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Future, Grand Challenge

통합검색
닫기
통합검색
 

대학원과정

  • home
  • 대학원과정
  • 일반대학원
  • 유학동양한국철학과
  • 교육과정

대학원과정

일반대학원

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자기
학습
시간
영역 학위 이수
학년
비고 언어 개설
여부
CEK5135 일본사상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일본의 근대화를 앞당긴 메이지 유신의 주동적 역할을 했던 일본 근대 사상가들의 이론을 살펴보고 우리 나라의 개화 사상가들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함께 고찰한다. 일본 근대 사상의 대표자인 후꾸자와 유기찌의 사상과 일본의 유교수용을 학습한다.
CEK5136 선진철학원전강독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혼란하던 선진시대에 중국철학의 큰 조류였던 노장철학, 법가철학, 묵가철학을 알아보고 그 개념을 이해한다.
CEK5137 동서철학비교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의 객관적 비교연구를 통해서 거시적인 안목을 키워나갈 것이며, 본 강의를 통해서 동서를 아우를 수 있는 철학자 양성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CEK5138 학문적글쓰기1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학문적 글쓰기1(Academic Writing1)>는 학문적 의사소통의 기본 양식으로서 논증적 글쓰기 능력을 기르는 데 목표를 둔, 실습 과목이다. 본 강좌는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에 기반하여 텍스트 읽기(독해)와 쓰기(작문)를 실천적으로 연계하는 실습 과정, 즉 ‘단계별 글쓰기 프로그램’(Step-up Writing Program, 이하 SWP)으로 이루어진다. 이 프로그램은 ‘① 요약: 분석적 글쓰기, ② 논평: 비판적 글쓰기, ③ 학술에세이: 문제 해결적 글쓰기’의 3단계로 이루어진다.
CEK5139 학문적글쓰기2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학문적 글쓰기2(Academic Writing2)>는 학문적 의사소통의 기본 양식으로서 논증적 글쓰기 능력을 기르는 데 목표를 둔, 실습 과목이다. 본 강좌는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에 기반하여 텍스트 읽기(독해)와 쓰기(작문)를 실천적으로 연계하는 실습 과정, 즉 ‘단계별 글쓰기 프로그램’(Step-up Writing Program, 이하 SWP)으로 이루어진다. 이 프로그램은 ‘① 요약: 분석적 글쓰기, ② 논평: 비판적 글쓰기, ③ 학술에세이: 문제 해결적 글쓰기’의 3단계로 이루어진다.
CEK5140 디지털인문학과동양철학의미래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디지털인문학과 동양철학의 미래'는 정보기술의 도움을 받아 동양철학의 고전을 새로운 방식으로 이해하는 방법을 교육하고, 새롭게 해석된 콘텐츠를 바탕으로 창조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새로운 인재를 육성시키는 수업이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 말부터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 공공저작물의 디지털화 사업을 국가시책으로 추진함으로써 상당한 수준의 발전을 이뤘다. 이후 국가 기록물뿐만 아니라 학자들의 개인 문집들, 다양한 고문서들이 디지털 콘텐츠로 전환된 방대한 규모의 지식정보 콘텐츠를 구성했으며, 비슷한 시기에 진행된 일본과 중국에서 생산된 동양고전 자료까지 흡수하면서 정보화된 고전 콘텐츠는 바다를 이루고 있다. 이제는 정보를 찾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취사선택을 어떻게 해야 하고, 기초 자료를 가지고 내가 필요하고 원하는 정보로 전환시키는 능력이 관건이 되었다. 디지털화된 문자(글), 그림, 소리, 영상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새롭게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학습이 중요한 시기가 되었다. 지금까지 이러한 분야의 학습은 적어도 인문계 내에서는 학생들의 개인적 역량에 맡겨져 있었다. 본 교과목은 디지털 콘텐츠를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해보고자 하는 학생들의 요구를 동양철학이라는 내용을 중심으로 수업에 반영하여 적극 육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동양철학의 최근 연구경향 및 동향분석을 텍스트마이닝 등 여러 기법을 활용하여 시각화하거나, 데이터를 통해 정치, 사회, 문화, 법, 문학, 자연과학 등 여러 학문 영역에 동양철학이 어떻게 소비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등 동양학의 새로운 연구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연구 방법론을 소개할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 방면에 전문적인 연구경험과 능력을 갖춘 교강사를 초빙하여 내실을 갖추고자 한다.
CEK5141 동양철학문헌연구방법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고대 동아시아 철학에 접근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원전탐구와 이에 따른 문헌적 지식이다. 본 과목에서는 널리 알려진 경전은 물론, 이와 관련된 동서고금의 문헌들을 소개하고 선독함은 물론 동아시아의 철학적 문헌을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 그 탐구 방법을 모색한다.
CEK5142 동양예술문화세미나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동양의 예술과 문화가 동서의 벽을 넘어 보편성을 획득할 수 있는 가능성을 구체적인 사례와 자료들을 통해 집중적으로 모색한다.
CEK5143 인문정신과문화콘텐츠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현대문화콘텐츠에 대한 체계적인 여러 담론들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함양한다.
CEK5144 위진현학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이 수업은 양한과 위진의 학술변화과정을 고찰하고, 현학의 탄생과 전개과정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CEK5201 한국철학연구방법론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한국철학의 연구에는 다양한 철학적 방법론이 존재한다. 한국철학사에 나타난 철학 유파들의 연구방법을 고찰하고 아울러 현대철학의 방법론을 수용함으로써 전통철학의 현대화에 맞는 연구방법을 모색한다.
CEK5202 한국철학사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이 강좌는 고대로부터 고려에 이르기까지 논의된 한국철학의 여러 문제에 관한 철학적 특성을 조명하기 위한 강좌로써, 한국 고대사상의 원형과 유․불․도 삼교의 전래와 수용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각 시대의 철학적 특징을 이해한다.
CEK5203 한국철학사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한국철학사의 전체적인 조망을 위하여 고대로부터 조선전기까지의 사상의 흐름을 사회의 변천과 연관하여 살펴보고 그 철학적 특성을 조명한다.
CEK5204 한·중·일철학사상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사상사적인 측면에서 한중일 세 나라의 근대는 18세기 중반에서 20세기 중반까지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이 기간에 동아시아에는 서양의 기독교사상, 근대 민족주의, 맑스주의가 들어오고 전통적인 질서 체계가 붕괴되면서 내부적으로 중국에서는 고증학, 공양학, 변법자강운동, 혁명운동이 일어났으며 한반도에서는 실학, 동학운동, 개화사상, 위정척사사상이, 그리고 일본에서는 고학, 국학, 존왕양이운동, 난학, 양학 등의 사상과 운동이 일어났다. 이 강좌는 동아시아 역사상 가장 격동기라고 할 수 있는 이 시기의 다양한 학술사상을 대상으로 비교학적인 측면에서 분석을 시도한다.
CEK5205 한국유불도교섭사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중국철학의 3대 조류인 유교․불교․도교의 사상이 한국철학사에 있어서 어떠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전개되고 있는가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 구체적 논의를 최치원이나 김시습 등의 이론을 통하여 세부적으로 조명한다.
CEK5206 한국철학의비교철학적조명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이 강좌는 한국철학사에 나타난 철학 유파들의 연구방법을 고찰하고 아울러 현대철학의 방법론을 수용함으로써 전통철학의 현대화에 맞는 연구방법을 모색한 후, 한국의 다양한 학술사상을 대상으로 비교학적인 측면에서 분석을 시도한다.
CEK5207 한국유학사상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한국 유교철학의 핵심이 되는 부분을 발췌하여 그 철학적 의미를 음미하는 한편, 이를 종합적이며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중국의 유교철학과 비교함으로써 한국 유교철학의 고유성을 정립한다.
CEK5208 한국유학사상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한국유교는 고조선시대에 수용된 이래로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다양하게 발전하였다. 본 강의는 조선시대 성리학과 실학을 중심으로 한국유교철학의 특성을 연구한다.
CEK5209 한국불교철학문헌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한국불교의 중요원전을 강독함으로써 불교철학 연구를 위한 소양을 배양하고, 이를 통하여 삼국 시대에 전래된 한국의 대승불교가 지니는 철학적 특성과 고려 시대 이후의 화엄·천태·선불교의 전개와 각 시대의 교학불교와 선불교가 지니는 인간학적 측면에 관해 탐구한다.
CEK5210 한국불교철학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삼국시대에 전래·수용되어 통일 신라를 거쳐 독자적인 영역을 갖추게 된 한국불교의 특징을 중국불교와의 대비를 통해 조명하고, 삼국·고려·조선 각 시대 마다의 불교의 특성과 사상사적 역할을 논의한다.
CEK5211 한국도교철학사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도교철학연구를 위한 중요원전에 대한 강독과 토론을 통해 도교철학이 지니는 철학적 의미를 고찰하고, 삼국 시대로부터 전래된 도교철학이 한국의 사상사와 사회의 변천과정에서 작용했던 역할과 의의를 살펴본다.
CEK5212 한국도교철학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한국도교의 원류와 그 흐름을 탐구하고 현대적 의미를 검토한다. 나아가 신선사상, 도가철학, 민간도교, 양생수련 등 도교문화의 다양한 전개양상을 개괄적으로 섭렵한다. 나아가 도교와 전통과학의 관계, 한의학에 끼친 도교사상의 영향, 민간신앙과 민속에 끼친 도덕적 자취 등에 주목하고 한국고유사상과의 연계성을 해명한다.
CEK5213 한국성리학사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고려 말에 수용되어 한국문화에 전반적으로 심대한 영향을 주고 한국철학의 핵심적 영역으로 자리잡은 송대 성리학의 이론체계가 한국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재정립되는지를 전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 성리학의 본질을 해명한다.
CEK5214 한국성리학원전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이 강좌에서는 주로 한국성리학의 원전을 발췌하여 읽고 그 뜻을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한국성리학사에서 쟁점이 되는 논의를 중심으로 여러 학자의 견해를 상호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한국인의 의식구조에 있어 무엇이 중심문제였으며, 또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이해한다. 특히 퇴·율 성리학의 특성과 이후 전개되는 인물성동이론의 철학적 의미를 중점적으로 살핀다.
CEK5215 한국성리학원전강독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한국성리학 연구를 위한 중요원전에 대한 강독과 토론을 통해 한국성리학이 지니는 철학적 의미를 고찰하고, 성리학이 한국의 사상사와 사회의 변천과정에서 작용했던 역할과 의의를 살펴본다.
CEK5216 한국성리학연습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한국 성리학에서 심도 깊게 쟁론화된 사단칠정논쟁이나 인물성동이논쟁과 같은 성리학적 문제를 다각도에서 분석하고 토론함으로써 성리학의 한국적 특성을 음미한다.
CEK5217 한국양명학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한국의 양명학은 조선중기 후의 탈주자학적 학풍을 주도한 사상으로 실학사상 및 서학수용과 깊은 관계가 있다. 이러한 양명학의 사상적 성격이 어디에 있는지 살펴본다. 특히 정제두와 강화학파 및 양명학의 실학적 전개에 관하여 살펴본다.
CEK5218 한국양명학원전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양명학은 주자학과 함께 중국 근대 유학의 양대 조류를 형성하고 있으며, 조선조에 있어서도 임란이후 탈주자학적 학풍을 주도한 사상이다. 심즉리(心卽理)를 기본 명제로 하여 인간의 인식구조가 곧 세계의 질서라고 하는 철학적 특성을 보여준다. 한국양명학은 실학으로 발전되고 또한 서학의 수용과도 연관되어 있어서 조선 중기 이후 사상연구에 필수적이다. 이 강좌에서는 주로 한국양명학과 관련된 한문 원전을 발췌하여 읽고 그 뜻을 살펴본다.
CEK5219 한국양명학원전연습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정주학의 위세에 밀려 좀처럼 빛을 보지 못하던 양명학은 임진왜란·병자호란을 전후하여 실학사상의 대두와 함께 모래 밑에 흐르는 시내와도 같이 우리 사상계에 흐른다. 한국양명학자는 과연 누구이며 어떠한 사상을 주창했는가를 원전을 통해서 알아본다.
CEK5220 한국실학사상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조선 후기에 성리학의 뒤를 이어 일어나는 실학사상의 철학적 성격을 종합적으로 검토함과 동시에 정치․경제․사회 등의 문제에 따라 약간씩 논의를 달리한 인물이나 학파의 구체적 특징을 세분화하여 조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