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Future, Grand Challenge

통합검색
닫기
통합검색
 

대학원과정

  • home
  • 대학원과정
  •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교육과정

대학원과정

국어국문학과

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자기
학습
시간
영역 학위 이수
학년
비고 언어 개설
여부
DKL5094 고전소설작품론연습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한국고전소설 작품을 직접 읽고, 기존의 연구사를 검토한 후 새로운 관점 및 방법론으로 작품 자체에 대한 문학적 연구를 수행한다.
DKL5095 한국고전소설사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한국고전소설의 사적 전개 과정을 검토하고 문학사적 쟁점을 연구한다.
DKL5096 여말선초시가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이 과목은 고려말에서 조선초기에 걸쳐 향유되었던 시가문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목적을 둔다. 경기체가와 악장을 비롯하여 이 시기의 시가 장르를 대상으로 그 형성과정과 장르적 특성을 살펴보고, 주요 작품 구조와 의미를 연구한다.
DKL5098 국어학사특수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국어의 계통과 형성에 관한 재이론을 종합,분석하고 국어에 음운, 형태, 통사 및 의미가 역사적으로 겪어온 과정과 변화를 고찰하며, 그 변천사를 체계적으로 기술하기 위한 심도있는 연구를 수행한다.
DKL5099 현대작가특수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현대 작가 연구에 요구되는 특수 과제들을 수시로 달리 설정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DKL5100 현대한국시사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한국현대시사를 고전시문학사와의 연계선상에서 고찰하고, 시대적으로 문제있는 점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DKL5102 고전작가특수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 No
고전 작가 연구에 요구되는 특수 과제들을 수시로 달리 설정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특히 이 과목에서는 고전문학 작가론을 전반적으로 연구하여, 전문 학자로서 고전문학 작가론에 대한 독자적인 견해를 확립하는 데 목적을 둔다.
DKL5103 국어학이론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 No
국어학 연구에 요구되는 이론적인 논의와 과제들을 수시로 달리 설정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특히 이 과목에서는 국어학의 이론을 연구하여, 전문 학자로서 국어학에 대한 이론적, 독자적인 관점을 확립하는 데 목적을 둔다.
DKL5104 국어학응용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Yes
국어학 연구의 이론을 실제적인 언어 자료에 적용하는 응용적인 논의와 과제들을 수시로 달리 설정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특히 이 과목에서는 국어학 이론이 적용되는 다양한 응용적 양상을 연구하여, 전문 학자로서 국어학 연구의 실질적이고 응용적인 관점을 확립하는 데 목적을 둔다.
DKL5105 국어학과제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Yes
국어학 연구에서 이론과 적용의 관점에서 주목받았던 논의 과제들을 수시로 달리 설정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특히 이 과목에서는 국어학의 쟁점과 논리, 논의의 전개 과정을 심도 있게 연구하여 , 전문 학자로서 국어학의 쟁점을 파악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확장하는 데 목적을 둔다.
DKL5109 한문학특수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 No
이 과목은 한국한문학 연구에 요구되는 특수과제들을 설정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최근 주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연구주제를 검토하여 한국한문학의 연구 흐름을 이해하고 향후의 연구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DKL5112 한국미디어문화심층연구 3 9 전공 석사/박사 1-4 - No
이 과목은 현대 한국의 영화, 대중음악, 뮤지컬, 연극 및 드라마 등의 미디어 문화를 한국문학 연구의 입장에서 연구하는 심층 세미나이다. 수강생들은 미디어연구와 문화연구의 최신 이론을 살펴보며, 한국 근대 및 당대 문화의 주요 이슈와 텍스트들을 분석하게 된다.
DKL5114 1980년대문학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 No
1980년대의 문화와 사회를 이해하는 것은 현재 한국의 문화정치와 이념 지형을 이해하는 데에도 긴요한 일이다. 이 과목은 민주ㆍ민족ㆍ민중운동과 노동문학ㆍ민중문예 운동이 가장 활발했던 시대이며, 동시에 고도 경제 성장과 대중문화 융창의 시기였던 1980년대의 문학 문화를 다룬다. 1980년대에 발표된 다양한 문학 작품은 물론 문화운동과 그 논리, 대중문화에 대해서도 탐색한다.
DKL5115 한반도문학문화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 No
해방 후 남한 문학과 북한 문학에 대한 호혜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반도 전체를 대상으로 문학사를 재검토한다. 북한 문학에 중심을 두되, 한국과 동아시아주변국과의 관계성 하에서 문학 현상을 이해한다. 분단 체제 및 평화 체제와 한반도 문학의 관계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문학을 중심으로 하되, 문화 현상 전체를 조망한다.
DKL5116 한국아동청소년문학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 No
국 근대 아동문학과 청소년문학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탐구한다. 어린이의 발견과 아동문학의 근대적 성립, 주요 작가와 작품, 시대적 변천과 발전 과정, 문화적 성격을 고찰한다. 북한 및 동아시아 아동청소년문학사 비교 연구를 수행한다.
DKL5117 고전문학과문화예술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이 과목은 한국고전문학을 그와 인접한 예술 장르와 관련하여 당대의 문화사적 맥락 속에서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문학 연구의 방법론적 확장을 모색하고 작품을 다각도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DKL5118 고전문학과문화콘텐츠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이 과목은 한국고전문학의 문화적 가치를 현대의 시대 상황 속에서 재해석하고 나아가 문화콘텐츠로서의 성립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고전 작품을 현대의 문화콘텐츠로 활용한 여러 사례들을 검토 및 평가하고 새로운 문화콘텐츠화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DKL5119 고전문학과빅데이터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이 과목은 한국고전문학과 관련한 국내외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을 활용하여 연구의 범위와 내용 및 방법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국립중앙도서관의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한국고전번역원의 한국고전종합DB 등과 같은 국내의 주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을 비롯하여 중국의 대표적인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이 주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새로운 고전 자료의 발굴을 시도하고 작품을 다양하고 혁신적으로 해석하는 능력을 신장시킨다.
DKL5120 고전문학자료의출판과유통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이 과목은 고전문학자료가 다양한 목적과 방법으로 출판 및 유통되었던 실상을 살펴보고 그 문화사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필사에서 목판 인쇄, 금속활자 인쇄, 구활자본 인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산출되었던 고전문학자료가 사적인 차원의 대여에서 세책가를 통한 상업적 대여로 확대되고 방각업자를 통한 판매로 이어지며 유통되었던 상황을 검토하고 그것이 갖는 문화사적 의미를 연구한다.
DKL5121 고전의변용및대중화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이 과목은 한국 고전의 변용 및 대중화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고전의 문화적 가치를 현대의 맥락 속에서 재해석하고 고전 작품이 현대적으로 변용된 여러 사례를 검토 평가하며 고전의 새로운 대중화 방안을 탐색한다.
DKL5122 국어사자료발굴및문헌해제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국어사 연구 자료의 발굴 또는 재조사를 바탕으로 문헌 해제의 작성을 연습한다. 이를 통하여 자료에 대한 이해를 높임과 동시에 국어사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를 학계에 공유하도록 한다.
DKL5123 남북한언어비교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이 과목은 남북한 언어의 폭넓은 비교를 바탕으로 현재 남과 북에서 이루어진 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언어 이론과 응용의 각 분야에서 남북에서 전개된 학문적인 논리와 이론의 구조를 이해하고 통일 한국어문학이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남과 북의 언어 연구에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절차와 방법론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특히 분단이라는 정치적 상황에서 남과 북이 분리되어 진행했던 어문 규범, 국어사전, 문법 이론 등의 분야에서 역사적인 공통점과 현재적인 차이점을 객관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을 통해 국어학적 지식, 문법 이론의 역사와 전개 방향, 논점과 핵심 구조 등의 통합적 관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남북 언어 연구의 새로운 시각을 형성하는 데 근거가 되며 남북의 어문 규범, 국어사전, 문법 연구 이론, 국어학사적인 관점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 능력과 시각을 함양하는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DKL5124 매체언어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이 교과목은 각종 매체(인쇄 매체, 방송 매체, 인터넷 매체 등)를 통해 실현되는 언어의 소통 방식과 내용을 이해하고 매체의 특성에 따른 효율적인 의사소통 방식을 탐구한다. 인쇄 매체인 신문이나 잡지에 쓰이는 언어와 텔레비전과 라디어와 같은 방송 매체, 그리고 인터넷 매체에 해당하는 블로그나 SNS 등의 언어의 특징은 무엇이고 이들 매체들에 나타나는 언어의 차이점은 무엇인지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런 매체들에 나타난 언어와 일상 언어의 차이는 무엇이고, 매체의 따른 언어 표현의 사회적 함의 등에 주목하여 언어와 매체와의 관계 정립과 의미 분석을 통해 언어 사용의 다양한 양상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DKL5125 문학관의이론과실제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문학관의 개념, 사회문화적 기능과 역할, 운영에 관한 전반적 지식을 이해한다. 한국문학 관련 자료의 수집과 보존, 기획과 전시, 실제 학예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역량을 파악한다.
DKL5126 한국근대서지연구방법론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한국근대서지연구방법론특강은 한국문학 연구의 텍스트 지평을 넓히는 의의가 있다. 본 과목은 근대의 시집, 소설, 잡지, 신문, 동인지, 검열 자료, 일기, 편지, 팜플릿, 포스터 등의 존재양상을 통해 문학장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한국문학 연구에 문학장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제도와 매체 혹은 미디어로서 문학이 주목 받게 되었다. 컨텐츠를 담고 있는 미디어의 물질성과 아우라를 직접 접해보고, 이러한 텍스트 실재를 통해 내용과 주제, 맥락, 미학, 제도, 검열, 출판, 네트워크, 자본 등이 문학을 이루는 방식을 연구할 수 있다. 이는 문학 연구뿐만 아니라, 교육과 감상에도 새로운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책을 다루는 학예 전문 능력도 향상하게 될 것이다.
DKL5127 한국대중문화사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한국 대중문화의 기원과 역사를 체계적으로 고찰한다. 현대 대중서사, 대중문학, 대중잡지의 역사적 성격과 변천을 탐구하고, 문화연구를 위한 이론적 방법론을 수립한다.
DKL5128 한국문화연구및비평의주요개념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문화연구와 비평의 방법론을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탐색하여 한국문학 및 문화에 대한 연구 역량을 기른다. 현대비평의 주요 이슈와 문화 연구의 주요 쟁점을 결합함으로써 확장성 있는 비평 연구와 문화연구의 깊이를 아울러 도모한다. 20세기-21세기 주요 문학 이론 및 문화 이론의 저작들을 검토하고, 한국문학 및 문화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DKL5129 한국출판미디어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한국 문학사와 문화사는 전통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출판문화와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전개돼 왔다. 이 과목은 1) 문학과 출판미디어의 관계에 관한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성찰부터 시작하여 2) 조선후기 이래의 출판문화가 어떻게 근대로 이행하게 되었는지 그 역사를 살핀다. 또한 3) 출판미디어의 자료를 다루는 새로운 방법에 대해 인식하고 4) 오늘날 한국 출판문화의 현실과 새로운 미디어 상황에 대한 필수적인 사항을 다룬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과거와 현재의 한국문학ㆍ문화사를 연구할 수 있는 깊이 있는 시각을 기른다. 대한출판문화협회 등 1)~4) 각 영역의 전문가를 초빙하여 이론과 역사를 같이 공부한다. 성균관대 BK21 한국어문학사업단이 지향하는 문화연구, 디지털한국어문학, 학예전문 트랙에 두루 걸치는 공통 교과이다.
DKL5130 한국현대문학데이터분석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수업의 부제-<근‧현대 문학 텍스트의 언어, 장소, 시간> 이 수업은 그동안 축적된 한국근현대문학 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 성과를 기반으로 정량적 언어분석의 여러 분석 방법론을 적용하여 한국근현대문학 텍스트에 새로운 해석적 시도를 하는 것에 목표가 있다. 수업의 부제에서처럼 이 수업에서는 근‧현대 문학텍스트 중 특정 범주를 묶어(이것은 작가별이 될 수도 있고 사상지형이 될 수도 있고 문학적 지향이 될 수도 있다.) 텍스트들을 언어, 장소, 시간이라는 기준을 가지고 군집화하여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번 학기 수업은 신소설을 가지고 시작해볼 예정이다. 신소설의 대표작가인 이인직, 이해조, 최찬식의 작품들을 전자화하고 문체를 정비하고 형태분석 작업을 거쳐 각각의 작가의 언어적 특성을 비교해보고 텍스트 안의 장소와 시간을 맵핑해보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원문 입력과 대조작업은 위키(Wiki) 플랫폼을 활용해 진행하고 누구나 전자화된 작품을 볼 수 있게 공개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수강생 모두 자유롭게 위키를 다룰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헌작업 이후에는 파이썬(Python)을 활용해 형태소 분석, 키워드 추출, 기계학습 등의 분석과정을 거친다. 학기말에 도출한 최종 연구결과 또한 위키에 올려 공개한다.
DKL5131 디지털한국어문학연구방법론1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디지털 인문학은 현재까지도 컴퓨터 기술과 웹 환경을 활용한 여러 형식의 인문학 연구 사례를 통칭하는 표현일 뿐, 단일 학문으로서의 일반적 규약이나 보편적으로 검증 가능한 형식의 방법론이 있는 것이 아니다. 그로 인해 그 정의를 명확히 하는 것이 여전히 어려우며, ‘학문’으로서 디지털 인문학을 수용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편으로 컴퓨터 기술과 웹 환경이 끊임없이 발달함에 따라 인간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체계에서 디지털 미디어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고, 그에 따라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지층으로서 디지털 데이터 환경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디지털, 컴퓨터, 데이터, 웹, 인공지능 등의 키워드는 이미 우리 일상에 깊숙이 침투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급격한 변화 가운데서, 컴퓨터 기술과 웹 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여러 인문학 연구 사례를 살펴보고 그로부터 인문학 연구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기술의 맥락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그러한 과정을 통해 한국어문학 연구에 활용 가능한 디지털 기반의 연구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 본 강의의 주된 목적이다. 컴퓨터 기술과 웹 환경을 인문학 연구에 능동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 기술과 웹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초 이해를 토대로 인문 데이터를 큐레이션하는 과정을 실습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예컨대 ‘MediaWiki’와 ‘XML’ 전자문서 작성, ‘Protege’를 이용한 Ontology 설계, ‘Graph Database’ 편찬 등 그에 대한 여러 세부 내용은 한국어문학 연구와 디지털 미디어가 만나는 접점으로서 적용될 것이다. 수강생은 그 과정에서 자신이 흥미를 품고 있는 한국어문학 영역의 데이터를 직접 편찬해봄으로써, 전통적 어문학 연구가 지니고 있던 가치를 디지털 환경에서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를 통해 되돌아보는 경험 또한 해보게 될 것이다. 그러한 과정은, 디지털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게 함과 동시에 그것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맥락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고민하게끔 할 것이며,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실제가 무엇인지에 가까이 다가서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