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 각 학과 전공별로 18~21학점 규모의 전공 심화 트랙 운영
∎ 실습 교과목 및 전공 이수학점 컴팩트화
- 실습 (2학점)
- 전공 이수학점 (56학점)
∎ 인공지능 관련 교과목 전공코어 추가 (21학점)
∎ 기존의 전공핵심/전공일반 영역 구분을 없애고 문제해결형, 주제(TOPIC) 중심 전공코어 과목과 전공심화 과목으로 개편
∎ 학석공통, 학석박공통과목 교과목으로 고도화된 SW교육 시행

과목명 | 교육내용 | 구분 |
---|---|---|
분산컴퓨팅원론 | 분산 시스템의 최신 이론 |
학석공통 (3학점) |
블록체인과스마트컨트랙트 | 최신 블록체인 기술 및 이론 | |
인공지능보안 | 인공지능을 활용한 최신 보안 기술 | |
정보시각화 | 정보 시각화 최신 이론 및 기술 | |
컴파일러와언어원론 | 최신 컴파일러 및 프로그래밍 언어 설계 | |
가상현실론 | 가상현실의 기반 기술 및 최신 기술 | |
시스템보안특론 | 기본 보안 이론과 CTF 실습으로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보안 공격·방어 기법 습득 | |
AI를활용한소프트웨어보안 | 딥러닝 기술로 소프트웨어 보안 강화와 최신 연구 동향 논의 | |
공격관점보안 | 사이버 공격 기법과 법·윤리적 관점에서 보안 취약점 분석 | |
강화학습개론 | 강화학습의 기초 이론부터 심층 신경망 기반 알고리즘까지 학습 | |
네트워크보안과인공지능 |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기술을 네트워크 보안에 적용하는 방법 습득 | |
네트워크보안연구논문작성 | 네트워크 보안 연구 기획, 설계, 구현, 평가 및 논문 발표 방법 학습 | |
디지털헬스케어보안세미나 | 단말, 인프라, 데이터 보안 등 디지털헬스케어 보안 최신 동향 논의 | |
이동체네트워킹과보안 | 이동체 간 무선 네트워킹과 보안 프로토콜, 안전 이동 기술 학습 | |
정보보호개론 | 시스템,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웹 보안과 암호학 등 정보보호 기본 개념 개괄 | |
정보보호를위한기계학습기법의이해 | 보안 분야에 활용되는 기계학습 및 딥러닝 기법 이론과 실습 수행 | |
보안을위한소프트웨어분석 | 정적·동적 분석 기술로 소프트웨어 취약점 탐지 방법 습득 | |
소프트웨어해킹실습 | 해킹 실습을 통해 바이너리 리버싱, 취약점 분석 및 패치 기술 체득 | |
추천시스템개론 | 사용자 선호도 추론과 추천 모델 구현을 위한 핵심 알고리즘 학습 | |
인공지능윤리 | 인공지능의 데이터, 알고리즘, 어플리케이션 윤리 문제와 해결 방안 분석 | |
컴퓨터네트워크와인공지능 | 네트워크 보안 프로토콜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최신 응용 학습 | |
객체지향설계및프로그래밍 | 객체지향 설계 원칙과 Java/Python 실습으로 시스템 설계 기초 체득 | |
ICT표준기술과실천 | ICT 표준 기술 이론과 표준 기고서 작성을 통한 실무 경험 강화 | 학석박공통 (3학점) |
지능형네트워크보안데이터모델링 | YANG 데이터 모델링과 NETCONF/RESTCONF로 보안 관리 자동화 학습 | |
소프트웨어보안을위한프로그램분석및컴파일러기술 | 컴파일러 및 분석 기법으로 소프트웨어 보안 강화 전략 학습 | |
AI및데이터기밀연산특론 | TEE 기술 활용해 AI 연산 및 민감 데이터 보호, 보안 메커니즘 심화 학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