:30-14:50 パート2 全体の議論 休憩(14:50~15:10) 第3部 司会:ク・インモ(延世大) 15:10-15:40 [7] イ・イェチャン(成均館大) 戦後北朝鮮の文学分科、第2次朝鮮作家大会(1956)と国際連帯問題 15:40-16:10 [8] 高橋梓(新潟県立大) 日本読者が出会った金起林:金起林文学の日本語翻訳が作ったネットワークを中心に 16:10-16:40 [9] イム・テフン(成均館大)伝播と文化越境:対南放送と対北放送の文化誌 16:40-17:00 3部 全議論 休憩(17:00~17:10) 17:10-18:00 総合討論:リュ・チュンヒ(司会)、渡辺直紀(武蔵大)、熊木勉(天理大) 各部司会者、キム・ソンス(成均館大)+参加者全員 18:00 閉会あいさつ(ファン・ホドク、成均館大)
다큐 상영X대담: 장민승 감독 <둥글고 둥글게>(5・18 40주년 기념작, 2020) 상영
2024-02-05시간 순서 토론자 1부 혁명과 다큐멘트 (상허학회*성균관대학 일본학연계전공+비교문화연계전공협동과정 공동주최) 진행: 이영재(성균관대) 10:30-12:00 다큐 상영: 장민승 감독 <둥글고 둥글게>(2020) 5・18 40주년 기념작 상영 장민승 감독 참석 12:00-12:30 <둥글고 둥글게>에 관한 감독과의 대담 대담: 김지훈(중앙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