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Cluster
소개
동아시아학술원의 Research Cluster는 학제간 교육 · 연구 활동의 통합체계로서 기획된 기관연구의 수행주체로 아래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1) 동아시아학의 새로운 연구모델 창출 및 정체성확립
2) 관련 교수진과의 학문적 결합체제(Cluster)강화
3) 인문학과 사회과학계를 아우르는 국내·외 동아시아학 네트워크 구축
운영현황
구분 | 책임자 | R/C 명 | 주요 연구 내용 |
---|---|---|---|
사회적 관계성R/C |
김경호 |
동아시아자료학 연구회 |
고대 중국사회를 운영하고 통제한 기제로서의 법률조항 내용의 분석을 통해 고대 중국을 비롯한 고대 동아시아 사회의 인간관계 또는 국가권력과 민(民)의 관계 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 작업을 진행함 |
사회적 관계성R/C |
하영휘 |
동아시아 서신 및 사문서 연구의 사회문화사 |
한국학, 중국학, 일본학 연구자의 학제적 연구 추구: 1-2회 한·중·일 서신 관련 자료 강독 및 세미나를 진행함 |
사회적 관계성R/C |
정승진 |
Northbound!(북쪽으로 튀어!)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과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 연구소 간 정례 학술회의 개최: 통일학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목적으로 격년 교차로 개최함 |
난(亂)과 민주주의R/C |
배항섭 |
19세기의 동아시아 |
문학·역사·철학·인류학·법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가 공동으로 근대전환기 동아시아에 대한 융복합적, 학제적 연구를 시도함 |
난(亂)과 민주주의R/C |
이혜령 |
젠더와 민족/민중/대중 |
아젠다의 세부 연구주제 중 <사후(aftermath) 기억과 경험으로서의 난>, <동아시아 여성 표현의 실천 : 역사경험과 민주주의>, <언어적 수행으로 본 민중문화의 재구성>에 천착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한국의 페미니즘 운동의 지적, 세대적, 문화적 지층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음 |
열린 지식과 표상R/C |
손성준 |
정전과 동아시아 지식문화의 근대 |
동아시아 근대 지식의 연원 및 텍스트의 권위, 그리고 지식의 사유체계가 형성되는 과정을 탐색하는 공동연구를 수행. 특히 아젠다인 ‘열린 동아시아’를 통해 한국의 근대문학을 해체적으로 재사유하는 데 초점을 둠 |
열린 지식과 표상R/C |
박은영 |
근대 동아시아 고전들의 재인식 |
동아시아 지역의 근대국가로의 재구성 양상을 사상사적 측면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열린 지식과 표상R/C |
고연희 |
한국회화사 연구 |
조선 후기의 시각적 표상으로 각인된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 김홍도의 풍속화, 신윤복의 미인도 등은 당시의 시대적 가치·의미와 오늘날의 의미 사이에 큰 격차가 존재하는데, 본 연구팀의 연구 활동은 이 격차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검토하고 정리하는 데 초점을 맞춤 |
열린 지식과 표상R/C |
한기형 |
근대 한국인의 중국 인식 |
중국 이해의 한국적 독자성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구축해 나가고자 함 |
대외 연구 과제
-
♦ 동아시아 근대 언론매체사전 편찬 및 디지털사전 DB구축
♦ 근대 한러관계연구-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한국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호적대장과 민적부를 통해 본 19세기 지역사회의 구조와 갈등양상:진주, 제주권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의 재생산 제도에 대한 시계열적 비교분석:1910-1940(작가와 독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근대지식의 형성에서 문학과 매체의 역할과 성격♦ 식민지시기 한시 자료의 수집 정리♦ 다산학단(茶山學團)과 茶産學 계승양상 연구♦ 경상도 단성현 호적대장 전산화♦ 일본제국주의의 팽창과 동아시아♦ 한국유학의 학파적체계정립을 위한 기초자료의 정리 및 번역과 D/B화-{동유학안}의 번역 및 주석작업을 중심으로♦ 제3,4,5차 한국종합사회조사와 시범적 연구♦ 기초학문자료센터 설립을 위한 시범적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통합♦ 17·18세기 한문학비평자료 수집·정리 및 DB제공♦ 귀중본 및 신발굴 가집 주해 및 조선후기(18-19C) 가집사의 문화도상(文化圖像) 탐구♦ 경상도 대구부 호적대장 전산화 작업♦ 근대지식으로서의 사회주의와 그 문화, 문학적 표상♦ 한국 전통문화 공간인 정원과 정자의 창작소재화 개발♦ 20세기 전반 지역사회의 재편과 지역민의 대응♦ 19세기 필기류 소재 지식정보의 DB화♦ 소통과 확산: 동아시아 연구를 통한 한국인문학의 창신♦ 한국학 교재 개발 및 출판♦ 아시아 각국과 한국의 문명 교류사 연구 및 출판♦ 국제학술지지원사업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조선후기 명청문학 관련 문헌 자료의 DB 구축 및 자료집 간행♦ 동북아 한인발행 언론매체사전 편찬 및 디지털사전 DB 구축(1945년 이후)♦ 출토문헌에 반영된 고대 중국의 사회상 ―장가산한묘죽간(247號) 이년율령의 분석을 중심으로―♦ 근대 미디어로서의 극장과 식민지시대 문화 장의 동학♦ 조선시대 禮學 문헌자료의 집성과 해제 및 DB화 사업♦ 제6, 7, 8차 한국종합사회조사(KGSS)와 시범적 연구들♦ 죽간/목간/백서-중국고대 간백자료의 세계♦ 1920년대 후반, 잡지 [新民]의 표상체계와 여론창출 전략♦ 인구 및 계보자료의 전산화와 활용방안 개발♦ 석학과 함께하는 상설 인문강좌♦ 전근대 동아시아 서적 출판의 유통과 지식의 지형도♦ 조선후기 명청문학 관련 문헌 자료의 DB 구축 및 자료집 간행♦ 동아시아 문명의 기원 탐구를 위한 이족 출토자료 집성♦ 한국 경학 자료의 표점·주해 및 번역 - 『대학』편 -♦ 형식의 과잉, 동아시아 근대성의 아이러니♦ 만주국(1943-1944) 잡지에 나타난 ‘대동아문학’론과 ‘만주문학’론 연구♦ 초원 이충익의 『초원담로』에 대한 역주 및 연구♦ 1960-70년대 검열과 문학, 문학제도의 내적 역학♦ 한문고전번역 핵심인재 양성사업♦ 한국 유경정본화 및 DB 구축사업♦ 권역별거점연구소 협동번역사업♦ 동아시아 전통사회의 지식인 ‘士’에 관한 연구♦ 한국 근대 문학시장과 작가의 문학♦ 명말 공안소설의 출판과 법률문화♦ 성찰과 저항으로서의 조선 유학사 정리에 관한 연구♦ 16-17세기 퇴계학파의 심학사상 연구♦ 유가의 부자윤리에 담긴 철학적 기초와 인생관 연구♦ 북송시대의 지적 다양성과 동아시아 지성사의 재고찰♦ 러일전쟁 이전 이토 히로부미의 조선 인식과 정책♦ 여말선초 시기 월경지 성립배경에 대한 재검토♦ 여말선초 明의 예제와 지방 성황제 재편♦ 미간행 한국문집에 기록된 독도, 울릉도 관련 목록조사 및 자료해제♦ 근대 서간문화사 연구♦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2012-2014♦ [GT10]21세기 글로벌 스칼러쉽 육성사업단♦ 연행록 정보화 및 DB 구축♦ <한국주역대전>편찬, 표점, 주해 , 번역, 해제의 DB구축♦ 근대 전환기의 국가와 민♦ 동아시아학 글로벌 창의인재 양성 융합사업단♦ 인문한국지원사업 성과확산총괄센터 설립 및 운영♦ 인류무형유산 <아리랑>의 집성 및 세계적 DB 구축♦ 선비민주주의론-동양적 민본주의와 서양적 민주주의의 융합 연구를 위한 총서발간♦ (근현대사1) 해방전후 한국문제에 대한 국제적 논의 연구♦ [인문도시]인문도시 종로:600년의 전통에서 미래의 길을 찾다♦ 2015년도 향교·서원 문화관광 프로그램 운영♦ 2015년도 유교아카데미 및 청소년 인성교육 사업♦ 재미한인 차세대의 다양성 및 초국가적 관계와 활동에 대한 연구♦ 한중수교 25주년 기념 사업♦ 복합 차이나 리스크 연구♦ [HK+/2유형]열린 동아시아, 인문한국의 비전♦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한국 이해 포럼, 한중 Young 저널리스트 다이얼로그, 한중인문교류포럼, 중국의 한국연구자(기관) DB구축, 한중 정책연구시리즈♦ 문화 관련 태도 및 행위에 관한 조사: 동아시아 4개국 공동조사의 한국조사♦ 택리지(擇里志) 이본 종합 DB♦ 여시재 <중국의 변화> 연구♦ 조선후기 여항 문학 자료 수집.해제 및 DB구축♦ 境界空間의 專有와 共有 -고·중세 동아시아사 이해의 한 시선