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계학과, 물류산업진흥재단 업무협약 체결 NEW
- 통계학과, 물류산업진흥재단 업무협약 체결 통계학과(학과장 이은령)는 7월 7일 물류산업진흥재단과 산학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본 업무 협약식을 위해 물류재단 측에서는 심재선 이사장, 이상호 사무총장, 현대글로비스 미래혁신기술센터장 한규헌 상무 등이 참석하였으며, 통계학과에서는 8명의 교수들과 학생들의 참석 속에 협약식이 진행되었다. 물류산업진흥재단은 우리나라 물류 산업 선진화를 위해 현대글로비스의 출연으로 설립된 물류분야를 대표하는 공익기관이다. 본 협약은 디지털 전환 시대에 발맞춰 양 기관 간의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해 물류 산업 내의 데이터 활용과 그에 대한 분석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협약을 통해 통계학과는 물류재단이 수행하는 데이터 관련 사업에 데이터 분석 전문 역량을 제공하고, 물류재단은 통계학과가 물류 데이터 전문 연구 기관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하였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학문과 산업이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물류 산업 내에 데이터 기반 혁신을 만드는 기회로 삼기로 하였으며, 앞으로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이어가기로 하였다.
-
- 작성일 2025-07-07
- 조회수 149
-
- 퀀트응용경제학과 4기 졸업생 노시현 원우 연구논문 소개 (KES한국계량경제학회 논문게재) NEW
- 퀀트응용경제학과 4기 졸업생 노시현 원우 연구논문 소개 퀀트응용경제학과 4기 졸업생인 노시현 원우의 석사학위논문을 기반으로 한 연구논문이 KES한국계량경제학회(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Vol. 36, No2, 2025년 6월호, 59-82) 에 게재되었다. 게제 논문제목은 「 머신러닝과 오버샘플링을 이용한 상장기업 부도예측 연구 」 (Bankruptcy Prediction for Listed Companies in Korea Using Machine Learning and Oversampling Methods) 이다. 본 논문은 상장기업의 재무 및 거시경제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부도를 예측하는 통계적 모형과 다양한 머신러닝 기법의 성능을 비교하고, 불균형 데이터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오버샘플링 기법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에는 로지스틱 회귀, 랜덤 포레스트, XGBoost(extreme gradient boost-ing), 심층신경망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오버샘플링 기법인 SMOTE (synthetic minority over-sampling technique)및 ADASYN(adapti-ve synthetic sampling) 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XGBoost는 원자료뿐 아니라 오버샘플링을 적용한 경우 모두에서 가장 우수하고 균형 있는 예측 성능을 보였다. 반면, 로지스틱 회귀는 높은 재현률을 나타냈으나, 낮은 정밀도로 인해 실무적 활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불균형 데이터 환경에서 오버샘플링 기법과 XG-Boost와 같은 머신러닝 모형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기업부도 예측에 있어 보다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접근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재무데이터뿐 아니라 거시경제지표까지 아우르는 정교한 부도 예측 모델링의 방향성을 제시한 점에서 학문적 · 실무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계량경제학회의 계량경제학보 (http://es.re.kr/jetem/list.php?vol_idx=139)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작성일 2025-07-03
- 조회수 404
-
- 2025 GFRC International Conference 개최
- 2025 GFRC(Global Finance Research Center) International Conference 개최 ▲ (윗줄 왼쪽부터) 류두진 교수, 조준모 교수, 박은일 교수, 한진영 교수 (아랫줄 왼쪽부터) Jonathan Batten 교수, Peter Szilagyi 교수, Robert Webb 교수, 정예성교수 본교 Global Finance Research Center(GFRC)는 산학협력단(구자춘 단장)과 류두진 교수(GFRC 센터장)의 과기정통부 기초연구과제(글로벌형)의 지원으로 오는 7월 10일부터 열흘간 인문사회캠퍼스에서 대형 융복합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GFRC의 자문위원인 Jiro Akahori (Editor-in-Chief, Asia-Pacific Financial Markets), Christo Auret (Editor-in-Chief, Investment Analysts Journal), Jonathan Batten (Co-Editor, Finance Research Letters), Peter Szilagyi (Editor-in-Chief, Journal of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s, Institutions & Money), 박은일 혁신인재사업단장(실감미디어공학과 교수), 한진영 인공지능연구단 사업단장(인공지능융합학과 교수) 등이 조직위원으로서 학술대회를 구성하여, 25개의 세션에서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중국, 호주, 베트남 등 10개 국가의 금융과 경제학 및 융복합 연구자의 연구논문 100편이 발표된다. Singapore Management Univ.와 GFRC가 공동구성한 Workshop(7월10일 14시)에서는 Jianfeng Hu 교수와 본교 경제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유진영 교수(국립한밭대)와 양희진 교수(동국대WISE)가 금융빅데이터의 활용에 대해 논한다. Keynote Session(7월11일 10시)에서는, 美버지니아대(Univ. of Virginia) 연구석좌인 Robert Webb 교수가 인공지능과 금융시장에 대하여 기조강연하고, 본교 경제학과 졸업생인 뉴욕주립대(State Univ. of New York-Albany)의 정예성 교수는 딥러닝과 기계학습이 경영/경제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발표한다. 특별심포지움(7월11일 13시)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정책과 세계경제’를 대주제로, 경제학과 조준모 교수가 좌장(Chair)으로서 在美학자인 Won Yong Kim 교수(Augsburg Univ.), 한국의 거시금융 전문가인 이정환 교수(한양대), 송수영 교수(중앙대), 우수경 교수(세종대)의 발제와 토론을 진행한다. ○ 일시: 2025년 7월 10일(목)~19일(토) ○ 장소: 성균관대학교 다산경제관 32211 및 경영관 33405, 33503, 33506 ○ 기조강연: 7월11일 금요일 10시 다산경제관 2층 32211호 ○ 특별심포지움: 7월11일 금요일 13시 다산경제관 2층 32211호 ○ 첨부: 2025 GFRC International Conference Program * 성균관대 재학생/졸업생 및 관련 연구자 누구나 참석 가능
-
- 작성일 2025-06-30
- 조회수 508
-
- 무역연구소 국제개발협력연구센터(GDC) 창립기념 토론회 개최
- 무역연구소 국제개발협력연구센터(GDC) 창립기념 토론회 개최 ▲ 국제개발협력연구센터(GDC) 창립기념 토론회 단체 사진 지난 6월 23일(월) 퇴계인문관에서 본교 무역연구소(정홍주 소장) 국제개발협력연구센터(GDC, 서정협/신완선 공동센터장)는 센터 출범을 기념하여 전략 수립토론회를 개최했다. 발제자인 기계공학부 김윤제 교수는 과기부 연구과제로 진행된 파키스탄 소수력발전소 인프라구축 사업에 기초하여 국제협력사업의 의미, 준비, 이행 과정 및 교내 간접비 관리 체계를 설명하였다. 네팔 및 방글라데시 치안역량강화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과학수사학과 김기범 교수는 개도국 개발은 빈곤 탈피 못지않게 치안도 중요함을 지적하며 ODA 사업의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변신한 한국 발전모델 자체가 해외 국가들의 최대 관심사임을 발제를 통해 밝혔다. ▲ 국제개발협력연구센터(GDC) 창립기념 토론회 현장 서정협(전 서울시 행정부시장) 센터장의 사회로 시작된 토론에서 산업인력공단 김현생 전 본부장은 해당국 대학과의 협력 모델과 인력 양성 이후 일자리 마련이 중요하며 다른 선진국이 어떤 ODA 사업을 하고 있는가를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단 박형기 부장은 국가기술자격의 공유, 외국 우수자원의 국내 유학 초청, NCS((국가역량표준)을 해외전파 가능성을 제안했다. 서울시 임재근 국제협력담당관은 국내 대학교 중 본격적인 국제개발협력 연구센터를 설치 운영하는 곳이 매우 소수이므로 적극적인 외국인 학생들의 학위과정 유치, 취업 및 창업 지원을 당부했다. 법률법인(유) 지평의 김용길 변호사는 수원국의 실질 효과를 분석할 것과 소프트웨어 중시 ODA 사업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특히 본교 GDC 센터가 일관성과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국제개발협력연구센터(GDC) 창립기념 토론회 현장 무역연구소 정홍주 소장은 마무리 인사를 통해 우리나라가 외국으로부터 원조를 받던 1974년 국제개발협력학과라는 명칭으로 시작된 성대 무역학과의 전용강의실에서 50년이 지난 시점에 GDC 창립 토론회를 개최한 것을 평가하였다. GDC 연구센터는 향후 본 토론의 발제와 토론 내용을 근거로 사업계획을 수립하여 단계적으로 국제개발협력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 작성일 2025-06-27
- 조회수 168
-
- World Bank 부수석 이코노미스트 Ayhan Kose 박사, 경제대학 해외석학 초청 특강 성료 (세계은행 Ayhan Kose 박사, 글로벌 경기 전망 및 EMDEs의 미래 진단)
- 경제대학(김성현 학장)은 지난 5월 29일, 경제학과 BK21 교육연구단과 공동으로 세계은행(World Bank)의 M. Ayhan Kose 박사와 Jongrim Ha 박사를 초청해 ‘From Tailwinds to Headwinds: Emerging and Developing Economies in the 21st Century’ 주제로 특강을 개최했다. 이번 특강은 세계은행의 Jongrim Ha 박사와 공동 연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세계 경제의 단기 전망부터 신흥시장 및 개발도상국(Emerging Market and Developing Economies, EMDEs)의 장기적 성장 전략에 이르기까지의 폭넓은 주제를 다뤘다. ▲ 특강 중인 Ayhan Kose 박사 세계은행(World Bank) 부수석 이코노미스트(Deputy Chief Economist)인 Ayhan Kose 박사는 지난 20여 년간 국제 거시경제 분야에서 활약해온 세계적 경제학 전문가로, 현재 세계은행의 글로벌 경제전망 및 정책 보고서를 총괄하고 있다. 본 특강에서 Kose 박사는 지난 25년간 세계 경제성장의 중심축으로 부상했던 신흥국의 경제 흐름을 되돌아보며, 2000년대는 개혁과 통합의 황금기였지만, 이후 성장세는 점차 둔화되고 개혁의 동력 또한 약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팬데믹 이후 무역 분절화, 정책의 불확실성, 생산성 저하, 부채 증가 등을 주요 리스크 요소로 언급했다.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와 같은 무역 갈등의 확산 및 심화는 글로벌 주식시장에 변동성을 초래했다고 설명했으며, 이와 함께 소비자들의 신뢰 하락, 금리 불안, 금값 급등 등 금융시장에 연쇄적인 충격을 주었다고 덧붙었다. 또한, 글로벌 분절화(fragmentation)를 가장 큰 중장기 리스크로 지목하며, 무역장벽의 심화, 금융시장의 불안, 정책 불확실성의 지속은 생산성 저하와 국제협력 약화로 이어져, 특히 EMDEs의 성장 동력을 떨어뜨릴 수 있음을 경고했다. 마지막으로, ‘There is no Ozempic for economic growth!(경제학에는 마법의 해결책이 없다!)’라고 말하며, 정책적 우선순위로 글로벌 협력의 회복, 재정 및 통화정책의 조정, 구조개혁의 재개, 성장 동력의 복원을 제시했다. ▲ 특강 중인 Jongrim Ha 박사 이어, Jongrim Ha 박사는 팬데믹 이후 늦은 대응 이후의 급격한 긴축(Start Late... then Sprint) 전략이 인플레이션 억제에 일정 효과를 냈으나, 상당한 경제적 비용이 수반되었던 대가를 언급하며, 통화정책의 타이밍과 균형에 대해 강조하였다. 강연 후에는 특강에 참석한 학생들과의 질의응답이 활발히 이어졌으며, Kose 박사는 성균관대학교 경제대학의 학문적 성숙도와 논의 수준을 높이 평가했다.
-
- 작성일 2025-06-16
- 조회수 544
-
- Kee H. Chung 교수 (SUNY at Buffalo) 특강 성료
- 본교 경제연구소와 Global Finance Research Center (GFRC)를 방문 중인 세계적인 석학 Kee H. Chung 교수(State University of New York (SUNY) at Buffalo)의 경제대학 특강이 성료되었다. 이번 특강은 경제연구소장(兼 GFRC 센터장)인 경제학과 류두진 교수의 WAVE 글로벌 공동교육 (금융경제학) 해외저명학자 초청강연으로 이루어졌다. Kee H. Chung 교수는 금융시장미시구조 이론이 초고빈도 거래와 금융빅데이터와 같은 디지털금융 환경과 행동재무론(Behavioral Finance)이 접목되는 상황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설명하였고, 미국 주식시장 사례를 바탕으로 수강생의 활발한 질의응답이 이루어졌다. 특강 이후 GFRC 연구원과 학부생의 국제저명학술지 논문 게재를 위한 멘토링을 하였으며, GFRC의 기초연구과제를 통한 뉴욕주립대와의 글로벌 공동연구를 추진하였다.
-
- 작성일 2025-06-11
- 조회수 1163
-
- 통계학과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 선정
- <통계학과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 선정> ▲좌측부터 통계학과 서병태 교수, 이은령 교수, 이경재 교수, 박연희 교수 통계학과 서병태(연구책임자), 이은령, 박연희, 이경재 교수는 ‘복잡고차원 자료분석을 위한 통계적 이론과 방법론의 고도화’라는 연구 주제로 ‘글로벌 기초연구실지원사업(심화형)’에 선정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한국연구재단을 통해 지원하는 글로벌 기초연구실지원사업(심화형)은 글로벌 연구동향, 미래가치, 국가 과학경쟁력 제고 등을 고려하여 심화연구가 필요한 연구주제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2025년 6월부터 3년(36개월)간 약 15억원의 연구비가 지원되는 사업이다. 연구팀의 주요 목표는 고차원 자료분석과 전이학습에 적합한 통계모형의 고도화, 이질적/다중 출처 자료 통합 분석, 베이지안 방법론 및 고차원 추론 방법 개발이다. 본 과제를 통해 복잡고차원 자료분석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설명 가능한 머신러닝을 위한 통계적 방법론의 이론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과제를 통해 통계학과 석박사 학생들과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지원함으로써 데이터 과학 분야 우수인력 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로써, 통계학과는 총 2팀이 글로벌 기초연구실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수행하게 되었다. *2024년 이근백(연구책임자), 김재직, 김찬민 교수 팀이 ‘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질병 단계 기반 통합적 데이터과학 방법론 개발’이라는 연구 주제로 ‘글로벌 기초연구실지원사업(융합형)’에 선정된 바 있음.
-
- 작성일 2025-06-09
- 조회수 298
-
- 경제대학, 세계적 경제학 명문 TSE와 학술교류 협정 체결
-
- 작성일 2025-06-05
- 조회수 214
-
- [일반] 2025학년도 퀀트응용경제학과 홈커밍데이 행사 성료
- 경제대학 일반대학원 퀀트응용경제학과는 지난 5월 31일(토) 오후 6시부터 강남구 테헤란로동에 위치한 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센터 “2025학년도 퀀트응용경제학과 홈커밍데이 행사”를 개최하였다. 경제대학 퀀트응용경제학과는 최신 빅데이터와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경제 데이터 분석 및 예측 분야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2020년에 신설된 대학원 학과로서 데이터 분석 전문인력을 필요로 하는 기관 및 기업의 재직자들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는 국내 유일의 특성화 학과이다. 재학생과 졸업생은 한국은행, 산업은행, 시중은행, 증권 및 보험사를 포함한 우리나라 최상위 수준의 금융기관이나 데이터 관리, 분석 및 활용을 필요로 하는 기관에서 임직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이날 홈커밍데이 행사에는 1기부터 4기까지의 졸업생 33여명과 5기, 6기 재학생 50여명을 포함하여 약 83명의 퀀트응용경제학과 동문 및 재학생들이 참석하였고, 내빈으로는 김성현 경제대학장과 한철우 퀀트응용경제학과장, 경제대학 황수성 교수, 김민성 교수, 최재성 교수 및 이주성 교수가 참석하여 자리를 빛내 주었다. 5기 대표의 교수님들에 대한 감사의 인사와 졸업생들에 대한 환영인사로 본 행사의 막이 올랐고, 1기부터 4기까지의 졸업생 대표 및 5, 6기 재학생 대표의 반가움과 기쁨의 인사 그리고 퀀트응용경제학과의 지속적인 발전과 홍보를 바라는 각 멘트와 교수님들에 대한 감사의 인사시간으로 행사가 계속 이어졌다. 한철우 퀀트응용경제학과장은 인사말에서 ‘특히 바쁜 와중에도 많이 참석해 준 졸업생들에 감사의 말을 전하고 졸업생과 재학생간의 친목을 더욱더 도모하며, 오늘 이 좋은 자리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며 더욱 폭넓은 교류의 시간들을 가지기를 바란다”고 하며, 우리 성균관대 퀀트응용경제학과가 앞으로 100기 이상까지 지속적으로 꾸준한 성장을 계속하기를 염원한다고 하였다. 이어 졸업생 및 재학생 대표들이 교수님들에 대한 감사의 인사와 선물을 전달하였고, 김성현 학장은 이날 축사를 통해 “이번 퀀트응용경제학과 홈커밍데이는 학장으로서 5번째 참석하는 행사인 만큼 너무나 뜻깊고 의미있는 행사가 아닐 수 없다” 라고 하고, “퀀트응용경제학과를 이렇게 훌륭한 학과로 만들어 주신 오늘 참석 교수님들과 졸업생 및 재학생 여러분들게 진심어린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특히 1기부터 4기 졸업생들의 역할이 매우 큰 만큼 직장생활을 하면서도 보다 우리대학과 퀀트응용경제학과에 대한 보다 큰 관심과 함께 애정을 보내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했다. 또한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수님들이 보다 훌륭한 양질의 교육을 통해 국내유일, 국내최고의 특성화 학과가 되기 위해 최선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축사를 마쳤다. 학과장, 학장 및 교수님들의 축사가 끝난 후 뷔페 만찬과 함께 건배사가 진행되었고 다양한 게임과 놀이가 곁들여져 오랜만에 만나는 동기와 선후배 들간의 교류와 소통의 시간이 이어졌고 보다 뜨겁고 친밀한 우애와 친목의 시간을 가지는 시간이 되었다. 성균관대학교 퀀트응용경제학과는 경제학과 정량적 분석의 융합을 통해 학문적 깊이와 실무적 응용을 겸비한 인재를 양성하는 데 최적의 환경과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국내 유일, 최고의 특성화 대학원 학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 작성일 2025-06-02
- 조회수 920
-
- 경제학과 유원희 학우, Top-tier SSCI 학술지 게재
- 경제학과 유원희 학우, Top-tier SSCI 학술지 게재 ▲(왼쪽부터) 류두진 교수, 유원희 학부생, Robert Webb 교수, Clara Zhou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과제의 지원을 받는 본교 Global Finance Research Center(다산경제관 32318B)의 학생연구원 유원희 학우(경제학과)가 “Harnessing market mechanisms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논문을 제1저자로 작성하여, Top-tier SSCI 학술지인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Impact Factor=9.8)에 게재하였다. Global Finance Research Center 센터장인 류두진 교수(경제연구소장)의 지도와 해외 자문위원인 Robert Webb(Univ. of Virginia) 및 Clara Zhou(Macquarie Univ.)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작성된 해당 논문은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검토하고, 빅데이터 계량서지분석을 통해 방대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가격 기반(탄소세, 보조금)과 양적 기반(배출권, 상쇄제도) 방식으로 정책을 분류하여 탄소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학부생이 사회과학 Top-tier SSCI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는 일은 전례가 없는 일이다. 유원희 학우는 “2022년 설립된 Global Finance Research Center에서 2학년 때부터 류두진 교수님의 지도로 연구를 시작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를 비롯한 해외 석학 교수님들의 insight와 선배 연구자들의 연구방법론을 배웠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학부생 신분임에도 최상위 SSCI 학술지 게재를 비롯하여 여러 좋은 연구 성과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논문 게재 정보는 아래와 같다. ※ 논문명: Harnessing market mechanisms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A comprehensive review ※ 저널: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 저자명: 제1저자 You, W. (유원희), 교신저자 Ryu, D. (류두진), 공동저자 Webb, R.I., Zhou, Q. ※ DOI: https://doi.org/10.1016/j.eiar.2025.107974
-
- 작성일 2025-06-02
- 조회수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